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무례한 시대를 품위 있게 건너는 법 - 차별과 배제, 혐오의 시대를 살아내기 위하여
악셀 하케 지음, 장윤경 옮김 / 쌤앤파커스 / 2020년 5월
평점 :
절판
중요한 건 인간이 지속적으로 서로에게 주의를 기울이며 깨어 있어야 한다는 거야. 뭔가 새로운 것이 등장할 때마다 감시하고 통제하려는 노력을 기울여야 해.
<문명화의 과정>을 너도 잘 알 거야. 엘리아스는 그 책에서 인류의 문명화 과정이 결코 멈추지 않는다고 말해. 계속해서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면서도 인간은 이를 넘어서면서 문명화를 이루어가지. 엘리아스는 아마도 이런 말을 하고 싶었던 것 같아. 인간은 문명화라는 진보의 과정을 통해 자신의 충동을 늘 통제하는데, 그 이유는 인간이 타인과의 관계에 의존적인 존재이기 때문이라고.
p.105
힘을 가진 인물이 "타인에게 굴욕감을 주는 모습을 공적인 장소에서 드러내면 이는 다른 많은 사람들의 일상에 영향을 미친다. 권력을 가진 자의 이런 행동은 다른 사람들도 그와 똑같이 행동해도 된다는 암묵적 승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무례함은 무례함을 불러일으키고 폭력은 폭력을 부른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우리 사회는 지위나 권위가 높은 이들의 태도를 기꺼이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다.
p.113
자신이 마땅히 받아야 한다고 생각하는 관심을 제대로 받지 못한 사람은 그가 갈망하는 관심을 거부한 이들을 비난하고 헐뜯기 시작한다.
- 게오르크 프랑크
p.133
내가 진짜 하고 싶은 말은 따로 있다. 즉 앞으로 우리가 다른 사람과 공존하려면 더불어 살아야만 하고 또 더불어 살고자 하는 타인에게 일말의 관심이라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p.156
나는 대화가 꼭 필요하다고 생각해. 말하고 대화하며 상대를 설득하려는 노력. 그런 노력이 낯선 것을 몰아내려는 우리 사회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거야. 그 노력이 절대 멈춰서는 안 돼. 무슨 뜻인지 알지? 여기에 더해 타인이 나와 다르게 생각하고 행동하는 데에는 나름의 이유가 있다는 사실을 이해하려 애써야 해.
꾸준한 대화를 통한 이해와 설득 그리고 다양성에 대한 관용의 자세.
p.193
한 인간이 스스로를 통제하는 행위라고 말이다. 아니면 설을 좀 더 붙여서 이렇게 표현하는 건 어떨까. 품위란 다른 이들과 기본적인 연대 의식을 느끼는 것이며, 우리 모두가 생을 공유하고 있음을 느끼는 것이라고. 또한 삶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의식은 크든 작든 모두 동일하게 중요하며, 이를 일상의 모든 상황 속에서 당연하게 받아들이는 마음이라고 말할 수 있겠다.
p.247
악셀 하케, <무례한 시대를 품위있게 건너는 법> 中
+) 이 책은 현재 우리 사회에서 무례하고 천박한 상황이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다는 것을 이야기한다. 자기 중심적이고 소통이 불가능한 사람들이 타인에 대한 배려없이 살면서 품위를 잃게 된다는 말이다. 저자가 언급하는 품위란 나와 타자의 관계에서, 우리 스스로 그들과 연대감을 느끼며 타인을 배려하고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것을 의미한다.
너무 자기 자신만 생각하다 보면 품위를 잃게 되고, 그것이 이기적인 언행을 유발하기에 곳곳에 상처받는 사람들이 생겨난다는 것이다. 나는 이것이 비단 어느 한 나라에 국한되는 이야기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요즘 시대를 사는 어느 곳에서도 이런 일들은 일어난다.
저자의 말대로 소통과 배려라는 걸 모르는 사람이 권력과 명예를 갖게 되면 그때부터 일반 사람들은 혼란을 겪는다. 그의 언행을 따라하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고 믿으니까. 그렇기에 일반인보다 더 많은 것을 간직한 사람들이라면 배려와 소통의 자세를 잊지 않길 바란다.
결국 무례한 시대를 품위있게 건너기 위해 우리는 대화, 소통, 배려, 양보, 그리고 너무나 인간적인 우리만의 따뜻한 마음이 필요하지 않나 싶다. 우리 한 사람 한 사람부터 그런 마음가짐으로 사는 것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