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배추
지난 주에 배추를 뽑으러 갔어야 했는데, 폭설이 오는 바람에 못 갔었다.
그랬더니 2주 전에 이랬던 배추가......

이렇게 되었다. ㅡㅡ;;
그래도 덜 얼은 배추들을 골라서 마저 가져왔다. 이걸로 금년 농장 수확은 끝났다.

2. 보리
2주 전에 뿌렸던 보리가 싹이 나왔다. ^-------^

어제는 남은 부분을 마저 개간했다.
이번에는 낫이라는 문명의 이기를 사용해서 조금은 더 수월했다.
왼쪽 부분은 보름 전에 개간해서 덮어놓은 짚이 얌전하게 가라앉은 밭,
오른쪽 부분이 어제 개간한 밭. 지금은 쑥대머리 풀어헤친 것 같지만, 얼마 후면 얌전하게 풀이 죽을거다.

보리를 뿌린 부분을 식별하기 위해서 밭의 네 귀퉁이에 파이프 기둥을 세웠다.
잡초가 자라나기 시작하면 어디가 밭인지 어디가 산인지 구분하기 힘들어서.
잡초가 시든 것은 제거했지만, 뿌리가 튼튼한 풀들은 다 제거하지 못했다.
특히 쑥이라는 녀석들이 여러 해 묵어서 뿌리가 나무같이 단단하고 깊어졌다.
내년 봄 되어봐야 성패를 가늠할 수 있을 것 같다.
3. 복잡한 계산
1) 비닐 쓰레기 vs 하수 오염 vs 인건비
비료로 사용하기 위해서 두 달 전부터 아랫집 한의원에서 한약 찌꺼기를 얻어다가 일요일에 농장에 가져다 쌓아두고 있다.
그런데, 한의원에서는 이 한약 찌꺼기를 30리터짜리 검정색 비닐에 두겹으로 싸서 준다. 한약이 새어나올 수 있고, 냄새를 막기 위해서도 그렇게 해왔다고 한다.
한 주에도 10여 봉다리씩 나오는 한약 찌꺼기가 두 겹씩이니까 검정 비닐봉지 20개다.
이렇게 몇 주 모으니 금방 100장이 넘어 버렸다. 이걸 그냥 버리자니 너무 아깝고, 환경에도 문제가 될 것 같았다. 그래서 어제는 비닐봉지를 다 씻어서, 말려서, 접어서 봉다리 하나에 담았다. 내년에 수확할 때 쓰기 위해서.
이렇게 하면서도 머리 속에서는 계산이 복잡했다.
비닐봉지를 물에 씻으면서는 '비닐이 오염이 심할까? 비닐 씻은 물의 하수도 오염이 심할까?'
비닐 봉지를 씻어서, 닦고, 말리고, 뒤집어서, 말리고, 다시 뒤집어서, 작은 크기로 접으면서
'비닐 값이 더 나갈까? 내 인건비와 시간값이 더 나갈까?' ... 하는 생각에 머리가 복잡해졌다.
2) 금산 오가는 교통비 vs 유기농 식품 구매
금산 오가는데 휘발유값이 10000원 가량 든다. 톨게이트비까지 하면 15000 정도.
할인점에서는 비싸다고 유기농 농산품에는 좀처럼 손이 가지 않는다는 것을 생각하면,
그리고 휘발유나 대기오염까지 생각하면,
차라리 금산 왕복하지 말고 그 돈으로 유기농산품을 사먹는 게 낫지 않을까?
금산 가는 목적이 그냥 농작물 때문 만이라면 분명 그냥 유기농산품을 사먹는 것이 경제적일 것 같다.
유기농 생산 농가도 돕는 일이겠고......
아무래도 내가 금산 가는 이유는 순전히 '재미' 때문인 것 같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