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재성을 깨워주는 명화 이야기 - 이명옥 사비나 미술관장이 들려주는
이명옥 지음 / 꼬마심포니 / 2005년 9월
품절


표지그림은 마음에 들지 않지만 몰랐던 많은 그림들을 볼 수 있고, 그림을 보는 눈도 새롭게 갖게 된다. 미술관이나 박물관을 갈때도 수박 겉 핥기가 아니라 진실을 볼 수 있게 되었다.

갖가지 과일 야채 곡식들로 만든 그림이다. 아저씨의 코는 당근이고, 입은 앵두이다. 그리고 아름다운 꽃과 무, 호박들이 보인다. 주변의 모든 사물이 미술의 소재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이 그림은 온갖 짐승들이 얼굴을 이룬다. 코끼리의 큰 귀가 사람의 귀가 되었고, 노루의 통통한 엉덩이가 아저씨의 뭉툭한 코가 되었다. 소의 엉덩이와 등이 아저씨의 목이 되었고, 양의 얼굴과 풍만한 털이 옷이 되었다.

네모난 책만으로도 사람 얼굴을 만들 수있다. 머리카락 표현, 목, 옷까지 학자같은 모습이다.

같은 모양의 갖은 그림이 모여서 똑같은 큰 그림을 형성하는 것이다. 점묘화의 기본이 된다고 볼 수 있다.

똑바로 볼 때와 거꾸로 볼때 전혀 다른 그림이 된다. 똑바로 보면 호수의 백조들이지만 뒤집어 보면 코끼리 그림이 된다. 글을 읽지 않아도 그림만으로도 배가 불러지는 책이다. 6살 아들도 신기해하며 오래오래 보았다. 그리고 글을 충분히 읽을 수 있는 초중등학생들이라면 정말 미술의 좋은 배경지식이 되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무와 게로 오늘은 시장 보러 가는 날 벨 이마주 12
시마다 유카 지음, 햇살과나무꾼 옮김 / 중앙출판사(중앙미디어) / 2002년 2월
절판


요즘 우리 아들은 마트 가는 것을 가장 좋아한다. 날씨가 추우니 따로 나가는 곳이라고는 마트밖에 없다. 마트에 가면 자신이 좋아하는 물건들을 모두 볼 수 있고 갖고 싶은 것도 살 수 있으니 좋아한다.

"드디어 시장에 왔어. 가게가 아주아주 많고, 무지무지 북적거렸어."빵가게, 음료수 가게, 옷감가게, 장난감 가게, 그릇 가게가 즐비하다, 나무 아래에서는 아주 작은 새가 점을 친다. 고슴도치가 점을 보러 간다.

과일 가게에서는 과일도 시식할 수 있고 다양한 음식들의 냄새를 맡을 수도 있다.

장난감 가게에서는 장난감을 구경하기도 하고 직접 가지고 놀 수도 있다.

서점에서는 잠깐 동안이라도 책도 볼 수 있다.
이 책에서는 아이들의 다양한 관심분야, 먹는 것, 입는 것, 장난감 등등을 구경하고 사는 활동이 이루어진다. 20장이 넘는 페이지도 모자라 각 페이지도 분류하여 만화처럼 구성하였다. 글의 양이 많으면서도 많다는 느낌을 받지 않고 읽을 수 있다.
"모두들 마음에드는 물건을 사서 다행이야."하며 자동차 가득 싣고 돌아온다. 다양한 사물의 이름을 배울 수 있고, 관심 분야도 알 수 있어 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포토리뷰 대회
구름이는
이토우 히로시 지음 / 그린북 / 2003년 2월
절판


구름이는 지금 금방 세상구경을 나온 아기 구름. 이것저것을 보면서 신기해한다. 빌딩도 보고, 배고 보고, Š도 보고, 기린도 보고....
다양한 사물과 동물을 보면서 그들의 놀라운 모습에 강한 호기심을 보인다. 마치 아이들처럼 신이나서 구경하다가 끝내는 실망하게 된다.
"하지만 나는 아무런 모양이 없어요."
아무것도 할 수 없을 것 같은 무기력감에 빠져든다.

구름이는 그가 본 다양한 사물들을 흉내내기 시작한다. 사자모양도 되어보았다가 악어모양도 만들어 본다. 구름이는 모든 것이 가능하다. 아이들이 역할놀이 하는 것처럼 재미있어 한다. 엄마도 되어 보고 아빠도 되어보고, 경찰도, 소방관도, 의사도 되어 보는 것이다.

구름이는 아이들의 칭찬에 물고기, 비행기, 말로도 변신해 본다.
구름이에게 필요한 건 "정말 구름이는 굉장해"라는 칭찬 한 마디뿐이다.

어쩌면 아무런 모양이 없는 게 그것이 나의 진짜 모양일지도 몰라
아이들의 무한한 가능성을 나타낸 동화집이다.
아무것도 제대로 할 수 없지만 무엇이든지 노력하면 성취할 수 있는 가능성의 시기이다.
우리 현민이는 무한도전을 즐겨본다. 숨이 끊어져라 웃어대는데 우리 아들의 가능성을 발견하게 되는 좋은 그림책이다.
아들아, 사랑하고 노력하고 많은 칭찬으로 무럭무럭 자라다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들이 사는 집 자연과 나 34
로렌 스트링어 그림, 린다 애쉬먼 글 / 마루벌 / 2003년 1월
절판


동물마다 사는 집이 다르다. 새들은 절벽 위에, 박쥐는 어두운 동굴위에 북극곰은 얼음 속에,거미는 거미줄에

심지어 사람들이 싫어하는 쥐는 마루바닥밑에

거북이의 집은딱딱한 껍질 속이고 달팽이는 집을 늘 지고 다닌다.

사람들도 집에 산다. 아파트든 주택이든 빌라든 그 모든 집은 모두 좋다. 왜냐면 가족이 함께 있고 놀 수 있고, 쉴 수 있고,

개미들처럼 서로 돕고

부모자식간에 형제지간에 서로 아껴주고

하니까... 가정의 소중함을 함께함의 아름다움을 아이들이 좋아하는 동물들의 보금자리를 통해 가르친다. 그리고 다양한 보금자리에 대한 단어를 학습할 수 있어 도움이 된다. 4-6세의 아동들에게 유익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큰발 중국 아가씨
렌세이 나미오카 지음, 최인자 옮김 / 달리 / 200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등학교때 국어교과서에서  배운 내용이다. 전통과 인습의 차이

이전부터 전해 내려오는 것으로 가치가 있는 것은 전통이 되고 그냥 몸에 익어 버린 것은 인습이다.

사람들은 그냥 몸에 익은 것에 대해 바꾸려 하지 않고 그대로 따르려한다. 그리고 그것에 따라 하지 않는 사람들을 비판한다.

이 글도 전족을 거부한 발이 엄청 큰 여성의 이야기이다. 인간극장에 나올법한 이야기이다.

아버지의 개혁적인 사고관으로 딸에게 전족을 강요하지 않았다. 하지만 전족을 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파혼을 당하게 되고 집이 기울자 취직도 못하게 된다. 큰아버지의 고정관념으로 여러 어려움을 겪다가 미국으로 가게 되고 가정교사로 일하다가 재미교포에 결혼을 하게 되어 오히려 성공적인 삶을 살게된다.

문화를 받아들일때 객관적인 그리고 논리적인 사고가 필요하다. 여성을 억압하고 구속하려고 했던 나쁜 관습을 그대로 따를 필요는 없는 것이다.

전통과 문화를 배우는 청소년들에게 화두를 던지는 좋은 책이다. 세계관,문화관을 갖게 하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