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비굴의 시대 - 침몰하는 대한민국 우리는 무엇을 할 것인가?
박노자 지음 / 한겨레출판 / 2014년 12월
평점 :
언제나 그랬던 듯 하다. 시대는 변하고 있지만 박노자는 변하지 않았다. 어쩌면 박노자의 글을 찾아 읽는 건 한결같은 그의 마음을 확인하기 위해서가 아닐까하는 내 자신에 대한 의심에서 일 수도 있겠다.
박노자의 글은 어쩌면 단순하다면 단순하다. 이 사회에서 벌어지는 모든 악과 폭력은 체제에서 비롯된다. 자본주의라는 체제는 그 본성(?)상 어찌할 수 없는 체제이다. 사람들을 경쟁시키고 폭력을 통해 배제하고 비인간화시켜야 작동이 되는 체제이니 이 체제를 어서 바꾸어야 한다.
어떻게?
여기서도 박노자의 대답은 한결같다. 사회주의의 실현을 통해서...단순하게 자본주의를 인간화 시키는 것은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으니 체제를 전복해야 한다. 그리고 사회주의를 실현해야 하는 것이다. 그 방법은 혁명인 것일까?
실제로 제체를 뒤엎어버리는 방법은 혁명 밖에 없는 듯하다. 그런데 혁명을 해야 한다고 말은 하지만 혁명을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가에 대해서는 여전히 모호하다.
아니 모호할 수 밖에 없다. 지금의 시대는 혁명이란 말 자체가 어불성설인 시대가 아닌가?
혁명을 하자고? 미친 놈 소리를 듣거나 낭만적인 이상주의자 딱지가 붙기 딱 좋은 상황일테다.
혁명따위는 집어치우고 니 앞이나 잘 처신하라고 쏘아 붙일 터다. 역시 자본주의다. 개인의 경쟁력이 최고의 지상과제인 이 시대를 그대로 반영하지 않는가? 이에 대해 박노자는 딱히 대답할 말이 없다. 그저 탄식만 할 뿐....
그러데 왜 박노자의 글을 읽는가? 끊임없이 변주하는 듯 하면서도 동일함을 유지하느 그의 글들을 읽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혁명에 대한 다짐을 하려고? 설마... 난 자보주의를 싫어하고 무한경쟁을 도모하는 이 사회를 증오하면서도 감히 혁명이란 말을 꺼내지 못하겠다. 그렇게 순치되어 온 것이다. 이런 나를 깨닫게 만드는 사람이 변하지 않는 박노자다. 그는 등에 처럼 사람등에게 불편한 질문을 던진다. 왜 이 숨막히는 체제를 가만히 놔두고 소소한 일에 분노하느냐고...그런데 정말 숨막히는 체제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얼마나 될까?
박노자에게 지금의 한국사회는 80년대의 혁명적 에너지가 고갈되어 순치된 사회다. 더 이상 타인과 사회에 대한 관심은 잃어버리고 각자도생하기 위해 목숨을 걸고 경쟁에 올인하는 사히다. 자본의 이익을 위해서 민중의 고통과 희생을 도외시하는 사히다. 그럼에도 무엇이 문제인지 모르는 사회다. 더불어 우파적 민족주의와 좌파적 민족주의가 발전에 경도되어 경합을 하는 사회다. 진정한 좌파는 쥐꼬리만큼 남아서 발버둥치는 사회다. 그럼에도 아직 희망이 있는 사회다. 어디에? 이렇게 험하게 굴러가는 사회에, 그리고 이 사회에서 발버둥쳐도 제대로 살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희망을 본다. 그런데 그 희망의 근거는 항상 우리를 좌절케 만든 근거이기도 하다.
이 책에서 가장 많이 나온 긍정적 단어는 '연대'이다. 그리고 '사회주의'다.
사회주의에 관한 한 양가적 감정이 들어있다. 이미 백일몽처럼 스러진 현실 사회주의는 사회주의라 할 수도 없지만, 그 나름대로 성취되었던 긍정적인 요소들까지 버려서는 안된다고 주장한다. 스탈린 식 사회주의를 배격해야 하지만 그럼에도 그 정치적으로 부자유스럽던 체제가 보호하는 가치 즉 노동자들의 존업성, 계획경제를 통한 완전고용, 직장에서의 평등과 부와 권력의 세습이 없었던 점 등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옹호를 하고 있다. 이건 좀 생각해 봐야 하겠지만, 정치적 자유가 제한된 속에서 이런 긍정적인 가치에 대해 얼마나 평가해야 할지 감은 오지 않는다.
다만, 모든 사람들이 이구동성으로 이야기 하는 연대의 가치에 대해서는 뭐 별다른 비판을 하지 못하겠다. 연대가 너무 안되서 문제이니.... 특히 시민사회와 노동계급의 연대는 항시 고민의 중심에 서 있을 수 밖에 없다. 계급의 정의가 있다고는 하나 임금을 받고 생계를 이어가는 사람들이 대부분임에도 자신을 노동자로 규정하지 않는 현실을 보면 게급은 사회적 위치에 대한 객관적 조건과 더불어 이른바 계급의식이라는 주관적 깨달음이 통합되지 않으면 나타나지 않는 듯하다. 다만 현재의 언론을 통해서는 계급적 자각을 이루기 힘들다는 점은 말해봐야 잔소리다.
진부한 듯 새롭다고 해야 하나? 이 체제를 살아가면서 꼭 질문해야 할 문제에 대해 이른바 총정리를 해 두었다고 하자. 다만, 이 시대가 모멸의 시대이자 이제 비굴의 시대임에는 틀림없는 듯하다. 조금만 들여다보면 나타나는 이 혐오스런 감정들이 과잉되는 시대. 단순하게 살아남기를 넘어서기 위해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 박노자에게 답을 구하지 말라. 다만, 박노자가 말하는 이 사회에 대해 공감했다면, 자신이 무엇이라고 해야 할 일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여기까지 박노자가 안내했으면, 다음은 독자 몫이다. 그리고 박노자는 이런 문제제기를 한 것으로 충분하게 자신의 역할을 한 것 아닐까?
투박한 듯 날이 서 있는 변하지 않는 견결한 사회주의자를 난 사랑한다. 나와 의견이 같지 않은 부분도 많지만 그래서 더 사랑스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