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파이 이야기
얀 마텔 지음, 공경희 옮김 / 작가정신 / 2004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죽음은 생물학적인 필요 때문에 살에 꼭 달라붙는 것이 아니다 - 시기심 때문에 달라붙는다. 삶이 워낙 아름다워서 죽음은 삶과 사랑에 빠졌다. 죽음은 시샘 많고 강박적인 사랑을 거머쥔다. 하지만 삶은 망각 위로 가볍게 뛰어오르고, 중요하지 않은 한두 가지를 놓친다. 우울은 구름의 그림자를 지나칠 뿐이고. 그 백인 남학생은 '로즈장학위원회'에서 장학금을 받았다.
p.17
모든 생물은 광기가 있어서, 때론 설명할 수 없는 이상한 방식으로 행동한다. 이런 미치광이 기질을 소중히 여겨야 한다. 그것이 적응의 원천이기도 하니까. 그런 기질이 없으면 어떤 종도 생존하지 못할 것이다.
p.59
공포심에 대해 한마디 해야겠다. 공포심만이 생명을 패배시킬 수 있다. 그것은 명민하고 배반 잘하는 적이다. 관대함도 없고, 법이나 관습을 존주앟지도 않으며, 자비심을 보이지도 않는다. 그것은 우리의 가장 약한 부분에 접근해, 쉽게 약점을 찾아낸다. 공포심은 우리 마음에서 시작된다.
p.203
공포의 손아귀 -최악의 폭풍우- 속에서도 당신은 권태를 느낀다. 그 모든 것과 함께 깊은 나른함을 느낀다.
죽음만이 지속적으로 감정을 흥분시킨다. 삶이 안전해서 침체했을 때 그것에 대해 고민하게 하거나, 삶이 위협받고 소중할 때 달아나게 한다.
p.270
얀 마텔, <파이 이야기>
+) 이 소설은 '파이(피신)'이라는 소년의 표류기이다. 바다 위에서 폭풍우를 만나 부모와 형제 모두를 잃고, 기존에 아버지가 경영하던 동물원의 동물들과 남게 된다. 그것도 다리를 다친 얼룩말과 하이에나, 오랑우탄, 그리고 호랑이 한 마리와 말이다. 최종적으로 호랑이와 파이가 남게 되기까지 파이가 생각한 것은 인정할 수 없는 현실과 맹수들 곁에서 어떻게하면 죽지 않을 수 있을까이다.
호랑이 한 마리, 그러니까 이름이 '리차드 파커'인 호랑이는 기회가 주어지면 먹으려고 들었고, 파이는 그가 자신을 먹기 전에 먹이를 주기 시작했다. 파커의 먹이를 구하면서 생물을 죽이게 되고, 그것에 자책하게 된다. 그러나 그건 바다위에 떨어진지 얼마되지 않았을 때다. 그는 오랜 시간 바다 위에 표류하게 되면서 채식주의자의 식성을 버리고 바다사자와 물고기로 연명하게 된다.
이것이 사실인지 아닌지는 중요하지 않다. 중요한 것은 주인공이 처한 기막힌 상황에서 우리가 무엇을 얻을 수 있느냐이다. 좌절? 절망? 아마도 어떤 사람은 희망을 발견하지 못하고 자기가 먼저 상어가 우글거리는 바다로 뛰어들어 자살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파이는 아니었다. 그는 어떻게든 이 상황을 모면해서 살아야 했다. 물론 파이도 좌절하고 두려워했다. 하지만 그는 현명한 소년이다.
최악의 상황에서도 자기가 할 수 있는 최선의 선택이 무엇인지 나열할 줄 아는 인간이었다. 그리고 그는 최고의 선택을 했다. 나는 두꺼운 이 책을 손에 쥐고 솔직히 '재미가 있을까?' 이런 생각을 잠깐 했었다. 하지만 소설이 본격적으로 파이의 표류기에 들어서면서 손을 뗄 수 없었다. 밤새 읽고 나니 파이가 존경스러웠다. 인간에 대한 뿌듯함과 편안함이 몰려왔다.
누구나 살면서 수많은 어려움에 처하게 된다. 거기서 좌절하고 만다면 생을 사는 사람보다 죽는 사람이 더 많은 것이다. 그 어려운 상황에서 자신이 할 수 있는 최선을 것을 하라. 그렇다면 삶도 기꺼이 달라질 것이다.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희망을 가져야 한다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