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주전부터 지방에 홀로 계셨던 아버지가 우리집에서 지내신다. 내가 아이를 낳았던 5년전부터 엄마가 올라오셔서 아이를 봐주고 계시고. 이웃에 사는 동생들집도 왔다갔다 하시며 한달에 한두번 정도 아버지 계신 지방에 내려가셨었다. 아버지가 (우리 사남매들이 자란) 그곳을 정리하고 서울에서 함께 사셨으면 하고 여러번도 말씀 드렸지만 아버지는
"언젠가는 그래야지, 지금은 아니다" 라고 하셨었는데, 2주전 아버지가 몸이 안 좋아지셨고, 서울로 모셔와 이런저런 검진을 받으셨다.
지금은 많이 쾌차하셨지만, 그 꼬장꼬장함으로 미루어보건데, 벌써 자리 박차고 내려가셨을 분이지만, 이제는 도저히 엄두가 안 나시는 모양이다.
이런 삶, 늙으신 부모님이 출가한 딸의 직장 때문에 따로 떨어져 살아야 하는 삶도 있다. 다른 사람들에게 이야기하면 어떤 이들은 상식적으로 이해가 안 간다는 듯 깜짝 놀라는 표정을 짓곤 한다. 아버님 혼자 끼니를 어떻게 챙겨 드시냐고.
지난 5년간은 우리모두 그럭저럭 꾸려 왔다.
그러나 이제부터는 아니다.
요즘엔 기력이 달린다. 계절을 타는 것일지도.
분명 정신적인 피로도가 만만찮아 그런 것일거다.
머리가 개운하지도 않고, 숙면을 취하고 있지도 않고.
내가 무엇을 근심하는지 짐작되는 바 없지 않지만, 그게 걱정거리라고 명명하기도 싫다. 규정짓는 순간 내 삶이 볼품 없어지는 것 같은 느낌?
'제테크 독하게 하라'라는 책 제목을 혐오했지만, 결국 제테크는 좀 아주 잘 하고 싶다는 절박함이 들기도 하는 요즘,, 구질구질하게 굴지 말고, 눈 한번 딱 감자고 몇번을 마음을 다잡았는데도,,,, 거참...
실체 없지만 아주 막강한 녀석과 대치중인 것 같다.
'이 녀석을 잘 구워삶을 수 있을까? '
금요일 새벽 1시에 채널을 돌리다가, 종편 채널 중 하나에서 일본 드라마를 하고 있었다. 마침 나왔던 장면은 초등 1학년 교실 풍경이었는데, 생글거리는 얼굴에 귀여운 표정을 하고 있는 아이와 황망한 표정을 짓고 있던 여선생님. 제목이 마더이길래.
마더, 마더라면, 머릿속을 필터링한 결과 최근 어떤 대화 장면이 떠올랐다.
지인 둘이서
“명품 일본 드라마를 하나 봤다”, “뭐냐? 마더냐?” “아니, 장미 없는 화원이다.”라고 했던가...
계속 봤다. 여선생님으로 나오는 배우가 굉장히 쓸쓸하게 느껴졌다. 빈 집에 혼자 들어왔을 때, 밖에서 혼자 밥 먹을 때, 심지어 그녀가 전공마저도 “(철)새 연구(?)”
아이도 불쌍해서 죽겠는거다. 싱글맘과 엄마의 애인에게 냉대와 학대(?)을 당하는 또래보다 체구가 너무나 작은 8살 여자아이였다.
어느 장면에서였더라, 엄마의 애인이 커다란 검정 비닐봉투에 아이를 싸서 묶은 장면에서부터였던가,,, 뭐 이런 쓰레기 같은 경우가,,, 하며 어이가 없는 가운데, 내 눈에서 수도꼭지가 열린 것처럼 계속 눈물이쏟아져 나왔다.
아이는 그 순간에도 엄마에게 ‘아저씨랑 숨바꼭질 놀이 하고 있었어!’ 라고 말한다. 학대를 당하는 순간마저도 쌩글쌩글 웃고 있는 아이는 반항이라는 것도, 싫다는 거부의 몸짓도 할 줄 모른다. 아이다운 징징거림, 신경질 혹은 짜증, 분노 혹은 화를 받아주는 이가 없었기 때문에 낼 줄 모르는 것일지도.

슬픔이 찰랑찰랑 차오른다.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