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람풍경 - 김형경 심리 여행 에세이
김형경 지음 / 예담 / 2006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사람마다 생존에 더 절박하게 필요하다가 느끼는 것이 다르기 때문에 의존적 대상을 선택하는 기준도 다양하다. (......) 의존적 대상 선택의 기준을 가진 사람이 조심해야 할 것은 바로 그 기준이 되는 결함 속에 영원히 매몰될 수도 있다는 점이다.
p.45
"5분 이상 화가 난다면 그것은 나의 문제다."
화를 잘 낸다 함은 어떠한 분노도 5분 안에 처리할 수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p.65
우울증은 내 마음이 혼자 북 치고 장구 치는 난장판이며, 정신의 착오일 뿐이었다.
이제 나는 우울증을 다스릴 줄 알게 되었다. 우울증이 찾아오면 틀림없이 이런 상황 중 하나다. 일주일 이상 운동을 하지 않았거나, 너무 오래 사람을 만나지 않은 채 틀어박혀 있었거나, 심하게 추위에 노출되거나, 햇빛을 적게 쬐었을 경우이다. 우울증에서 빠져나오는 가장 좋은 방법은 운동이다. 운동복을 갈아입고 20분 정도만 걷거나 달리면 부정적인 생각들이 가라앉고, 40분 정도 지나면 마음이 편안해지고, 한 시간쯤 지나면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솟아오른다.
p.77
내면의 불안감을 인식하고 수용하자 오히려 불안정하다고 느껴온 삶의 조건들을 파도타기하듯 누릴 수 있을 것 같았다. 삶의 안정을 꿈꾸는 대신 어떻게 파도타기의 중심을 잘 잡을 것인가에 대해 생각해야 한다는 것도 알았다.
p.91
김형경, <사람풍경> 中
+) 김형경의 소설 <사랑을 선택하는 선택하는 특별한 기준>을 읽으면서 엄청난 충격을 받았던 기억이 있다. 소설 속의 주인공이 나와 흡사하다는 생각은 기존에도 했었으나 이렇게 심리적으로 공감이 가는 인물은 처음이었기 때문이다. 더불어 작가에 대한 절대적인 신뢰감도 생겼다. '사람'을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이라면 결코 이런 소설을 쓸 수 없으리라 믿었으니까.
<사람풍경>이 제시하는 '사람'은 개인적인 서술자일수도 있고, 복수의 목소리를 간직한 다수의 인물을 상징할 수도 있다. 이 책은 여행 에세이이면서 동시에 정신분석학의 개념을 호기심 많은 독자의 입장에서 비교적 흥미롭게 다루고 있다. 그렇기에 심리 여행 에세이라는 책의 설명은 깔끔한 제시라고 생각된다. 작가의 말대로 여러가지 정신분석사전의 개념들을 차용하여 글을 작성하였더라도 기본적인 태도는 작가의 경험에서 우러나오기에 다가서기 쉽다.
한 사람의 경험에서 깨닫게 된 정신분석학적 경향을 살펴보는데, 문제점과 동시에 서술자 나름의 해결책도 제시해 놓고 있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나는 또 한번 나 자신을 돌아보게 되었다. 나도 이런데, 나도 그랬지, 나도... 글자마다 수없이 많은 나를 발견하며, 내가 아파하는 부분과 내가 깨달은 부분의 공통점을 발견하며 반가워했다.
가끔 자신의 가슴이 머리와 달리 행동할 때 이런 책을 읽어봐도 좋다. 무엇보다 우울할 때 가벼운 걷기가 도움이 된다는 것. 따뜻한 햇볕 아래에서 걷는 것이 가장 좋다는 것. 그것은 내가 깨달은 진리이다. 같이 공유할 수 있는 사람이 있어서 기뻤다. 마음이 어지러운 사람들에게 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