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습관의 디테일 - 위대한 변화를 만드는 사소한 행동 설계
BJ 포그 지음, 김미정 옮김 / 흐름출판 / 2020년 10월
평점 :

꿈은 클수록 좋고, 계획도 크게 세워야 큰 사람이 되는거라고... 그렇게 살아왔는데....
읽으면 읽을수록 말도 안 되게 작은 습관부터 변화를 시도할 수 있으며, 결코 하찮은 것이 아니라고 응원하는 책을 읽게 되었다. 작게 더 작게? 그 작은 행동들을 반복 또 반복... 하다보면 일상에 자극이 되고, 그 자극을 즉각적으로 칭찬하는 과정을 거치다보면 하나의 습관이 완성되고 원하는계획을 하나씩 이루어가며 다음,그 다음 계획도 세울 수 있다는것. 나만의 작은 습관 레시피는 새로운 습관을 만들기 위해 비싼 스마트 워치나 최신 앱 따위는 필요 없다. 스스로 효과적인 자극을 설계할 수 있는 작은 행동을 쪼개어 작은 단위로 만들어 작고 간단한 습관이 일상에 정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작은 습관을 성공하며 그것이 어떻게 확산되어 갈 수 있는지, 어떤 시도를 하고 어떻게 변화되어 갈 수 있는지를 이야기하며 글을 읽는 이에게 동기부여를 해준다. '얘도 이렇게 작은 거 하나부터 시작했어, 시작이나 해봐' 잊을만하면 읽기만 하지 말고 제발, 활용하고 적응해보기를 글을 읽는 이를 자극해 준다. 동기, 의지, 노력이 부족해서? 노노노!!! <작은 행동이 자극, 감정과 연결되면 뇌는 이것을 습관으로 기억한다.> 올해 읽은 자기개발서 중 최고 꼼꼼히 읽었고, 얼마 남지 않은 2020년, 지금껏 수많은 계획을 세워왔지만, 좋은 습관으로 남은 게 있었던가? 계획을 세우고 그것이 안 된 것에 대한 탓하기만 바빴다면, 새로 시작될 2021년을 준비하는데 꼭 한 번쯤 읽어보길 추천하고 싶은 책이다. 어렵지 않고, 재미있게 자극받을 수 있는 글이다.
작은 습관 기르기는 융통성이 크고 아주 사소한 행동을 바꾸려는 것이기 때문에 정서적인 위험도 낮다. 작은 습관 기르기에서 실질적인 실패란 존재하지 않는다. 약간 비틀거릴 수는 있지만 다시 일어난다면 실패가 아니다. 습관이 만들어지는 과정일 뿐이다. _15p.
"나는 이 행동을 하고 싶은가?" 즉, 동기를 질문해보라.
하기 싫은 행동을 억지로 할 수는 없다. 적어도 꾸준히 하지는 못한다. 한두 번 할 수는 있겠지만 습관이 될 가능성은 낮다. 우리가 해야만 한다고 생각하는 행동이 아니라 이미 하고 싶은 행동을 찾아내야 나중에 동기 부여를 위한 요령과 기법을 고민할 필요가 없다. 그래야 동기의 변덕을 무력화할 수 있다. _91p.
작은 습관 마인드 세트의 중요한 부분은 따로 있다. 조급하게 기대치를 올리지 말라는 것이다. 행동을 키우려고 서두르지 말자. 걷는 게 부담스럽다면 언제든 워킹화만 신고 걷지 않아도 괜찮다. 기대치를 낮추면 습관이 살아 있게 된다. 아무리 동기가 오락가락해도 기대치를 낮추면 언제라도 그 행동을 어렵지 않게 할 수 있다. _125p.
나는 인간 행동에 대해 가르칠 때 한 문장으로 아주 분명하게 요점을 전달한다. 감정이 습관을 만든다. 습관을 만드는 것은 반복이 아니다. 빈도도 아니다. 마법약도 아니다. 감정이다. _187p.
축하는 습관 형성에 가장 중요한 기술이다. _196p.
성공한 느낌은 변화의 강력한 촉매제가 된다. 이제 습관 형성에 능숙해졌다는 이유만이 아니라, 점점 자신에게 친절해지고 있다는 이유로 축하할 때 당신의 자신감은 자란다. 당신은 자신을 질책하는 대신 자신에게 축하를 보낼 기회를 찾기 시작한다. 그러면 당신도 모르는 사이에 근본적인 변화가 일어난다. _214p.
"성공은 성공으로 이어진다." 너무나 유명한 이 말은 나도 연구를 통해 수없이 확인한 사실이다. 하지만 놀랄 만한 일은 따로 있다. 성공의 크기는 중요하지 않다. 설령 아주 작은 성공이라도 이뤄낸다면 곧바로 자신감이 커지고 다시 유사한 도전을 하려는 동기가 높아진다. 이를 성공 모멘텀이라고 부르자. 성공은 크기가 아니라 빈도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작은 습관 기르기에서는 작은 성공의 신속한 달성을 목표로 한다. _228p.
행동 설계는 혼자만의 일이 아니다. 우리가 설계하는 습관 하나하나, 우리가 축하하는 작은 성공 하나하나, 우리가 이룬 변화 하나하나가 개인적 삶을 넘어서 퍼져나간다. 우리는 행동을 통해 가족, 공동체, 사회를 형성해나간다. 그리고 그들도 우리를 형성해나간다. 행동 설계는 단순히 5킬로그램 체중 감량이나 저녁 식사 중에는 휴대전화 내려놓게 하기 위한 게 아니다. 행동 설계는 우리가 지향하는 사람이 되고 우리가 더불어 살고 싶은 가족, 팀, 공동체, 세상을 만들어가는 활동이다. _344~345p.
#습관의디테일 #BJ포그 #김미정 #자기개발 #행동설계 #성공학 #경력관리 #TINY_HABITS #흐름출판 #도서협찬 #까망머리앤의작은서재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해당 도서만 제공받아 주관적인 감상으로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