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루스트를 좋아하세요
알랭 드 보통 지음, 지주형 옮김 / 생각의나무 / 2005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소설의 가치는 우리 자신의 삶에서 볼 수 있는 것들과 비슷한 정서와 사람들을 표현하는 것에 국한되지 않는다. 그것의 가치는 그것들을 우리가 묘사할 수 있는 것보다 더 빼어나게 묘사할 수 있는 능력, 즉 우리가 명확히 서술할 수는 없었으나 우리 자신의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던 느낌들을 지적해 주는 능력에도 있다.

pp.40~41

 

너무 빨리 하지 않으면 생기는 이점은, 그러는 도중에 세상이 더 재미있어진다는 것이다.

p.63

 

물론 고통 없이도 우리의 정신을 사용할 수 있지만, 프루스트가 제시하는 것은 고통스러울 때에만 철저한 탐구심이 생길 것이라는 것이다. 우리는 앓는다, 고로 생각한다. 그리고 고통을 더 큰 맥락 속에 위치시켜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에 우리는 생각한다. 생각은 고통의 기원을 이해하고. 그것의 여러 특성들을 포착하고, 그 존재를 체념하고 인정하게 하는 데 도움이 된다.

p.92

 

불행이 끈덕지게 재발한다는 사실의 의미는, 불행에 대해 실현가능한 대책을 개발하는 것이 행복에 대한 어떠한 유토피아적 탐구보다도 분명히 가치 있다는 것이다.

p.99

 

책에는 거짓 상냥함이 없다. 우리가 이 친구들과 저녁을 함께 보낸다면 그것은 우리가 진실로 그러고 싶기 때문이다.

p.173

 

 

알랭 드 보통, <프루스트를 좋아하세요> 中

 

 

+) 알랭 드 보통에 의해 프루스트는 되살아났다. 프루스트에 대한 학자들의 평가가 어떤 것이든 간에, 또 한 사람에 의해서 그의 삶과 작품과 사람이 화두가 된 것은 행복한 일이 아닐까. 프루스트의 입장에 서 알랭 드 보통의 기특한 생각에 감탄했으리라 생각된다.

 

아홉개의 part로 정리된 이 책은 '~법'에 대한 이야기다. 예를 들어 '현재의 삶을 사랑하는 법'이나 '훌륭하게 고통을 견디는 법'이 그것이다. 그렇다고 그것들을 가르쳐주려는 교훈서라고 하기에는 미흡하다. 그저 프루스트의 생애와 글을 통해 깨달은 점을 적어 둔 것 뿐이다. 하지만 그것들은 읽는이에게 새로운 지혜를 전달하고, 신선한 충격을 준다. 생각에 근거는 프루스트의 삶이나 글에서 예시된다.

 

프루스트가 누구인지 몰라도 좋다. 한 사람의 작가를 통해, 그의 책을 통해 나열한 생각을 읽어보면 나도 그 한 사람과 같다는 기분이 든다. 그 어떤 잠언집보다 괜찮은 책이다. 알랭 드 보통의 책을 읽을 때면 늘 하는 생각인데, 어떻게 하면 이렇게 지적이고도 아름다운 문체를 사용할 수 있을까 감탄한다. 내가 알랭 드 보통이라는 작가에게서 가장 배우고 싶은 점 중의 하나가 그것이다.

 

깊이 있는 만큼 강동적인 글. 현학적이기만 한 글은 무겁고 흥미롭지 않다. 손쉽게 쓰여진 글은 너무 쉬운만큼 이해하는 기다림의 시간이 없어서 아쉽다. 그런데 알랭 드 보통의 문체는 딱 그 중간, 적절히 섞인 현학적이고도 가슴을 탁 치는 글이다. 꼭 한 번 이런 문체로 글을 써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명랑하라 팜 파탈 문학과지성 시인선 340
김이듬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실종자'

 

 

조심하시오

맞닥뜨린 후에는 이미 경고가 아니다

 

파도가 들끓을 때

나의 눈 속에 물이 끓고

마침내 두 손을 불 위에 얹는다

깜깜한 바위들의 구멍들, 비행기

대여섯 대 낮게 날아오는 동안

새 떼가 고요하게 바위를 뒤덮는 동안

우리는 서로에게 말을 걸려다 입을 다문다

 

구멍으로 만들어진 검은 돌을 넘었다

모래가 없는 해안으로

그곳은 바다가 왔다 갈 뿐 바다는 아니었다

그 아래엔 갯지렁이

마루 아래엔 들쥐

복도에서 복도로

파도에서 파도로

 

폭우가 쏟아지던 밤이었다

서로를 통과한 후 우리는 다른 곳의 사람이 되었다

바다에서 소금을 한 줌 주워 주머니에 넣는다

나는 그를 안고 바다 너머로 걸어간다

 

대피소의 나머지 사람들은 사라졌다

그들은 나를 실종자란에 기록했다

 

 

김이듬, <명랑하라 팜 파탈> 中

 

 

+) 김이듬의 시집에는 표독스러운만큼 안타까운 목소리가 흘러 넘친다. 이번 시집읽기는 무척 힘들었다. 어쩌자고 이렇게 밑도 끝도 없이 악을 써대는가, 그저 커다란 테두리로 보이는 '남성'을 향해 쏟아내는 소리인가. 혼란스러웠다.

 

팜므는 프랑스어로 '여성', 파탈은 '숙명적인, 운명적인'을 뜻한다. 이는 19세기 낭만주의 작가들에 의해 문학작품에 나타나기 시작한 이후, 남성을 죽음이나 고통 등 치명적 상황으로 몰고가는 '악녀', '요부'를 뜻하는 말로 확대되어 사용되고 있다. '운명적'이라는 말은 피할 수 없는 필연적인 굴레를 뜻한다. 즉 '팜 파탈'은 자신이 원하든 원하지 않든 그런 삶을 살지 않으면 안 될 숙명을 타고난 여성이다.

 

"들리지? 내 목소리, 이리 따라와 넘어와 봐 / 너와 나 오래 입 맞추게"([세이렌의 노래]) 이 목소리는 시집 곳곳에서 묻어나온다. 특정한 개인 대 개인의 관계가 아니라 불특정한 다수를 향해 퍼붓는 목소리, 유혹의 소나타이다. "초라한 절망으로는 충분히 가벼워지지 않은 근육들이 핏물에 자유롭게 꿈틀거립니다."([유령시인들의 정원을 지나]) 여자, 그러니까 팜므의 운명은 끝없이 이어진다. 어디로?

 

물론 아주 간혹 간간히 들리는 한숨 소리가 있다. 거기에 팜므의 안타까움이 스며있지만, 명확한 곳을 건드리기가 쉽지 않다. 단지 그녀의 세계는 여자, 여자, 여자. 팜 파탈의 최종 목적은 '명랑'이 아닐까. 독한 기운 끝에 잠시 숨 쉴 지점이 명랑이란 두 글자이다. 그러나 이 시집은 표독한 기운 밑에 그 어떤 짐작을 허용하지 못한다. 그것이 안타까운 부분인데, 지나치게 잔인한 기분이 드는 것은 왜일까. 좀처럼 이해하기 쉽지 않은 작품들이 많아 생각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린 시집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음에는 평화 얼굴에는 미소
틱낫한 지음, 류시화 옮김 / 김영사 / 2002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숨을 들이쉬면서, 자신이 지금 숨을 들이쉬고 있음을 자각하라. 그리고 숨을 내쉬면서, 자신이 숨을 내쉬고 있음을 자각하라. 그때 그대는 그대 안에, 그리고 그대 주위에 수많은 행복의 요소들이 있음을 발견할 것이다. 그리고 그때야 비로소 진정으로 숨쉬는 일을 즐길 수 있고, 지금 이 순간에 살아 있음을 느낄 수 있다.
 삶은 오직, 지금 이 순간 속에서만 발견할 수 있다.

p.26

 

 우리는 저마다 안으로 들어갈 수 있는 오두막을 갖고 있다. 휴식을 취하고 호흡할 수 있는 장소를 갖고 있다. 하지만 그것은 그대가 세상으로부터 멀어진다는 의미가 아니다. 그대가 자기 자신과 더 많이 만나는 것을 의미한다. 자신과 만나는 가장 좋은 방법은 호흡을 하는 것이다.

p. 67

 

"지금 난 정확히 무엇을 하고 있지? 내 삶을 낭비하고 있는 건 아닐까?"

 이런 질문은 곧바로 깨어 있는 마음에 다시 빛을 비추며, 자신의 호흡으로 관심을 되돌리게 한다. 그러면 우리는 자연스럽게 입술에 가벼운 미소를 짓고, 일을 하는 매 순간 생생하게 살아 있게 된다. 노래를 부르고 싶다면 노래하라! 정말 노래하라!

p.134

 

 깨어 있음 속에서 걷는 일은 우리에게 평화와 즐거움을 주고, 우리의 삶을 진정한 삶으로 만든다. 왜 서둘러 달려가는가? 우리의 최종 목적지는 오직 무덤일 뿐이다. 왜 모든 걸음마다 매 순간 평화를 느끼며 삶의 방향으로 걸어가지 않는가? 투쟁할 필요가 없다. 모든 걸음 걸음을 즐기라. 다시 말하지만 우리는 이미 목적지에 도달해 있다.

 만일 그대가 평화와 행복이 다른 어느 곳에 있다고 생각한다면, 그대는 결코 그곳에 이르지 못할 것이다. 지금 이 순간 속에서 평화와 행복이 얻어진다는 것을 깨달을 때, 오직 그때만이 휴식할 수 있다.

pp.275~276

 

 

틱낫한, <마음에는 평화 얼굴에는 미소> 中

 

 

+) 우리는 자신이 살아있음을 기억해야 한다. 눈앞의 욕심과 미래의 소소한 희망을 위해서 현재를, 오늘을, 지금을 희생하는 것은 평화로운 삶이 아니다.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참 많은 것을 배웠다. 지금의 소중함과, 걷는 명상의 지혜와, 평화와 안정의 지름길에 대해 쉽게 접하게 되었다. 공감하는 부분이 절대적으로 많았다. 그것을 잊어버리며 살고 있는 현대인에게 숲속의 바람처럼 상쾌함으로 다가서는 책이다.

 

현재가 복잡하고 어려운 것은 지금 이 순간보다 더 많은 것을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럴 필요가 없다. 작가의 말대로 우리의 목적지는 이미 정해져 있다. 그러므로 순간 순간의 행복한 삶이 우리 자신을 행복하게 만들어 줄 것이다. 읊고 또 읊는다. 지금 이 순간을 행복하게 살자. 내가 행복하면 주변의 사람들도 행복할 것이다.

 

어떤 이유에서건 혼란을 겪고 있는 모든 사람들에게 권하고 싶다. 종교를 떠나서 누가 읽어도 좋을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당신의 조각들 - 타블로 소설집
타블로 지음 / 달 / 200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휴식이 필요해.
 잘나빠진 친구란 것들의 목소리.

- 피터 너는 휴식이 필요하다고. 가고 싶은 곳으로 떠나.

 그는 럼주를 다시 서랍 안에 숨기고. 입속에다 민트사탕 몇 알을 넣고는, 어디로 가고 싶은지. 과연 그런 곳이 존재하긴 하는지. 그저 일어나서 훌쩍 떠나버리는게 가능한 일인지 슬쩍 생각해 보았다. 머릿속에는 희미한 구름이 형태를 취하기 시작했다.

 그때 종소리가, 총구에서 발사된 총알처럼, 교실안으로 왁자지껄한 목소리들을 불러들였고. 동시에 피터의 관심을 꿰뚫었다.

-[휴식]

 

예전에 한 동료가 이렇게 말했다. "캐스팅은 다른 누군가를 위해 쇼핑하는 거야. 대리 쇼핑. 예를 들면 어머니를 위해 요리 재료를 사는 것과 같지. 근데, 가장 좋고 비싼 재료를 찾아서 샀는데, 제기랄. 결국 어머니는 그걸로 늘 똑같은, 그것도 아주 엿같은 요리를 만들어 버려." 마크는 그 말을 아주 단순하게 받아들였다. 제작이 시작되면 여배우가 더이상 자신의 것이 아니라는 것.

-[쥐]

 

"내가 보기엔 겁쟁이란, 정직한 방법으로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어내지 못하는 사람들이야. 말하자면, 남을 괴롭히는 것도 결국은 불합리한 폭력으로 다른 사람들의 관심과 애정을 받고 싶은 욕구에서 발현된 반쪽짜리 행동이지."

-[최후의 일격]

 

 

타블로, <당신의 조각들> 中

 

 

+) 아이에게 물었더니 타블로의 책을 읽고 싶다고 했다. 아이는 타블로의 이력을 꿰고 있었는데, 솔직히 아이의 입에서 그 말을 듣기 전까지는 편견을 갖고 그의 소설집을 바라 보았다. 아이에게 선물하기 위해 책을 샀고. 궁금해서 슬쩍 들쳐 보았다.

 

산문집 혹은 에세이일꺼라 생각했던 내 편견과는 달리 그의 소설집에는 소설에 다가가기 위해 노력한 흔적이 보였다. [쥐]를  읽었을 때는 서술자도, 인물들의 심리도 가슴으로 전해졌다. 현재 우리가 읽고 있는 젊은 작가들의 소설과는 다르지만, 잔잔하게 흐르고 있는 작가의 호흡이 잘 전해지는 책이다.

 

그런데 과연 학생들이 이 책을 읽으면 어떤 반응을 보일까. 그게 궁금하다. 그들을 무시하는게 아니라 그들의 감수성에 호기심이 생긴다는 것이다. 그 시기를 거쳐온 나지만, 그 시기의 나를 떠올리는 것이 참 어렵다.

 

어찌되었든 작가 개인의 기록이 바탕이 된 소설이라면 정체성을 찾아가는 소년의 목소리가 성장하면서 더 굵직굵직해진다는 생각이다. 편견을 버리고 소설을 읽으면 섬세한 감성의 손길이 느껴진다. 가벼운 필치나 무거운 주제를 다루고 있다. 작가의 지나온 과정에 따뜻한 포옹을 해주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갈팡질팡하다가 내 이럴 줄 알았지
이기호 지음 / 문학동네 / 200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러니까 나름대로 착착, 민국의 술꾼들의 표준적인 행보를 고스란히 따라간 것이었다. 이제 곧 닥칠 불행 따위는 상상조차 하지 못한 채.......

그러니 한심한 청춘이라는 소리를 듣는 것이다.

-[원주통신]

 

수영은 매일 노트북 앞에 앉아 있었다. 소설을 쓸 생각이었다. 장편소설 한 편만 끝마치고 내려가자. 그것이 그의 계획이었다. 딱 그만큼만, 딱 그만큼의 시간 동안만 현실에서 벗어나자........ 그리고 다시 일거리를 찾아보자........ 소설로 돈을 벌 생각은 없었다. 그것으로 생활을 유지할 생각도 없었다. 그는 단지 딱 일 년만이라도, 지난 이 년 동안 수고 많았으니, 그러니 딱 일 년만 만용을 부리며 살아보자, 자신에게 약속했다. 그런 마음으로 매일 노트북 앞에 앉아 있었던 것이다.

-[수인(囚人)]

 

그러니까 이 소설은 학부 시절 은사님들께 드리는 나의 때늦은 변명이기도 하다. 누가 그렇게 말하지 않았는가. 소설은 그 사람이 살아온 이력만큼 나온다고. 나는 에리아, 뿅! 만큼 살았으니, 에라이, 뿅! 같은 소설을 쓸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누가 뭐라 하더라도 그것이 나에겐 리얼리즘이었으니까. 그것이 내 태생이었으니까.

-[갈팡질팡하다가 내 이럴 줄 알았지]

 

 

이기호 소설집, <갈팡질팡하다가 내 이럴 줄 알았지> 中

 

 

+) 이 소설집은 대체로 만화적 상상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만화 속에 풍덩 빠져 헤어나오지 못하는 게 아니라, 현실을 바라보며 만화를 중얼거리고 있다. 그렇다고 가벼운 이야기 몇 개라고 말하고 싶지는 않다. 이기호의 소설에는 중심 소재가 대부분 '소설'이다. [나쁜 소설], [수인], [갈팡질팡하다가 내 이럴 줄 알았지]에도 제재로 등장하지만, 사실 소설집 전체가 그의 자전적 소설처럼 포장되어 있다.([할머니, 이젠 걱정마세요])

 

서술자의 목소리는 곧 서술자의 기억을 따라가게 하며 거기서 그의 현재와 과거를 들여다보게 만든다. 나는 이 책을 읽으며 이기호라는 소설가가 소설에 대한 기존의 개념들(형식이라면 형식일테고, 고정관념이라면 고정관념일 것이다)에 오래 전부터 혼란 혹은 지루함을 느꼈으리라 짐작했다. 그리고 어찌되었든 그는 등단을 했고 한번쯤은 자신이 생각했던 소설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고 싶었을 것이다.

 

만화적 상상력을 지닌 이 소설집은 읽을수록 그가 제시한 '우연'에 가까워진다. 처음에는 말도 안된다고 생각하다가도, 혹시, 설마, 어쩌면 그럴 수도 있을 법한 일이 벌어진다고 생각하게 된다. 나는 기존 소설에 대한 그의 소극적인 반항 태도에 살짝 웃었지만, 그래도 아직 젊은 작가의 혈기로 그렇게 중얼걸릴 수 있는 것들에 대해 살짝 웃었다.

 

이기호의 소설은 재미있으나 삶을 돌아보기에는 조금 먼 감이 있다. 그건 작가의 생각대로 우연에 머물러서 그런 것이 아니라, 한 개인의 것에서 일반적인 사람들의 이야기로 나아가기엔 그의 소설이라는 다리가 투명해보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나는 이런 소설가들이 많아졌으면 좋겠다. 그러다보면 우리가 생각하는 소설이 한 편 등장하지 않겠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