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분홍주의보
엠마 마젠타 글.그림, 김경주 옮김 / 써네스트 / 2010년 2월
평점 :
엄마가 마음이 어질러지기 시작했다면 어른이 되어가는 거라고 했거든
엄마는 사람에게 꿈이 필요한 건 이 세상의 말보다 더 중요한 말들을 그곳에서 하기 위해서라고 했어
둘이 꼭 손을 잡고 있는 사이를 뭐라고 부르는지 알아?
뭔데? 가만히 있는 사이..........
내가 네 곁에 있을 때 그것이 아무 것도 아니라면 이 삶을 여전히 악몽이라 불러야 하는가
이별을 한다는 건,
아마 내 가슴에서 시작된 세상의 모든 전기가 끊어지는 고통이겠지만
이 세상에 말로 할 수 있는 것은 아주 많아
하지만 말로 설명할 수 없는 것이 더 많지
네가 출석하지 않은 삶은 수업을 하지 않을 거야.
엠마 마젠타, <분홍주의보> 中
+) 이 책은 '말(언어)'이 필요 없는 이야기이다. 아니, 사람이 사랑을 할 때 특별히 언어가 중요하지 않다는 것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다. 여기 "태어나서 한번도 말을 해보지 못한" 소녀가 있다. 그녀가 누군가를 만나 마음이 어질러지기 시작했다면 그것은 곧 자신이 아니라 타인을 생각하는 '배려'와 '이해'가 시작되는 것이다. 소녀에게 누군가를 만나 함께하는 것은 '가만히 있는 사이'이다. ("신은 말이 필요했다면 우리에게 눈동자를 주지 않았을 거야.....")
가만히 있는 사이,는 평온하지만은 않다. 자의든 타의든 마음에서 피어나는 어지러운 감정에 "세상의 모든 전기가 끊어지는 고통"을 느끼기도 하지만, 그만큼 세상을 바라보고 사람을 바라보는 성숙한 깨달음을 얻는다. "누군가 나를 필요로 할 때, 그에게 많은 말을 하기보다는 가만히 그의 '곁'이 되주면 돼. 어쩐지 좋은 일이 생길 것 같은 '곁'은 든든하니까......" 그렇게 곁에 있음의 소중함에 대해 알게 될수록 사랑은 가치 있고, '가만히 있는 사이'의 마주 잡은 손은 따뜻하고 단단해지는 법이다.
엠마 마젠타는 우리가 하는 사랑을 말과 글과 그림으로 표현해낸다. 마치 어린 아이의 시선처럼 필요한 몇 가지 색으로, 사랑에 빠진 이들의 감정을 부드러운 선으로 그린다. 이 책은 여느 책들에 표기되어 있는 '쪽수(page)가 없다. 사실 순서 같은 것도 중요하지 않다. 봄, 여름, 가을, 겨울을 지나면 다시 봄이 올 테니까. 사랑이라는 것은 이별을 동반하고 또 다시 사랑을 가져오는 거니까.
<분홍주의보>를 '말할 수 없는 것에 대해서는 침묵해야 한다'는 비트겐슈타인에게 선물해보면 어떨까. 혹은 세상이 삭막하고 답답한 공간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에게, 누군가의 마음에 의심이 드는 사람들에게 주고 싶다. "침묵은 하나의 창문이야."라고 고백하는 소녀가, "밤마다 꿈 속으로 스밀 수 있음에 다행"이라고 말하며 조심스럽게 손을 내민다면 그 손을 뿌리치진 않을 것이다. 천천히 조심스럽게 다가가 세상에서 말로 설명할 수 없는 것들에게 진심으로 손을 내민다면 말이 없어도 통하지 않겠는가. 자기도 모르게 분홍색으로 물든 자신을 발견했을 때, 세상을 볼 때, 분홍색 기운을 느낄 때, 사랑이 스며드는 것이다.
엄마가 마음이 어질러지기 시작했다면 어른이 되어가는 거라고 했거든
엄마는 사람에게 꿈이 필요한 건 이 세상의 말보다 더 중요한 말들을 그곳에서 하기 위해서라고 했어
둘이 꼭 손을 잡고 있는 사이를 뭐라고 부르는지 알아?
뭔데? 가만히 있는 사이..........
내가 네 곁에 있을 때 그것이 아무 것도 아니라면 이 삶을 여전히 악몽이라 불러야 하는가
이별을 한다는 건,
아마 내 가슴에서 시작된 세상의 모든 전기가 끊어지는 고통이겠지만
이 세상에 말로 할 수 있는 것은 아주 많아
하지만 말로 설명할 수 없는 것이 더 많지
네가 출석하지 않은 삶은 수업을 하지 않을 거야.
엠마 마젠타, <분홍주의보> 中
+) 이 책은 '말(언어)'이 필요 없는 이야기이다. 아니, 사람이 사랑을 할 때 특별히 언어가 중요하지 않다는 것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다. 여기 "태어나서 한번도 말을 해보지 못한" 소녀가 있다. 그녀가 누군가를 만나 마음이 어질러지기 시작했다면 그것은 곧 자신이 아니라 타인을 생각하는 '배려'와 '이해'가 시작되는 것이다. 소녀에게 누군가를 만나 함께하는 것은 '가만히 있는 사이'이다. ("신은 말이 필요했다면 우리에게 눈동자를 주지 않았을 거야.....")
가만히 있는 사이,는 평온하지만은 않다. 자의든 타의든 마음에서 피어나는 어지러운 감정에 "세상의 모든 전기가 끊어지는 고통"을 느끼기도 하지만, 그만큼 세상을 바라보고 사람을 바라보는 성숙한 깨달음을 얻는다. "누군가 나를 필요로 할 때, 그에게 많은 말을 하기보다는 가만히 그의 '곁'이 되주면 돼. 어쩐지 좋은 일이 생길 것 같은 '곁'은 든든하니까......" 그렇게 곁에 있음의 소중함에 대해 알게 될수록 사랑은 가치 있고, '가만히 있는 사이'의 마주 잡은 손은 따뜻하고 단단해지는 법이다.
엠마 마젠타는 우리가 하는 사랑을 말과 글과 그림으로 표현해낸다. 마치 어린 아이의 시선처럼 필요한 몇 가지 색으로, 사랑에 빠진 이들의 감정을 부드러운 선으로 그린다. 이 책은 여느 책들에 표기되어 있는 '쪽수(page)가 없다. 사실 순서 같은 것도 중요하지 않다. 봄, 여름, 가을, 겨울을 지나면 다시 봄이 올 테니까. 사랑이라는 것은 이별을 동반하고 또 다시 사랑을 가져오는 거니까.
<분홍주의보>를 '말할 수 없는 것에 대해서는 침묵해야 한다'는 비트겐슈타인에게 선물해보면 어떨까. 혹은 세상이 삭막하고 답답한 공간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에게, 누군가의 마음에 의심이 드는 사람들에게 주고 싶다. "침묵은 하나의 창문이야."라고 고백하는 소녀가, "밤마다 꿈 속으로 스밀 수 있음에 다행"이라고 말하며 조심스럽게 손을 내민다면 그 손을 뿌리치진 않을 것이다. 천천히 조심스럽게 다가가 세상에서 말로 설명할 수 없는 것들에게 진심으로 손을 내민다면 말이 없어도 통하지 않겠는가. 자기도 모르게 분홍색으로 물든 자신을 발견했을 때, 세상을 볼 때, 분홍색 기운을 느낄 때, 사랑이 스며드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