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눈치보는 나, 착각하는 너 - 나보다 타인이 더 신경 쓰이는 사람들 ㅣ 심리학 3부작
박진영 지음 / 시공사 / 2013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카르페 디엠(현재에 충실해라)'은 과학적으로 근거 있는 말이라고 할 수 있다. 행복을 고된 노력 끝에 오는 그 무엇으로 생각한 나머지 순간의 기쁨을 저버린 채 오직 커다란 한 건의 성취만을 바라보며 살면 절대로 행복할 수 없다. 지금 이 순간과 앞으로의 시간들을 좀 더 즐겁게 보내려고 노력하는 것이야말로 행복으로 가는 지름길이라고 할 수 있겠다.
결국 행복한 인생은 일상의 순간순간을 행복하게 보내는 것에 달려 있다. 이러한 결과는 행복하게 사는 데에는 곁에 있는 좋은 사람들과 함께 즐거운 시간을 보내면서 맛있는 것도 먹고 종종 운동도 하는 것만 한 게 없다는 걸 보여준다.
pp.99~101
행복의 중요한 비결 중 하나는 좋은 인간관계를 만드는 것이다. 우리의 일상을 가장 행복하게 보내는 방법은 사람들과 함께하는 것이다. 이는 내향적인 사람이든 외향적인 사람이든 마찬가지다. 연인과 (물론 친구들과도) 진지하고 깊은 관계를 만들어갈수록 행복해지고, 다른 사람들에게 사랑을 베풀 때 더 행복해진다.
p.113
어떤 행동의 원인을 다혈질, 게으름같이 성격을 포함한 내적 특성에서 찾는 것을 '내적 귀인'이라 하고, '차가 막혀서' 같은 환경적, 외적 요소에서 찾는 것을 '외적 귀인'이라고 한다. (중략) 중요한 것은 우리는 스스로의 잘못에 대해서는 주로 외적 귀인을 하는 반면 타인의 잘못에 대해서는 주로 내적 귀인을 한다는 사실이다.
p.165
박진영, <눈치보는 나, 착각하는 너> 中
+) 이 책은 나를 바라보는 눈과 상대를 바라보는 눈, 그리고 나와 상대 사이의 관계에 대해 집중적으로 조명한다. 사람이 둘 이상 모이면 그것은 곧 집단이 된다. 이 책의 저자는 사람들이 사회적 관계 속에서 어떻게 행동하는지 설명한다. 단순히 자신의 생각만 나열한 것이 아니라 사회심리학자들의 여러 연구를 근거로 들어 비교적 신뢰감이 생기도록 작성했다.
이 책의 핵심 키워드는 '소속욕구'이다. 그것을 출발점으로 집단 속의 '나'와 내 앞에 선 '타인'의 행동 패턴과 심리를 분석한다. 심리학 이론만 나열한 책이 아니기에 (저자의 말대로) 대중에 한걸음 다가온 책이라고 생각한다. 직장생활에서나, 연애를 할 때나, 누군가와의 관계에서 편안함 혹은 불편함을 느끼는 사람들의 모습을 사례와 실험 분석 자료를 통해 설명한다.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우리가 흔히 하는 '착각'은 대부분 나를 기준으로, 나의 생각을 기준으로 만들어지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다른 사람은 전혀 기억하지 못하거나, 큰 실수라고 생각하지 않는 것들에 우리는 스스로 매우 큰 실수라고 착각하며 마음을 쓰지 않을까? 이 책은 그런 생각의 틈새를 파고든다.
그렇기에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이 책을 읽으면서 단순히 위로나 위안을 얻으려고만 하지는 말길 바란다. 물론 집단 속에서 생활하는 사람이라면 이 책이 위로나 위안도 되겠지만, 나는 이 책이 주는 논리성과 풍부한 지적 자료들에도 매력을 느끼길 권한다. 가볍게 읽을 수 없는 여러 개의 소논문을 저자의 친절하고 쉬운 설명으로 배불리 읽은 기분이 들테니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