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경전 구절
이진영 엮음, 무비.원철.정목 스님 감수 / 불광출판사 / 2011년 6월
평점 :
분노의 불씨가 모든 것을 태운다.
- 잡보장경 제10권
p.24
1. 몸에 병 없기를 바라지 마라. 몸에 병이 없으면 탐욕이 생기기 쉽나니, 그래서 성인이 말씀하시되, 병고(病苦)로써 양약(良藥)을 삼으라 하셨느니라.
2. 세상살이에 곤란 없기를 바라지 마라. 세상살이에 곤란이 없으면 업신여기는 마음과 사치한 마음이 생기나니, 그래서 성인이 말씀하시되, 근심과 곤란으로써 세상을 살아가라 하셨느니라.
3. 공부하는데 마음에 장애(障碍) 없기를 바라지 마라. 마음에 장애가 없으면 배우는 것이 넘치게 되나니, 그래서 성인이 말씀하시되, 장애 속에서 해탈(解脫)을 얻으라 하셨느니라.
4. 수행하는데 마(魔) 없기를 바라지 마라. 수행하는데 마가 없으면 서원(誓願)이 굳건해지지 못하나니, 그래서 성인이 말씀하시되, 모든 마군(魔群)으로써 수행을 도와주는 벗을 삼으라 하셨느니라.
5. 일을 꾀하되 쉽게 되기를 바라지 마라. 일이 쉽게 되면 뜻을 경솔(輕率)한 데 두게 되나니, 그래서 성인이 말씀하시되, 여러 겁(劫, 어려움)을 겪어서 일을 성취하라 하셨느니라.
6. 친구를 사귀되 내가 이롭기를 바라지 마라. 내가 이롭고자 하면 의리를 상하게 되나니, 그래서 성인이 말씀하시되, 순결함으로써 사귐을 길게 하라 하셨느니라.
7. 남이 내 뜻대로 순종해 주기를 바라지 마라. 남이 내 뜻대로 순종해 주면 마음이 스스로 교만해 지나니, 그래서 성인이 말씀하시되, 내 뜻에 맞지 않는 사람들로써 원림(園林, 곧 무리)을 삼으라 하셨느니라.
8. 공덕을 베풀면서 과보를 바라지 마라. 과보를 바라면 도모(圖謀)하는 뜻을 가지게 되나니, 그래서 성인이 말씀하시되, 덕 베푼 것을 헌신처럼 버리라 하셨느니라.
9. 이익을 분(分)에 넘치게 바라지 마라. 이익이 분에 넘치면 어리석은 마음이 생기나니, 그래서 성인이 말씀하시되, 적은 이익으로써 부자가 되라 하셨느니라.
10. 억울함을 당해서 밝히려고 하지 마라. 억울함을 밝히면 원망하는 마음을 가지게 되나니, 그래서 성인이 말씀하시되, 억울함을 당하는 것으로 수행하는 문을 삼으라 하셨느니라.
- 보왕삼매론
p.44
소리에 놀라지 않는 사자와 같이,
그물에 걸리지 않는 바람과 같이,
흙탕물에 더럽히지 않는 연꽃과 같이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 숫타니파타
p.47
몸보다 더한 괴로움이 없다.
이 몸은 괴로움을 담고 있는 그릇으로서 근심과 두려움이 한량없다.
그러므로 나는 속세를 버리고
도를 닦되 이 몸을 탐하지 않고
괴로움의 근원을 끊으려고 오직 열반에 뜻을 둔 것이다.
- 법구비유경 제3권
p.99
검은 업의 인을 지으면 반드시 검은 없의 과보를 받고
흰 업의 인을 지으면 반드시 흰 업의 과보를 받는다.
이것은 모두 자신이 만드는 것이다.
- 불설광명동자인연경 제 4권
p.257
이진영,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경전 구절> 中
+) 이 책에는 가슴에 와 닿는 구절이 많다. 경전에 이렇게 좋은 글들이 많으니 사람들이 경전을 공부하고 가슴에 새기는 것이다. 나는 이 책을 서점에 오며가며 틈틈히 다 읽었다. 이 책을 읽기 위해 일부러 짬을 내어 약속된 시간보다 30분씩 먼저 출발하여 이 책을 손에 쥐었다. 그건 매번 조금씩 내 마음에 들어오는 구절들이 새로운 느낌을 주었기 때문이다.
우리는 너무 많은 것을 바라며 살지는 않을까? 항상 무언가 잘 되게 해달라고 기도하고 바라는데, 그것만큼 주어진 것에 감사하며 살 줄은 모른다. 현재 내게 주어진 소중한 것들을 보지 못한 채 저 멀리 내가 갖지 못한 것을 간절히 바란다. 웃을 수 있는 여유, 마음을 다독일 수 있는 시간이 필요하다면 이런 책을 종종 읽는 것이 좋다.
늘 기억하고 있으면 좋을텐데, 욕심 많은 사람들이 아닌가. 자신의 마음을 비우고 몸을 가볍게 하는데 이런 책만큼 좋은 것은 또 없다. 잊을 만 하면 한번씩 되새기자. 천천히 경전 구절들을 곱씹으며 지혜를 기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