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1교시 닷컴 - 국어.논술
조동기 지음 / 책이있는마을 / 2005년 12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대치동의 스타 강사로 알려진 '조동기'가 제시한 언어, 논술 공부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처음은 학생들 스스로 공부하는 습관을 길러야 함을 강조하는 글이 제시되어 있다.  

그리고 공부하는 방법으로 <논술형 학습 관리 시스템>을 권한다.  

그것은 공부 계획을 세워 구체적으로 어떻게 해야 하는지 잘 제시하고 있고, 

차후적으로 중등부와 고등부를 나누어 학년별 그리고 수준별 학습법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독서를 통해 공부 효과를 높이는 방법과 논술, 언어영역 공부법을 제시했다.  

비교적 구체적으로 제안하고 있어서 도움이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남한산성
김훈 지음 / 학고재 / 2007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 버티지 못하면 어찌 하겠느냐. 버티면 버티어지는 것이고, 버티지 않으면 버티어지지 못하는 것 아니냐..... 김상헌은 그 말을 아꼈다. ... 죽음을 받아들이는 힘으로 삶을 열어나가는 것이다. 아침이 오고 또 봄이 오듯이 새로운 시간과 더불어 새로워지지 못한다면, 이 성 안에서 세상은 끝날 것이고 끝나는 날까지 고통을 다 바쳐야 할 것이지만, 아침은 오고 봄은 기어이 오는 것이어서 성 밖에서 성 안으로 들어왔듯 성 안에서 성 밖 세상으로 나아가는 길이 어찌 없다 하겠느냐.....

p.61

 

시간은 흘러서 사라지는 것이 아니고, 모든 환란의 시간은 다가오는 시간 속에서 다시 맑게 피어나고 있으므로, 끝없이 새로워지는 시간과 더불어 새롭게 태어나야 할 것이었다. 모든 시간은 새벽이었다. 그 새벽의 시간은 더럽혀질 수 없고, 다가오는 그것들 앞에서 물러설 자리는 없었다. 이마를 땅에 대고 김상헌은 그 새로움을 경건성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p.237

 

-- 제발 예판은 길, 길 하지 마시오. 길이란 땅바닥에 있는 것이오. 가면 길이고 가지 않으면 땅바닥인 것이오.

김상헌이 목청을 높였다.

-- 내 말이 그 말이오. 갈 수 없는 길은 길이 아니란 말이오.

p.269

 

 

김훈, <남한산성> 中

 

 

+) 이 소설은 병자호란 당시, 남한산성에 갇힌 무력한 인조 앞에서 벌어진 주전파와 주화파의 다툼, 그리고 기울어가는 조국의 운명 앞에서 고통 받는 민초들의 삶을 내용으로 쓰여졌다. 글을 읽는 내내 세력 다툼을 하는 신하들의 모습보다 진심으로 걱정하는 사람들의 모습이 눈에 들어왔다. 하지만 이내 그들의 염려가 진정 나라와 백성을 위한 것인지 의문이 들었다. 어쩌면 그들에게 우선은 임금이 아니었을까.

 

임금을 위해 사공을 칼로 벤 김상헌의 행동이 과연 정당화될 수 있을까. 나라를 위해서라는 것은 버젓한 핑계가 아닐까 싶다. 사공의 말대로 임금을 모시고, 사대부들을 강 건너까지 안내했으나 그에게 남는 것은 아무 것도 없었다. 그러니까 그가 청나라 군인들을 강 건너로 안내하고 식량이라도 받을 생각을 하는 것이다. 이게 현실이지 않을까. 정작 높은 신분, 혹은 명예를 생각해서 그들이 한 것은 아무 것도 없었다.

 

역사 소설을 좋아하지 않는데 이 책은 참 재미있게 읽었고 감동적으로 다가왔다. 그러면서도 당시 사대부의 허위의식으로 인해 얼마나 많은 백성들이 고통스럽게 살았을지 짐작되었다. 김훈은 인물의 내면 심리를 잘 그려내는 작가라고 생각된다. 그것을 직접적으로 제시하기 보다 행동과 말을 통해서 그들을 속속들이 보여준다. 그것은 독자로 하여금 부담스럽지 않고, 충분히 인물을 머릿속에 그려보게 만든다. 감동적인 역사소설이 그립다면 먼저 이 책을 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교1등 핵심 노트법 - 대치동 공부법 김은실의 전교1등 핵심 노트법
김은실 지음 / 서울문화사 / 2006년 8월
평점 :
품절


이 책은 전교 1등 학생들을 직접 선택하여 그들의 과목별 공부 방법을 소개한다.  

구체적으로 이들이 노트 필기를 어떻게 하고 있는지, 그것을 어떻게 활용하는지, 과목별로 정리하고 있다. 

현실적이고 구체적이라 학생들이 읽었을 때 많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예를 들어 국어의 경우 학생들로 제시한 공부 방법 중에 차이점도 있고 공통점도 있다. 따라서 이 책을 읽는 독자들이 자신에게 적합한 방법을 선택하여 공부하는 것이 좋다.  

그 외에 학교 공부를 떠나 학문적 소양을 기르기에 좋은 습관들이 제시된다.  

특정 과목에는 특별한 방법이 있다. 과목별로 다양한 방법을 제시한 것이 무엇보다 큰 도움이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상위 1% 만드는 초.중.고 통합공부법 - 보통엄마의 사교육비 줄이는 특별한 교육비법
김유강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7년 12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자녀를 교육할 때 어떻게 시작해야 하는지 모르겠어서 난감한 엄마들에게 기본틀을 제시해주는 책이다.  

예를 들어,  우등생 아이를 만들기 위해 저자는 다음과 같은 노력을 해야 함을 알려준다.  무작정 아이에게 주입식 교육을 하거나 학원에 보내기 보다, 아이의 특성을 파악하여 공부 계획을 세우는 것이다.

1. 싫증을 잘 내는 아이들에게는 계속 새로운 문제를 던져주어 관심을 끄는게 중요하다. 
 

2. 공부는 스스로 해야 한다고 다그치기 전에 뚜렷한 목표를 정할 수 있게 도와주어야 한다. 
  

3. 무엇이든 꾸준히 하는 자세도 공부라는 것을 몸소 보여주어야 한다. ‘학생’은 바른 자세로 책상에 앉아 공부하는 사람이라고 설명해주고, 하루에 30분이라도 거르지 않고 공부하는 자세를 잡아준다. 

 4. 모든 문제의 답은 수업 시간에 있다. 학교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라.

5. 초, 중, 고 교육과정을 보면서 아이 공부의 로드맵을 그린다. 교육과정을 한 눈에 꿰뚫어 보아야 한다. 
 

6. 학교의 연간일정표를 꼭 챙겨 아이의 1년 학습계획에 참고한다

 구체적으로 엄마들이 해야 하는 일과, 어떻게 아이의 공부를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해서 저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작성된 책이므로 유익한 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도 밖으로 행군하라
한비야 지음 / 푸른숲 / 200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늘의 나와 내일의 나만을 비교하자. 나아감이란 내가 남보다 앞서 가는 것이 아니고, 현재의 내가 과거의 나보다 앞서 나가는 데 있는 거니까. 모르는 건 물어보면 되고 실수하면 다시는 같은 실수를 하지 않도록 하면 되는 거야.

p.21

 

어느 날 이렇게 마음먹었다. 내가 아무리 애써도 못 고치는 습관을 고치려고 스트레스받지 말고 그냥 인정하자고. 세상에는 성별, 국적, 부모형제 등 자기 의지와는 상관없이 주어진 것들이 있다. 그 주어진 것들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며 탓만 하는 것은 누구에게도 득이 되지 않는다. 자기 힘으로 바꿀 수 없는 것은 하루 빨리 인정하고 그 다음을 생각하는 것이 훨씬 현명하다.

p.82

 

나는 인생이란 산맥을 따라 걷는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이 산에는 무수한 산이 있고 각 산마다 정상이 있다. 그런 산 가운데는 넘어가려면 수십 년 걸리는 거대한 산도 있고, 1년이면 오를 수 있는 아담한 산도 있다. 그러나 아무리 작은 산이라도 정상에 서는 것은 신나는 일이다. 한 발 한 발 걸어서 열심히 올라온 끝에 밟은 정상일 테니 말이다. 하지만 어떤 산의 정상에 올랐다고 그게 끝은 아니다. 산은 또 다른 산으로 이어지는 것. 그렇게 모인 정상들과 그 사이를 잇는 능선들이 바로 인생길인 것이다. 삶을 갈무리할 나이쯤 되었을 때, 그곳에서 여태껏 넘어온 크고 작은 산들을 돌아보는 기분은 어떨까?

p.286

 

 

한비야, <지도 밖으로 행군하라> 中

 

 

+) 나는 봉사활동을 하는 사람을 천사라고 생각한다. 자신의 삶을 위해서 살기에도 바쁜 세상에서, 다른 누군가를 위해 봉사를 한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한비야는 참 용기 있는 사람이다. 자신의 삶에 떳떳하고, 타인의 삶을 사랑하며, 스스로를 당당하게 만드는 삶. 나는 그녀의 삶에 대해 쉽게 이야기해서는 안된다고 생각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 세상에는 이렇게 상상할 수 없이 어려운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다시 한번 느꼈다. 또한 그들을 보살피는 따뜻한 손들이 어디서나 존재한다는 것도 배웠다. 한비야처럼 세계적으로 어려운 이들을 돕는 사람도 필요하고, 우리 나라의 어려운 이들을 보살피는 사람도 필요하다.

 

각박한 삶에서 나 이외의 누군가를 위해 살아간다는 것은 매우 흐뭇한 일이다. 아마도 이들은 타인을 도우면서 스스로를 돕는 길을 선택했으리라 생각한다. 봉사라는 것은 타인에게 손을 내밀수록 자신에게 넉넉해지는 법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열심히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박수를 보내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