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완득이
김려령 지음 / 창비 / 2008년 3월
평점 :
"가지 말라고. 굳이 설명하지 않아도 가만히 버티면 풀릴 오해는 풀린다고. 오해를 안고 떠나면 남은 애들한테는 죽을 때까지 그런 애로 기억될 거라고 하더라."
"그냥 말해서 얼른 풀어."
"아닌 걸 아니라고 어떻게 보여줘? 지나가는 아저씨들 붙잡고 나랑 그런 사이 아니죠, 그래? 맞는 걸 증명하는 것보다 아닌 걸 증명하는 게 더 어렵더라."
pp.93~94
"너처럼 멋도 없는 새끼가 멋있는 척해도 재수 없어. 솔직히 너도 진짜 가난이 뭔지 모르잖아. 아버님이 너한테 금칠은 못 해줘도, 먹고 자는 데 문제없게 해주셨잖아. 너, 나 욕할 자격 없어, 새끼야. 쪽팔린 줄 아는 가난이 가난이냐? 햇반 하나라도 더 챙겨 가는 걸 기뻐해야 하는 게 진짜 가난이야."
pp.135~136
한 번, 한 번이 쪽팔린 거야. 싸가지 없는 놈들이야 남의 약점 가지고 계속 놀려먹는다만, 그런 놈들은 상대 안 하면 돼. 니가 속에 숨겨놓으려니까, 너 대신 누가 그걸 들추면 상처가 되는 거야. 상처 되기 싫으면 그냥 그렇다고 니 입으로 먼저 말해버려."
이 세상이 나만 당당하면 돼, 해서 정말 당당해지는 세상인가? 남이 무슨 상관이냐고? 남이 바글바글한 세상이니까!
pp.136~137
김려령, <완득이> 中
+) 이 소설을 전철에서 읽으면서 민망해 죽는 줄 알았다. 내 예상과는 달리 꽤 재미있는 소설이라 조용한 전철에서 얼마나 웃어댔나 모른다. 아마 사람들이 좀 이상한 여자로 봤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웃음을 멈출 수가 없었는데, 나의 유머 코드와 작가의 유머가 딱 맞아 떨어져서 그런 것 같다. 처음에는 <완득이>라는 제목에 고리타분한 이야기인가 싶어서 거들떠도 안봤는데, 정말 우연히 책을 사게 되었다.
그건 순전히 호기심 때문이었다. 이 책에 대한 정보 없이 구입하고 보니 책 표지 또한 꽤 만화적이다. (개인적으로 이런 만화적 표지는 좋아하지 않는다. 어쩐지 책 속에 담긴 질까지 만화적 상상으로 만들어버리는 것 같아서.) 어찌되었든 이 책은 한 편의 드라마나 영화로 만들어도 좋을 작품이다. 주인공 완득이를 중심으로 담임 선생님 똥주, 난쟁이 아버지, 말더듬이 삼촌의 이야기이다. 표면적으로 보았을 때 그들의 관계와 완득이의 가난한 처지는 가슴 아픈 부분인데도 이 책을 이끄는 완주의 목소리는 굉장히 무덤덤한 태도를 갖고 있다.
무엇보다 똥주 선생님과 완득이의 관계는 뻔뻔하고 괴상하며 끈적끈적하다. 우정,이라는 것을 무덤덤한 남자들끼리, 그것도 선생과 제자 사이에서 주고 받는데 재미있을리 없다 그래도 이 책은 재미있으며 읽는 우리에게 꽤 유쾌하다. 너무 당당해서, 어이없기도 하고, 그럴 듯 하기도 하며, 그랬으면 싶기도 해서. 좀 과한 반응을지도 모르지만 이 책을 읽으며 조세희의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을 생각했다. 난쏘공은 열악한 환경에서 살아가는 노동자의 비애를 처절하고 리얼하게 그린 명작이다. <완득이>는 외국인 노동자와 사회에서 소외받는 장애인(난장이, 정신지체장애자)의 삶을 역설적으로 그리고 있다.
그 두 작품이 바탕에 깔고 있는 소외받는 사람들에 대한 관심,이라는게 공통적이라 그랬나본데, 그래서인지 <완득이>의 유머는 초반에는 즐거웠고 후반에는 눈물을 머금고 웃을 수 있는 풍자였다. 이 책은 창비청소년문학상을 받은 작품이다. 하지만 청소년 뿐만 아니라 어른들이 읽기에도 유익한 책이다. 소외받는 사람들에 대한 상황을 적절히 묘사하며, 그들의 희망을 꿈꾸는 알찬 소설이다. 작지만 행복한 것에 관심을 보이고 싶다면 오늘은 <완득이>를 읽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