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웃 오브 이집트
안드레 애치먼 지음, 정지현 옮김 / 잔(도서출판) / 2021년 10월
평점 :

#도서협찬 #아웃오브이집트
나는 알렉산드리아에 대해, 잃어버린 시간과 잃어버린 세상, 마침내 다가온 끝의 최후, 코스타 씨, 몬테펠트로, 알도 코흔, 로테, 플로라, 지금은 너무도 멀리 있는 사람들에 대해 말하려고 했다. 하지만 할아버지는 내 말을 자르며 경멸스러운 악취라도 물리치듯 손사래를 쳤다. "다 쓸데없어. 난 현재에 산다." 내가 불러낸 향수가 짜증 나는 듯했다. _10p.
<콜미 바이 유어 네임>, <파인드 미>, <수수께끼 변주곡>등의 작품으로 알려진 안드레 애치먼의 회고록 <아웃 오브 이집트>는 이집트에서 보낸 어린 시절의 기억을 선명하게 묘사한다. 개성이 뚜렷한 대가족과 인물들과 생생하게 그려지는 배경들은 이 작품 이후에 발표된 모든 소설들의 출발점이기도 해서 더욱 의미가 있는 작품이라고 한다. 이국적인 이집트의 풍경과 시대적인 배경을 살아갔던 가족들의 이야기 미묘한 감정과 언어를 통해 생생하게 풀어내고 있다.
여느 에세이보다 느리게 읽었고 그래서 더 꼼꼼히 읽었던 작품이기도 했다. 햇살을 머금은 모래 언덕, 오래된 야자수 이국적인 풍경과 뜨거운 바람, 바다가 일렁이는 파도, 북적거리는 도시의 세세한 묘사들은 이국적인 풍경들과 시절을 함께 했던 사람들과 다시는 돌아갈 수 없는 그 시절의 이집트로 데려갈 것이다. 안드레 애치먼 작품의 시작점으로 이야기되는 회고록 <아웃 오브 이집트>. 이 작품을 읽으며 먼저 읽었던 작품을 되짚어 보는 것도 책 읽기의 또 다른 재미가 되어주지 않을까?
플로라 숙모의 표현에 의하면 이집트의 하루는 세상에서 가장 길었다.
"시간이 정말 빠르구나." 외할머니는 아무런 걱정근심 없이 지내던 어느 날 불쑥 말했다. 친구와 가족, 집, 피아노가 있는 곳에서 평화로운 오후 햇살과 함께 삶의 마지막 나날을 보내고 싶어진 거였다. Une bonne viellesse, 좋은 노년을 준비한다는 건 그런 뜻이었다. (···) 잠자는 동안 어느 상냥한 이의 손을 붙잡고 저세상으로 가는 것, 치욕과 수치심을 겪을 필요가 없는 죽음을 뜻하기도 했다. _73p.
옥상은 매우 고요했다. 저 아래에서 윙윙거리는 자동차 소리만 희미하게 들려왔다. 손 닿는 것마다 델 듯이 뜨거웠다. 텅 빈 옥상을 돌아다니며 다른 건물들의 옥상을 바라보노라면 무한한 지평선을 따라 늘어진 거대하고 고요하고 평화로운 파란색이 시야에 들어왔다. 언제나 나를 손짓해 부르는 바다였다. _144p.
일주일 후 몇몇 가족이 이집트에서 추방되었다.
3개월 후에는 네 명이 스스로 떠났다.
곧바로 여섯이 더 떠났다. 다들 프랑스에 정착했다.
1년 6개월 후에는 성녀와 남편도 프랑스로 떠났다.
이제 이집트에는 엘사 할머니, 플로라 숙모, 공주, 네심 할아버지, 증조할머니 그리고 우리 세 가족 해서 여덟 명밖에 남지 않았다. _274p.
#안드레애치먼 #안드레애치먼회고록 #에세이 #잔 #에세이추천 #까망머리앤의작은서재
본 서평은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아 개인적인 감상으로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