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혜로운 삶을 위한 철학콘서트
에델 다이아몬드 지음, 조승철 옮김 / 창작시대 / 2003년 1월
평점 :
품절
소크라테스는 말한다. 우리가 삶의 방법을 배우기 전에 우리 자신의 도덕적인 세계를 구상하고 있는 것이 무엇인가를 알아야 한다고. 다시 말해서, 실제로 중요한 것은 무엇이며, 왜 중요한가를 아는 것이 필요하다는 말이다. 물론, 그 대답은 쉽지 않다. 소크라테스도 그 대답이 쉽다고 말하지 않았다. 다만 하나하나 충족해 나갈 수 있을 뿐.
p.25
올더스 헉슬리는 경험이란 우리에게 일어난 사건이 아니라 그것에 대해 우리가 취하는 반응이라고 말했다. 뜻하지 않은 불행한 사건을 만나도 난리를 일으킬 것까지는 없다는 뜻일 것이다. 차분한 마음으로 그 사건을 무시하느냐 마느냐를 선택하는 것은 바로 우리 자신이기 때문이다.
p.48
"인생에 있어서 인간이 수행해야 할 주된 임무는 자기 자신을 탄생시키는 일이다." - 에리히프롬
p.150
니체는 자기를 창조하는 힘을, 어떤 일에서나 자신을 향상시켜 나가는 인간의 능력을 믿었다. (중략) 주어진 여건 속에서 우리 자신을 최선의 인간으로 만들어 나갈 수 있는 힘을 우리는 누구나 가지고 있다. 이 점을 잊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p.163
철학은 이론이 아니라 행동이다. -비트겐슈타인
p.175
우리가 철학을 배우는 것은 "문제에 대한 명확한 해답을 찾기 위해서가 아니라...... 문제 그 자체를 위해서다. 왜냐하면 문제를 생각함으로써 무엇이 가능한지 생각의 폭을 넓힐 수 있기 때문이다." -러셀
p.177
에델 다이아몬드, <지혜로운 삶을 위한 철학 콘서트> 中
+) 이 책은 여러 철학자들의 핵심 사상을 소개하고 우리 삶과 연결지어 읽기 쉽게 이야기하는 책이다. 청소년들이 읽어도 좋을만큼 쉽게 쓰여졌고, 무엇보다 복잡하고 난해한 철학 이론을 이해하기 쉽게 풀어냈다는 점이 유익한다. 한 두가지 철학자의 사상으로 철학가를 전부 이해하고자 한다면 그것은 오해이다.
저자의 말대로 살다 보면 가슴에 와닿는 생각들이 있듯이, 이 책에는 그렇게 가슴에 와닿는 철학자의 단편적인 사상들로 구성되어 있다. 철학자들의 사상 전체보다 귀에 익숙하고 가슴에 남는 글귀들을 읽어보고 싶다면 이 책을 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