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 1987년 제11회 이상문학상 수상작품집
이문열 외 지음 / 문학사상사 / 1999년 8월
평점 :
소유며 축적이란 말도 그에게는 익숙한 것이 아니었고, 권력욕이나 명예욕 같은 것에 몸달아 본 적도 없었다. 언뜻 보기에는 분방스럽고 다양해도 사실 그가 취해온 삶의 방식은 지극히 단순했다. 자기를 사로잡는 여러 개의 충동 중에서 가장 강한 것에 사회적인 통념이나 도덕적 비난에 구애됨이 없이 충실하는 것, 말하자면 그것이 그를 이해하는 실마리이기도 한 그의 행동 양식이었다.
- [금시조]
하지만 싸운다는 것도 실은 막막하기 그지없었다. 먼저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가 그러했고, 누구와 싸워야 할지가 그러했고, 무엇을 놓고 어떻게 싸워야 할지가 그러했다. 뚜렷한 것은 다만 무엇인가 잘못되어 있다는 것뿐- 다시 한 번 어른들 식으로 표현한다면, 불합리와 폭력에 기초한 어떤 거대한 불의가 존재한다는 확신뿐- 거기 대한 구체적인 이해와 대응은 그때의 내게는 아직 무리였다. 솔직히 털어놓으면, 마흔이 다 된 지금에조차도 그런 일에는 온전한 자신을 갖지 못하고 있다.
-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그가 내게 바라는 것은 오직 내가 그의 질서에 순응하는 것, 그리하여 그가 구축해 둔 왕국을 허물려들지 않는 것뿐이었다. 실은 그거야말로 굴종이며, 그의 질서와 왕국이 정의롭지 못하다는 전제와 결합되면 그 굴종은 곧 내가 치른 대가 중에서 가장 값비싼 대가가 될 수도 있으나 이미 자유와 합리의 기억을 포기한 내게는 조금도 그렇게 느껴지지 않았다.
-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이문열, <이문열 문학상 수상 작품집> 中
+) 이문열이란 작가의 행적에 대해 말이 많고, 그의 소설에 대한 평자들의 판단도 극과 극을 달리며 논란이 많다. 그러나 나는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이 재미있는 만큼 치열하게 글을 쓴 소설이라고 생각한다. 이 책은 한 인간이 어떻게 권력에 순응하여 가는지 철저하게 분석한 소설로서 권력과 순종, 타협과 비굴, 반항과 순응의 논리를 잘 보여준 작품이다. 초등학생 교실을 배경으로 초등학생인 석대와 병태의 지배 구조는 사회의 지배 구조와 흡사하다.
그 속에서 권력이 무엇인지, 권력의 힘과 단맛 그리고 쓴맛까지 모두 제시하고 있다. 그것은 그 어떤 사회학적 이론보다도, 어른들의 사회에서 보게되는 장면보다도 정확하게 우리의 머리에 새겨진다. 학생들이 읽어도, 어른들이 읽어도 충분히 공감가는 작품이다. 이 외에 <금시조>, <시인>, <시인과 도둑> 등의 작품은 당시 작가가 짚어주는 당대의 문제점을 보게 된다. 작가에 대한 여러가지 평들을 떠나서 일단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은 권력자와 그 아래 소시민들의 구도를 잘 제시한 작품으로 수작이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