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철학카페에서 문학읽기 - <파우스트>에서 <당신들의 천국>까지, 철학, 세기의 문학을 읽다
김용규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06년 11월
평점 :
세계는 합리적 구조를 가졌고 모든 문제에는 단일한 해답이 존재하며 학문과 예술에는 완전한 진리가 있고 인간의 삶에는 객관적 도덕이 주어져 있다는 등, 일체의 합리주의 내지 계몽주의적 생각에 대해 반기를 듦으로서 낭만주의는 후일 니체의 철학과 실존주의 그리고 포스트모더니즘이 자라날 수 있는 선구적 토양을 마련했지요. 바로 이런 관점, 오직 이런 관점에서는 디오니소스가 곧 괴테의 파우스트이고, 니체의 차라투스트라이며, 카뮈의 시지프이고, 들뢰즈의 유목민이라는 말입니다.
무엇보다도, 낭만주의는 계몽주의가 자유와 평등을 누리는 '추상적 개인'을 보았던 곳에서 욕망과 쾌락에 몰두하는 '구체적 인간'을 발견했지요. 그럼으로써 자기실현이라는 개인주의적 가치를 찾아낼 수 있었던 겁니다. 그리고 바로 이것이 20세기 전반을 휩쓸었던 실존주의라는 후계자를 낳은 거지요.
p.49
<데미안>에서 에바 부인으로 표현되는 '성숙한 인간'이 된다는 것은 내면에 모성적인 것도 간직하고 부성적인 것도 간직해야 한다는 것, 아니마와 아니무스의 통합을 이루어야 한다는 것을 말합니다. 모성적인 것이란 감성적인 것, 곧 따뜻함이고, 음식이며, 만족과 쾌락, 자유와 안전 등을 상징하고, 부성적인 것이란 이성적인 것, 곧 지식이고 법률이며 질서와 책임, 훈련과 모험 등을 상징하지요. 따라서 성숙함이란 본능과 정신, 쾌락과 고통, 자유와 책임 그리고 안전과 모험을 동시에 소유하고 지배하는 것을 말하는 겁니다.
p.67
"신이 우리에게 절망을 보내는 것은 우리를 죽이기 위해서가 아니라, 우리에게 새로운 생명을 불러일으키기 위해서이다."
생의 외침을 들을 때마다 / 마음은 이별을 준비하고 새 출발 하라 / 용감히, 그리고 두려워 말고 새로운 이끌림에 몸을 맡겨라. / 새로운 시작에는 언제나 마술적 힘이 / 우리를 감싸, 사는 것을 도와주리니......
-헤세
p.71
꿈에서 깨어난 소년은 감탄을 터뜨렸습니다. 그리고 이내 알게 되었지요. 어떤 것이 아름다운 것은 그것을 아릅답게 생각하는 상대가 있기 때문이라는 것을. 어떤 것이 소중한 것은 그것을 소중하게 생각하는 상대가 있기 때문이라는 것을.
p.73
"무용하고 희망 없는 노동보다 더 끔찍한 형벌은 없다고 신들이 생각한 것은 일리 있는 일이었다."
-카뮈, '시지프스의 신화'
p.185
김용규, <철학카페에서 문학읽기> 中
+) 우리가 주로 고전이라 불리는 서양의 대표 문학과 우리나라의 대표 문학 작품을 철학적 관점에서 다루고 있는 책이다. 거창하게 철학적이라는 말보다 저자의 언급대로 철학카페에서 커피 한 잔을 마시며 두런두런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책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수준이 낮은 책은 결코 아니다. 어느정도 작품에 대한 이해도 필요하고 철학가의 사상에 대한 계보도 이해하고 있다면 훨씬 수용하기 쉬운 작품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철학을 이렇게 공부한다면 훨씬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고리타분한 원서를, 그것도 몇 개국가의 번역을 거쳐, 이게 과연 철학가의 진짜 사상인지 의심스러울 정도의 수준인 번역 원서를 읽는 것 보다, 백번은 낫다. 책을 읽으면서 새삼스럽게 예전에 보았던 고전문학 작품의 가치를 재발견하게 되었다.
어렵게 생각하는 고전문학 작품을 가치 있게 만들어준 책이다. 고전문학 작품을 읽지 않았더라도 줄거리까지 잘 설명하고 있어서 충분히 이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