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왜 아이에게 그런 말을 했을까 - 아이를 서울대에 보내고 나서 뒤늦게 시작한 부모 반성 수업
정재영 지음 / 웨일북 / 2019년 6월
평점 :
친구가 분명 자신을 초대할 거라고 예상했는데 제 아이는 집에 있어야 했습니다. 낙담한 아이에게 제가 뭐라고 이야기했어야 할까요?
그때 저는 이렇게 말했어야 합니다.
"친구는 소중해. 하지만 너 자신이 그보다 훨씬 소중하단다."
"친한 친구가 없어도 슬퍼 마. 넌 멋진 아이야. 친구가 곧 생길 거야."
외톨이 되는 게 무서워 나쁜 친구를 사귀는 아이들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 차라리 외톨이가 되는 게 낫지 않을까요? 그 아이들에게 누군가 이렇게 말해줬어야 합니다 .
"너를 이용하고 괴롭히면 친구가 아니다."
"건강하지 않은 관계라면 정리하는 게 맞다."
39~44쪽
"네가 원할 때 양보해."
"원하지 않으면 양보하지 않아도 돼. 그래도 나쁜 아이가 아니야."
양보는 자신이 원할 때 하는 행동입니다. 남이 양보를 강요하는 것은 권리를 박탈하는 것입니다.
50쪽
"부끄러워? 괜찮아. 부끄러워해도 돼."
"무서워? 당연히 겁나지. 무서워해도 돼. 괜찮아."
부정적인 감정을 부모가 인정해주면 아이가 스스로 극복할 힘을 기르게 된다는 심리학자들의 설명도 있습니다.
89쪽
소리 지르지 마. ㅡ> 부드럽게 이야기해줘.
그거 가지고 놀지 마. 안 돼. 하지 마. ㅡ> 그거 말고 이거 갖고 놀아.
동생 때리지 마. 그만. 하지 마. ㅡ> 동생을 쓰다듬어줘야지.
어릴 때부터 금지에 익숙한 아이와 허용에 익숙한 아이로 말이죠. '하지 마.'라고 금지를 많이 당한 아이는 위축됩니다.
121쪽
청소년 자녀와 대화를 더 잘하는 법
1. 강의하지 말기 2. 공격하지 말기 3. 의견을 존중해주기 4. 하고 싶은 말 참기 5. 시도 때도 없이 대화하기
159쪽
"자녀의 식습관을 심각하게 여기지 말아야 한다고 생각해요. 아이들의 음식 선호는 계속 변화하고 발전할 거예요. 그러므로 야단을 쳐서 식사 시간을 불쾌한 시간으로 만들어서는 안 됩니다. 부모는 건강에 해로운 음식만 안 주면 됩니다. 부모가 정크 푸드를 집에 두지 않으면 아이들은 그런 음식을 먹지 않을 겁니다."
좋은 부모가 되려면 조언을 줄여야 한다고 합니다 .
190~191쪽
"실수했구나. 다음에는 조심하자."
290쪽
자녀를 모욕하지 않는 법
1. "또 그랬어?"라고 하지 않기 2. "몇 번을 말해야 하니?"라고 하지 않기 3. '매일', '너무' 등 과장된 표현을 쓰지 않기 4. 간접적인 모욕도 하지 않기 - "바보도 아니고 왜 그래?"
315쪽
"100% 열심히 할 수는 없다. 90%만 하자. 80%도 좋다. 그것으로 충분하다."
520쪽
정재영, <왜 아이에게 그런 말을 했을까> 中
+) 이 책은 청소년기의 자녀를 대학에 보낸 엄마의 고백록이라고 할 수 있다. 아이가 대학만 들어가면 어색한 관계도 회복될 수 있을 것이라고 믿었지만 전혀 그렇지 않았다. 그 부분에서 엄마와 아이가 생각하는 부분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아이가 상처받은 부분들은 고려하지 않고 자기 중심적으로 생각했기 때문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아이들을 대하는 법, 아이들에게 다가서는 법, 아이들에게 말하는 법 등을 배우게 되었다. 어떤 부분은 공감이 되고, 어떤 부분은 쉽지 않은 행동이기에 공감이 잘 되지 않았다. 하지만 저자는 아이들을 키운 인생의 선배로서 본인이 후회하고 있는 점을 분명히 하고 있기에 진정성이 묻어나는 글이었다.
아이들의 연령에 관계없이 또 자신의 아이가 아니더라도, 아이들과의 대화에서 어떤 점이 중요한지 한번쯤 돌아보게 하는 책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우리 어른들이 왜 아이들에게 자신도 모르게 상처주는 말을 하나 곰곰이 생각해보았다. 그건 어쩌면 우리 세대를 교육한 또 다른 어른들의 모습이지 않을까. 어쨌든 아이들을 대할 때 존중해야 한다는 점을 다시 한번 느끼게 해준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