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오미와 가나코
오쿠다 히데오 지음, 김해용 옮김 / 예담 / 2015년 5월
평점 :
"차라리 둘이서 죽여버릴까? 네
남편"
남편을 제거하는 데 한 줌의 후회도 가책도 망설임도
없었다!
그 선택이 정말 최선입니까? 갑자기 이 말이 떠오른다.
폭력남편을 제거하는 것. 그것만이 문제를 해결하는 최선이었냐고 묻고 싶어진다.
나오미와 가나코는 친구다. 어린 시절부터 서로를 의지하고 서로에 대해 모든 것을 다 아는 그런 관계는 아닌 것 같다.
현재 끈끈하게 서로를 위하는 관계. 한쪽을 위해 목숨을 바칠 수 있는? 그런 관계인가라는 질문을 받는다면 그렇진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작가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그런 느낌이 들었기에 친구를 위해 같이 공범이 되는 나오미의 행동에 쉽게 공감되지는 않았다.
백화점 외판부 여직원 나오미는 폭력 아버지 밑에서 자랐다. 하지만 자신은 엄마가 아버지의 폭력아래 있는 것을 방관했다.
다 알고 있지만 모른척했고 자신은 아무것도 할 수 없다고 엄마를 도와주지않았다.
홀로 부모님에게 벗어나 떨어져 살고 있다는 것을 만족스럽게 생각한다.
부모님과 근처에 살고있는 언니는 결혼해서도 부모님의 상황을 눈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언니 역시 어머니를 향한 아버지의 폭력에 대항하지 못한다.
혹시 부모님이 이혼이라도 하면 남겨진 아버지가 자신에게 의지하지나 않을까 걱정되서 이혼이라는 말도 꺼내지 않고 있다.
이런 환경에서 자라온 나오미가 친구의 가정폭력을 두고 보지 못한다.
친엄마의 상황은 어찌할 수 없으면서 친구의 남편을 제거하는 일에는 누구보다 앞장선다.
망설이는 친구를 오히려 부추기는 듯한 느낌이 들 정도였다.
언니를 통해 아내를 때리는 남편은 변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더 확고히하는 나오미.
친구 가나코의 남편은 변하지 않을거라 확신한다.
직접적인 가정 폭력의 희생자 가나코. 가나코는 극심한 남편의 폭력에도 저항하지 못한다.
얼굴이 시퍼렇게 부어도 저항한번 하지 못하고 주변에 도움의 손길을 청하지도 않는다.
친구 나오미가 경찰에 신고하라고 친척에게 알리라고 해도 무반응으로 일관하며 오히려 자신의 가족에게 남편이 무슨 짓을 벌일지 모른다며
두려워한다.
그런 가나코가 남편을 제거하자는 나오미의 계획을 실행에 옮기기 시작한다.
이해가 가지 않았던 것은 엄청나게 적극적으로 나서는 나오미의 행동이었다.
완전 범죄를 위해서라고 하지만 나오미는 남편의 사체를 넣을 커다란 가방을 직접 구하기도하고 장소도 물색한다.
사람이 없는 곳에 묻기 위해 장소를 찾고 미리 가나코와 땅을 파놓기까지한다.
이런 행동이 과연 지극히 정상적인 행동, 우정인가라는 의문이 드는 순간이다.
폭력남편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란 이것밖에 없는 것인가라는 생각에 답답해지기까지한다.
남편의 폭력 사실을 알면서도 방관하는 시댁식구들의 모습에는 욱하고 화가 올라온다.
가나코가 남편의 폭력에 시달린다는 사실을 모두들 모른 척하고 있다.
친구 나오미만 적극적으로 같이 대응해줬다는 사실은 부정할 수 없을 것 같다.
완벽범죄를 꿈꾸지만 너무나 허술했던 이들의 계획에 안타까움을 느낀다.
뭔가 대단한 반전이 있을 듯했는데 커다란 반전없이 열린 결말로 끝나버린 마지막이 아쉬움을 남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