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뼛속까지 내려가서 써라
나탈리 골드버그 지음, 권진욱 옮김 / 한문화 / 2005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은유를 위한 은유를 하지 말라. 무언가를 은유하기 위해 당신의 마음을 인위적으로 '만들어 내는' 일을 하지 말라는 것이다. 그저 평소의 사고 방식에서 한발 물러서서 머릿속을 지나가는 생각들을 계속 기록해 보라,
p.72
글쓰기에 관련된 오래된 속담이 하나 있다. '말하지 말고 보여 주라'는 말이다. 무슨 뜻인가? 이것은 이를테면 분노라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고서, 무엇이 당신을 분노하게 만드는지 보여주라는 뜻이다. 당신 글을 읽은 사람이 분노를 느끼게 하는 글을 쓰라는 뜻이다. 다시 말해 독자들에게 당신의 감정을 강요하지 말고, 상황 속에서 생생하게 살아 있는 감정의 모습을 그냥 보여 주라는 말이다.
p117
인내심을 가지고 한결같은 균형을 유지하라, 생각의 지층에 있는 무의식의 세계 속으로, 당신의 핏줄 속으로 글쓰기를 삼투시키라. 그런 다음 드디어 당신이 튀어나올 때, 가령 아침 10시에 글을 쓰겠다고 작정했다면 그 주어진 시간에 압력을 가해야 한다. 1시간이건 20분이건, 시간의 길이는 중요하지 않다. 중요한 것은 이 시간을 의미 있고 가치 있게 만드는 것이다. 손을 멈추지 말고 모든 것을, 정맥에서부터 곧장 펜을 통해 종이위에 토해 놓게 만들라. 멈추지 말라. 망설이지 말라. 백일몽을 꿈꾸지 말라. 제한된 시간이 끝날 때까지 쓰라.
p.143
글쓰기에서도 커다란 들판이 필요하다. 너무 고삐를 세게 잡아당기지 말라. 스스로에게 방황할 수 있는 큰 공간을 허용하라. 아무 이름도 없는 곳에서 철저하게 길을 헤맨 다음에라야 당신은 자기만의 방식을 찾아낼 수 있다.
p.208
나탈리 골드버그, <뼛속까지 내려가서 써라> 中
+) 언젠가 시인이면서 교수인 사람의 강의록을 보게 되었는데, 그가 제자들에게 권한 첫번째 책이 바로 이것이다. 그때도 제목이 의미심장해서 읽어봐야지 싶었는데 놓치고 있다가 갑자기 생각나서 읽었다. 그리고 읽기를 꽤 잘했다는 생각이 든다. 나는 무슨 무슨 법, 혹은 무슨 무슨 방법 이라는 주제를 끌고가는 책들을 신뢰하지 않는다. 대부분 추상적인 몇 마디로 책 한 권을 정리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책은 추상적인 개념보다 구체적인 경험담을 몇 가지 제시해 두었다. 그것을 글쓰기의 방법이라고 말하는 것은 너무 거창할테고, 지은이의 말대로 자신의 경험을 제안한 것이다.
그런데 유익한 것들이 의외로 많다. 시간을 정해두고 글을 써보는 것, 크기나 재질에 상관없이 어떤 상황에서라도 적을 수 있는 창작노트를 만들 것, 몇시부터 몇시까지라는 제한된 시간이 아니라 하루의 어느 지점에서 반드시 글을 써야하는 시간을 만들어둘 것, 한 줄이든 한 단락이든 써볼 것, 억지로 창작하기 보다 자연스럽게 은유하는 방법에 익숙해질 것, 꿈에 대해서 써볼 것 등등 글쓰기의 힌트를 많이 준다.
나는 무엇보다 글이 써지든 써지지 않든 시간을 정해두고 글쓰는 연습을 하라는 말에 신선한 충격을 받았다. 그동안은 글이 써지지 않는다면 과감히 붓을 꺾었는데 그래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꾸준히 지속적으로 쓰고 또 써야지 좋은 문장들을 얻을 수 있다. 작가 자신의 몇 가지 경험담을 공유하면서 내게는 큰 위안과 든든한 버팀목이 생겼다.
간혹 많이 읽다 보면 글이 써지리란 착각에 빠지기도 하는데 그건 절대로 아니다. 내가 쓰지 않는 이상 글쓰기는 늘지 않는다. 그말은 곧 쓰면 쓸수록 더 많이 깨닫고 배우게 된다는 점이다. 물론 어려운 일이다. 그러나 포기해서는 안된다. 이 책을 읽으면 그것을 배웠고, 그렇게 하리라 다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