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청춘의 독서 - 세상을 바꾼 위험하고 위대한 생각들
유시민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09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지식인은 무엇으로 사는가. 리영희 선생은 말한다. 진실, 진리, 끝없는 성찰, 그리고 인식과 삶을 일치시키려는 신념과 지조, 진리를 위해 고난을 감수하는 용기. 지식인은 이런 것들과 더불어 산다. 선생의 글을 다시 읽으니 선생이 내게 묻는다.
너는 지식인이냐. 너는 무엇으로 사느냐. 너는 권력과 자본의 유혹 앞에서 얼마나 떳떳한 사람이었느냐.
p.48
부르주아지는 자신이 지배하는 곳 어디에서나 모든 봉건적, 가부장적, 목가적 인간관계를 파괴했다. 부르주아지는 사람을 타고난 상전과 묶이게 했던 잡다한 봉건적 유대를 냉정하게 끊어버렸다. 그리하여 사람과 사람 사이에는 벌거벗은 이해관계와 비정한 '현찰 계산' 말고는 아무런 유대도 남지 않게 되었다. (중략) 부르주아지는 인간의 존엄성을 교환가치로 대체했으며, 문서로 보증되고 정당하게 획득한 수많은 자유가 있던 자리에 단 하나 양심 없는 거래의 자유를 세웠다. 한마디로 부르주아지는, 종교적 정치적 환상에 가려져 있던 착취를 공공연하고 파렴치하며 직접적이고도 잔혹한 착취로 바꾸어 놓은 것이다.
- 마르크스와 엥겔스, [공산당 선언] p.61
행복하게 살려면 되도록 권력을 멀리해야겠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그런 것처럼 내 인생도 내가 바란 대로 풀리지는 않았다. 결국 나도 권력을 차지하기 위한 싸움에 가담했고, 권력을 행사하는 일에도 참여해보았다. 역시 그랬다. 권력은 마주 서 있을 때보다는 함께 서 있을 때 더 큰 두려움을 느끼게 한다.
p.157
경제학자들이 사용하는 효용 함수는 나의 행복이 오로지 내 자신이 소비하는 재화와 서비스의 많고 적음에 달려 있다고 가정한다. 타인의 소비는 나의 행복에 아무런 영향도 주지 않는다. 이것이 가장 기본적인 경제학의 공리이다. 그러나 베블런은 이것을 단호하게 부정했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나의 행복은 내가 소비하는 재화와 서비스 또는 내가 소유한 부의 절대량이 아니라 그것이 다른 사람의 것보다 많으냐 적으냐에 좌우된다. 부를 축적하는 경쟁에서는 남을 이기는 것이 행복의 열쇠다.
p.226
유시민, <청춘의 독서> 中
+) 책을 읽으면서 종종 그런 생각을 한다. 이 한 권의 책인데 읽는 사람에 따라 깨닫고 느끼는 것들이 다를 수 있다니. 저자가 읽은 책들 중에서 몇 권은 내가 읽은 것이고 몇 권은 잘 모르는 것이다. 그가 읽은 책에 대해 논할 때 그는 과거의 느낌과 현재 책을 다시 읽었을 때의 느낌의 차이에 주목한다.
나 또한 그러는 편이다. 나에게 주어진 상황과 그 당시 내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들을 중심으로 책읽기와 감상이 기억에 남게 된다. 이 책을 보면서 매력적인 책들이 제법 많고, 내가 그것들을 천천히 읽으며 올 겨울을 보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가 정치를 했던 사람으로서 본 몇 권의 책들에 대한 감상은 나에게 깊이 다가 왔다.
지식인이 아니라 지성인을 꿈꾸는 사람들이라면, 나는 오래된 고전들을 꺼내 읽으며 예전에 자신이 느꼈던 것과 지금의 차이에 대해 생각해보았으면 싶다. 그건 성숙이나 발전의 측면이 아니라, 과거의 나와 현재의 내 '차이'에 집중하길 바라기 때문이다. 스스로를 돌아볼 수 있는 기회이며, 앞으로의 자신에 대해 계획할 수 있는 시간이 될 것이다.
어쟀든 저자의 이번 책은 어려운 고전들을 다 읽기 부담스러운 사람들에게 적절한 책이다. 물론 저자의 주관적인 생각이 강하기 때문에 자칫 저자의 의견에 동화되는 위험은 있으나, 고전들에 대해 어떤 내용인지 자세히 알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