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영화로 만나는 트라우마 심리학 - 정신과 전문의가 들려주는 트라우마의 모든 것
김준기 지음 / 수오서재 / 2021년 1월
평점 :

트라우마 trauma
강력한 정신적 충격으로 인해 발생하는 정신 건강 질환
과거 경험했던 위기나 공포와 비슷한 일이 발생했을 때, 당시의 감정을 다시 느끼면서 심리적 불안을 겪는 증상
어둡고 불편한 영화를 좋아하지 않는다. 애니메이션, 드라마, 조금은 달달한 로맨틱 코미디를 즐겨보는 편인데 그 안에도 트라우마를 지닌 인물들은 등장한다. 25편의 영화로 트라우마의 종류와 증상, 그리고 치유를 이야기하는 <영화로 만나는 트라우마 심리학>은 인생의 축소판이라 할 수 있는 영화 한 편에 담긴 트라우마에 대해 이야기한다. 트라우마는 어떻게 만들어지며, 어떤 증상을 나타내는가, 그리고 치유될 수 있는 것인가?
1부 트라우마란 무엇인가
2부 트라우마 종류와 증상
전쟁 트라우마/ 스몰 트라우마와 빅 트라우마 / 아동기 트라우마
3부 트라우마의 치유
일상 곳곳에 자리 잡은 트라우마는 영화를 통해서 조금은 가볍게 접근해 볼 수 있다. 다양한 영화에 담긴 트라우마에 대한 이야기들을 읽어가다 보면 어느새 트라우마를 조금은 이해하게 된다. 떨쳐낼 수 없다면 이해하고 잘 지낼 수 있어야 하지 않을까? 이 책을 읽고 함께 읽으면 도움이 되는 책도 소개하고 있어 관심이 있다면 조금 더 찾아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트라우마는 어디에나 있지만 트라우마를 치유할 힘도 우리 주변 어디에나 존재한다."라고 저자는 이야기한다. 영화 한 편 한 편의 이야기를 읽어갈 때마다, 조금은 이해가 되고 궁금했던 영화도 몇 편 찾아볼 예정이다. 영화와 트라우마 심리학의 조합이 궁금한 이들에게 추천하고 싶은 책.
"트라우마는 외면해야 하는 대상이 아니라 관찰해야 하는 대상이다."
∴트라우마 기억은 일반적인 기억과 어떻게 다를까?
∴왜 유독 더 고통받는 사람들이 있는 것일까?
∴어린 시절 트라우마는 우리에게 어떻게 작용하는가?
∴우리의 모든 감정을 억압하는 수치심도 필요한 감정인가?
∴트라우마의 종류와 증상은 어떤 것이 있는가?
∴트라우마 기억을 치료할 때 주의할 점은 무엇인가?
∴치유와 회복의 시간은 언제 어떻게 찾아오는가?
∴외상 후 성장은 어떤 과정으로 일어나는가?
살다 보면 좋은 일도 있고 나쁜 일도 있어. 하지만 어떤 일이 있었든, 그것은 과거의 일이고 이제 너는 거기에서부터 자유로워져야 한다. _영화 <마담 프루스트의 비밀정원> 중에서
"기억은 일종의 약국이나 실험실과 유시하다. 아무렇게나 내민 손에 어떤 때는 진정제가, 때로는 독약이 잡히기도 한다." _마르셀 프루스트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트라우마 연구의 초기 역사를 통해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은 가해자는 말할 것도 없고, 트라우마와 직접적인 상관이 없는 제삼자조차도 트라우마에 대해 그리 알고 싶어 하지도, 듣고 싶어 하지도 않는다는 사실이다. 왜냐하면 트라우마를 연구한다고 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인간 본성의 야만성과 취약성에 직면하는 것이고, 인정하고 싶지 않은 추악한 측면까지 발언해야 하는 작업이기 때문이다. 사실 이는 정말 불편한 작업이다. 그래서 피해자 당사자와 전혀 일면식도 없는 제삼자, 심지어 피해자의 가족, 친구, 이웃들마저도 트라우마가 일어났다는 사실을 은폐하려 하거나 혹은 시간이 자나갔으니 별일 아닌 것처럼 치부해버리려는 경향이 생길 수밖에 없다. _94~95p.
과거에 무시당하고 상처받은 내면의 아이가 사람들이 겪는 모든 불행의 가장 큰 원인이다. 그래서 아이였을 때 제대로 채워지지 못한 욕구들의 상실을 슬퍼하는 것이야말로 치유의 시작이다. _ 존 브래드쇼 (미국 심리학자)
트라우마는 되돌릴 수 없는 일이며, 보상이나 복수로 완전히 충족될 수는 없다. 그러나 가해자에게 범죄의 책임을 묻는 것은 개인적 안녕뿐만 아니라, 더 큰 사회의 건강을 위해서 중요한 일이다." _ 주디스 루이스 허먼 (미국 정신과의사)
#영화로만나는트라우마심리학 #김준기 #인문 #심리 #인문심리 #트라우마 #트라우마심리학 #수오서재 #도서협찬 #까망머리앤의작은서재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해당 도서만 제공받아 주관적인 감상으로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