-
-
오래전 멀리 사라져버린
루 버니 지음, 박영인 옮김 / 네버모어 / 2019년 5월
평점 :

기억이란 강물과 같아서 시간이 갈수록 그 줄기가 가늘어지는 걸까, 아니면 여러 개의 방이 있는 집과 같아서 점점 방의 수가 줄어들다가 결국에는 결코 떠날 수 없는 단 하나의 방만 남게 되는 걸까?
...(중략)...
왜 그들은 와이엇이 아니라 테레사를 죽였을까? 왜 와이엇이 아니라 오말리를 죽였을까? 왜 멜로디와 칼린. 그립과 빙엄씨를 죽였을까? 왜 와이엇은 아니었을까? 어째서, 모두를 죽이고, 목격자를 살려둔 것일까?
말이 되지 않는다. 와이엇은 그 범인들을 알지 못했다. 평생 한 번도 본 적 없는 이들이었다.
결코 답을 알수 없는 질문이었다. 그래서 와이엇은 오래전 그 물음을 멈추었다. 멈추려 애썼다.
왜 난 여기 이렇게 살아 있고, 다른 사람들은 전부 죽은 거죠? _174~175
사고로 친구들을 다 잃고 혼자 살아남았던 와이엇, ‘왜 난 여기 이렇게 살아 있고, 다른 사람들은 전부 죽은 거죠?’ 그가 고향을 떠나 잊었다고 생각한 과거의 사건 현장을 마주하게 되며 그 순간들을 되짚어간다. 비슷한 시기, 오클라호마의 지역 박람회에서 사라진 아름다운 소녀, 사라진 언니의 행적을 쫓는 줄리애나의 간절함은 그녀의 희망을 믿고 싶어지게 한다.
사실 초반이 지루하게 느껴졌던 건 세세한 묘사로 길어지는 문장들이 사건의 원인을 빨리 알고 싶어 하는 마음이 앞서기 때문이 아니었던가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등장하는 두 남녀가 어떻게든 연관이 되지 않을까? 하는 포인트에도 집중하게 돼서 더 길게 느껴졌는지도, 중반? 이후 어쩌면 이 둘은 전혀 접점이 없이 그저 스쳐 지나가는 사람들인가 보다 하고 읽게 된다. (이게 포인트!) 그동안 읽어왔던 추리하며 읽는 미스터리 소설방식으로 읽기보다 그저 이야기의 두 화자의 이야기를 따라 흐르듯 읽기를 추천하고 싶다. 초중반의 진입장벽을 지나면 그제서야 문장의 섬세함들이 스며들듯 다가온다. (앞으로 다시 돌아가 읽기 시작한 건 안 비밀!)
와이엇과 줄리애나의 시간은 남겨진 이들의 죄책감과 사랑하는 이들을 잃고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는 삶을 살았던 이들은 26년이 지나 진실을 마주하고 다시 앞으로 나아갈 수 있을까?
기억이란 강물과 같아서 시간이 갈수록 그 줄기가 가늘어지는 걸까, 아니면 여러 개의 방이 있는 집과 같아서 점점 방의 수가 줄어들다가 결국에는 결코 떠날 수 없는 단 하나의 방만 남게 되는 걸까?
그건 이 세상을 사는 인간에게 있어 가장 참담한 운명일지도 모른다. 물론 어떤 방에서 생을 마감하느냐에 따라 다르겠지만. _174p.
“인생을 살다 보면 이제 와 돌아봤을 때 전혀 그런 일이 없었던 것처럼 느껴지는 부분들이 있죠.”_263p.
부상을 입은 상태임에도 그는 꽤 멀끔했다. 미소 또한 멋있었다. 줄리애나는 그의 두 눈이 흥미로웠다. 그의 미소와 일치하는 무언가가 있었다. 무언가가.
“생명엔 지장 없어요.”
그녀가 말했다. 그러고는 열상 단면부에 마취약을 서서히 주입했다.
“이름이 어떻게 돼요? 전 와이엇이에요.”
“줄리애나요.”
...(중략)...
만나는 모든 여자들이 어딘가 모르게 테레사와 닮은 것처럼 보이던 때가 있었다. 물론 지금은 더 이상 그렇지 않지만. 이 간호사 역시 어딘가 모르게, 희미하게 테레사를 닮았다. 그녀와 똑같은, 치밀하고 겹겹이 짜인 무언가를 품고 있는 사람이었다. 와이엇은 예감했다. 이 간호사 역시 가급적 멀리하는 것이 좋은 부류라는 것을 말이다. _ 299~307p.
단순하고도 바보 같은 행복의 순간이었다. 하지만 와이엇은 그 행복의 현장 한가운데에 있으면서도 눈에 보이지 않는 유리 벽에 가로막혀 혼자만의 공간에 외따로 떨어져 있는 기분이었다. 눈으로는 보이지만, 온기는 전달되지 않는 특별한 유리 벽. 전에도 느낀 적이 있었다. 타닥거리는 모닥불 주위로 가족들이 한데 모여있는 사진을 바라보는 기분. 모닥불은 사진 속 사람들에게는 온기를 주지만, 사진을 들고 있는 사람에게 그 온기가 전달되지는 않는다. 앞으로도 절대 그 온기를 느낄 수 없을 것이라 생각하면 금방이라도 미쳐버릴 것만 같았다. _390~391p.
답은 없다. 그는 깨달았다. 아니, 답은 있지만, 이것이다 싶은 것이 없는 것이다. 아마 앞으로도 계속 그럴 테지. 와이엇은 선택해야 한다. 그런 현실을 받아들일지, 받아들이지 않을지. _538p.
긴 세월 동안 그녀는 오로지 이미 사라져버리고 없는 이의 인생만을 마음에 두고 살아왔다. 하지만 지금, 이곳에서부터는 지금, 이곳에서의 일만 마음에 담으며 살기로 결정했다. _541p.
"이제 어떻게 되는 게냐?"
그가 말했다.
와이엇도 알 수 없었다.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을 수도 있고, 뭔가 새로운 일이 일어날 수도 있다. 뭐든, 누가 알겠는가? _547p.
#북클럽피오나
#오래전멀리사라져버린 #루버니 #박영인 #네버모어 #까망머리앤의작은서재 #북스타그램 #book #lamy #사파리오리진 #테라레드 #사파리오리진테라레드 #독서노트 #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