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날아라, 잡상인 - 2009 제33회 오늘의 작가상 수상작
우승미 지음 / 민음사 / 2009년 6월
평점 :
품절
보고도 못 본 척, 들려도 못 들은 척하는 건 쉽다. 그건 대부분 자기애에 기인한 자기방어이기 때문이다. 악취가 나도 못 맡은 척하는 것은 쉽지 않다. 내색하면 안 된다는 의지보다 인상을 찌푸리라는 뇌의 신호가 더 빠르다. 뉴런의 전기신호 시스템에는 타인을 위한 갈등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p.63
"동정은 내가 그 사람보다 우위에 있다는 생각에서 비롯되는 거잖아. 너는 많이 아프구나, 나는 안 아픈데, 참 안됐다 얘. 그러니까 나쁜 거지. 아무리 같이 아파하는 척해도 고통은 공유할 수 없어. 고통은 온전히 당사자의 몫이라고. 사실은, 얘는 정말 불쌍해, 그래도 나는 얘보다는 덜 불쌍해서 다행이야, 그러면서 자기 위안을 느낀다고. 그게 동정의 본질이야."
p.179
"나도 예전엔 그렇게 생각했는데, 아닌 것 같아. 사랑이라는 것, 늘 동정과 연민에서 시작돼. 누구에게나 삶은 고달픈 거잖아. 상대방의 고달픔을 보고, 너도 힘들구나, 너도 나처럼 아프구나. 그렇게 생겨나는 감정이 동정이고 연민이야. 타인에 대한 배려는 사랑이든 희생이든 모두 동정과 연민의 바탕 위에 있어. 그러니까, 동정이든 연민이든 사랑이든 이름만 다를 뿐 결국 다 같은 거야. 철이씨, 사람은 누구도 다른 사람의 위에 설 수 없어. 우리는 모두 다 아래에 있으니까."
p.180
"그런데 수치심이라는 게 말이야. 그렇게 나쁜 것만도 아니더라구. 내가 얼마나 보잘것없는 존재인지, 한계를 지닐 수밖에 없는 나약한 존재인지 깨닫게 되더란 거지. 자기를 낮추어 다른 사람에게 기댈 수 있고, 자기에게 기대는 사람을 받아 줄 수 있게 되는 거, 이게 바로 수치심의 긍정적인 면이야. 자신이 부끄러운 존재라는 것을 깨달을 수 있는 자만이 타인에 대해서 배려든 관심이든 사랑이든 쏟을 수 있는 것 아니겠어? 안그래, 동생?"
p.215
우승미, <날아라, 잡상인> 中
+) 소설을 읽으면서 그간 내가 생각해온 수치심에 대해 새롭게 볼 수 있었어 놀라웠다. 긍정의 면도 있었구나 싶은 놀라움이랄까. 지하철에서 물건을 파는 사람들에게는 자부심이 있다. 타인이 어떠한 시선으로 바라보든 그들에게는 규칙이 있고 자부심도 있으며 그들만의 순위도 정해져 있다. 그것이 룰이다. 바로 삶의 룰이다.
타인을 동등하게 보는 시선, 그러니까 당신과 나는 동급이다라는 시선을 유지하기란 쉽지 않다. 의식하고자 노력하지 않는다면 어느 순간 내가 상대의 우위에 서 있게 되기도 한다. 반대로 그의 외양만을 보고 나를 상대에게서 낮추기도 한다. 그동안 나는 어땠을까. 어쩜 나는 아니라고 하면서도 철저하고 상대를 위, 아래에 두지 않았을까 싶다.
사람이라면 누구나 같은 선에 있다. 그것을 알고 사람들을 본다면 훨씬 편안해질텐데. 대부분의 인간들은 그렇지가 못하다. 이 소설 속의 잡상인, 철이는 수지를 만나면서 그것을 서서히 깨달아가는 것이다. 수지가 파는 수치심이라는 것, 물론 긍정의 면보다 부정의 면이 더 많다. 수치심을 팔면 팔수록 상대에게 기대게 될테니까. 스스로의 한계를 명확히 그어버릴테니까. 하지만 수지의 말대로 그만큼 누군가의 의지를 넉넉하게 받아들일 수도 있다. '아, 저 사람이 내게 기대려 하는구나.' 라는 감정에 대해 너그러워질 수 있는 것이다.
나의 시선에 편견을 없앨수록 나도 나를 포함한 주변인들도 훨씬 편해지지 않을까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