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나
김사과 지음 / 창비 / 200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수정은 언제나 깊이 생각하지 않기 위해 노력한다. 수치심과 모멸감의 기억을 깊이 마주 보면 결국 박지예처럼 자살에 이르게 될 뿐임을 알기 때문이다. 불필요한 것은 단호하게 외면할 줄 알아야 한다. 자신을 충분하게 사랑하여 허리를 꼿꼿이 펴고 자아존중감을 높이자.

p.72

 

이해하지 않을 것. 그리고 침묵할 것. 그것이 그의 삶의 방식이다. 그렇게 단조롭고 평화롭다. 아무것도 기록하지 않으며 아무것도 말하지 않는다. 생각은 그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스쳐 지나가고 바람과 모래에 섞여 날아가버린다. 그런 식으로 하루가 간다. 시간은 쉽게 흘러가고 걱정할 것은 아무 것도 없다. 간단하게 말해 그는 아무런 생각도 없고 아무런 의견도 없는 인간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가 말이 없는 이유는 할말이 없기 때문이다. 과묵함은 단순한 뇌를 상징한다. 예의바름은 건조한 마음을 상징한다.

pp.193~194

 

니가 지금 우는 이유는 울음을 참는 방법을 아직 모르기 때문이다. 거기에 익숙하지 않기 때문이다.

p.213

 

 

김사과, <미나> 中

 

 

+) 이 책을 읽은 소설가 김영하가 말한 '이상한 소설'이라는 점에 공감한다. 읽을수록 정말 이상하네,라는 생각이 드는 책이다. 처음에는 10대 소년 소녀들의 자유와 그들을 억압하는 세대에 대한 글이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소설 속 '미나'와 '수정'의 모습을 보게 되면서 무척 혼란스러웠다. 그들의 혼란스러움이 내게도 고스란히 전해 진 것일까.

 

소설을 다 읽고 나면 이 이상한 소설에 대해서 생각하게 된다. 10대의 삶을 학교라는 틀에 가둬 획일적으로 만들어 버린 어른들, 그들의 기준으로 세상을, 인생을 판단하는 어른들, 방황하는 아이들의 말을 귀기울이지 않는 어른들 등이 이 소설에는 등장한다. 물론 그들이 온전히 이 '이상한 아이들'들의 원인이 되지는 않았을 것이다.

 

아이들에게는 돌파구가 필요했다. 그러나 그들이 선택할 수 있는 것들은 자살이나, 현실에의 수용, 그리고 살인이 있을 뿐이었다. 궁금한 것에 대해 묻지 못하고, 물을 곳도 없다. 그래서 그들은 극단적으로 행동하게 된다. 그런 충격적인 소설이 바로 <미나>이다. 극적 전개가 소설 말미에 너무 급하게 흘러간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좀 더 탄탄한 구성이었다면, 파격적이지만 비교적 공감되는 소설로 남지 않았을까 아쉬움이 남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쉽게 읽는 백범일지
김구 지음, 도진순 엮음 / 돌베개 / 200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눈덮인 들판을 걸어갈 때

함부로 어지럽게 걷지 말지어다.

오늘 내가 디딘 발자국은

언젠가 뒷사람의 길이 되니라.

- 백범

 

가지를 잡고 나무에 오르는 것은 기이한 일이 아니나

벼랑에 매달려 잡은 손마저 놓는다면 가히 대장부로다.

p.68

 

세상은 고해라더니 살기도 어렵거니와 죽기 또한 어렵다. 자살도 자유가 있는 데서나 가능한 것이다.

p.226

 

나의 정치 이념은 한마디로 자유이다. 우리가 세우는 나라는 자유의 나라라야 한다. 자유란 무엇인가?

 

자유 있는 나라의 법은 국민의 자유로운 의사에서 나오고, 자유 없는 나라의 법은 국민 중의 일 개인 또는 일 계급에서 나온다. 일 개인에서 나오는 것을 전제 또는 독재라 하고, 일 계급에서 오는 것을 계급 독재라 하고 통칭 파쇼라고 한다.

 

독재 중에서 가장 무서운 독재는 어떤 주의, 즉 철학을 기초로 하는 계급 독재이다.

 

국민의 머릿 속에 아무리 좋은 사상과 경륜이 생기더라도 그가 집권계급의 사람이 아니거나, 집권세력이더라도 사문난적이라는 이단의 범주에 들어가면 세상에 발표되지 못하기 때문이었다. 이 때문에 싹이 트려다가 눌려 죽은 새 사상, 싹도 트지 못하고 밟혀 버린 경륜이 얼마나 많았을까. 언론의 자유가 얼마나 중요한 것임을 통감하지 아니할 수 없다. 오직 언론의 자유가 있는 나라에만 진보가 있는 것이다.

p.310~311

 

 

김구, <백범일지> 中

 

 

+) 김구 선생이 지은 <백범일지>를 읽으면서 다시 한번 생각해 보았다. 내가 만약 저 시대에 태어났다면 어땠을까. 나는 그처럼 그런 엄청난 용기가 있었을까. 수없이 많은 고문을 겪으면서도 호통을 칠 수 있는 힘은 말로 설명할 수 없을 만큼 대단한 것이다. 나는 가끔 나라를 위해 온몸을 바쳐 노력하는 열사들의 글을 읽을 때마다 한없이 부끄러워지고 작아진다. 아마도 나라면 숨어버린채 살지 않을까 싶다. 참 비겁한데 그만큼 또 참 무섭다.

 

그들은 어떻게 이런 수많은 두려움을 견뎌냈을까. 나는 김구 선생의 글을 읽으면서 그가 바라는 '우리나라'가 지금도 많은 사람들이 바라는 '우리나라'가 아닐가 싶다. 역사는 되풀이된다고 했다. 그건 매 시대마다 어떤 사건이 발생하고 그것에 대응하는 하는 사람들의 자세가 비슷하기 때문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우리나라의 국민으로서의 '나'를 상상해볼 수 있었던 좋은 기회였던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본사직영정품]한율 채음 AD 2종세트
아모레퍼시픽[직배송]
평점 :
단종


기존 한방 제품과 비슷한 가격이나 효과는 훨씬 좋다. 향도 은은하고 피부에 잘스민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본사직영정품]한율 유빛마사지에센스 정 100ML
아모레퍼시픽[직배송]
평점 :
단종


화장품 샘플을 받아서 썼는데 피부에 잘 스며들어서 좋다. 

또한 피부 안색을 환하게 만든다는 것에는 어느 정도 공감한다.  

언니는 본 제품을 세트로 사서 사용하고 있는데  

가격이 비싼만큼 효과를 톡톡히 보고 있다고 좋아한다.  

기존의 한방 화장품과 달리 향도 은은하고 질도 우수하다.  

나도 다음에는 한율 제품을 구입하려고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간절하게 참 철없이 - 2009 제11회 백석문학상 수상작 창비시선 283
안도현 지음 / 창비 / 200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진흙메기'

 

짚불을 피우고 배를 딴 메기 몇마리를 던져넣었다

 

메기들은 내장도 없이 뜨거운 불꽃 속으로 맹렬히 헤엄쳐갔다

 

가문 방죽 잿빛 진흙에 대가리를 들이밀듯 꼬리지느러미로 땅을 쳤다

 

삶이란 부레도 없이 허공의 물 위로 풀쩍 솟구쳐오르기도 하는 것

 

붉은 열망이 가라앉아 뻣뻣해지자 저녁이 재처럼 차가워지고 있었다

 

진흙이 다 된 메기들은 그때서야 안심하는 것 같았다

 

우리는 달려들어 쫄깃한 진흙의 살을 뜯어먹으며

 

어쩌면 코밑에 메기수염이 돋아날지 모른다고 생각하였다

 

 

안도현, <간절하게 참 철없이> 中

 

 

+) 이번 시집은 음식 기행을 떠난 사람처럼 설레는 화자의 목소리로 가득 차 있다. 화자가 간직한 추억을 오감으로 버무려 맛있는 음식을 차려 놓았다. 그것은 화자의 기억속의 맛이기도 하고, 화자가 경험한 맛이기도 하고, 화자가 소망하는 맛이기도 하다. 시인은 그것을 드러내기 위해서 자신의 신경을 곤두세워 미각, 후각, 청각, 시각, 촉각의 이미지로 시를 엮어 낸다. 좀 아쉬운 것은 안도현 시인만의 삶에 대한 깨달음이 빠진 점이다. 뭐랄까. 사람에 대한 애정과 소소한 것들에 대한 관심의 시선이 이번 시집에서는 잘 보이지 않는다. 그러한 시선을 음식쪽으로 옮긴 시집인데 어쩐지 시라고 하기에 뭔가 부족한 느낌이 드는 건 사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