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젠가 내가 돌아오면
전경린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05년 12월
평점 :
품절


평균 수명대로 산다면, 난 살아야 할 날이 살아온 날보다는 조금 많지 않을까. 그러니까 아직은 젊다고 말할 수 있을 거다. 누군가, 나이 지긋한 양반께서 "세상 사는 게 딱 귀찮다. 늙어서 좋은 점은 세상을 귀찮아 할 수 있어서다" 라고 했다는데, 아직 젊다고 생각하는 나는 - 아니 혹여 나이를 먹더라도- 삶의 범위를 확장시켜 보려, 애쓰면서 사는 노선을 택하려 할 것 같다. 책읽는 행위에 있어서 말이다. 근데 그렇게 애쓰려 노력하다면, 소위 관심권은 아니지만, 세상돌아가는 것에 무심해지지 않기 위해 관심 있는 척 애쓰며, 읽게 되는 책이 있는가 하면, 이런 소설처럼 사랑과 일상의 본질을 좀더 적나라하게 보여 주는 책은 의식하지 않아도 저절로 손이 가는데, 사실 이 부류는 흔히 사람들이 명명하기로는 시간 때우기용 독서다. 근데, 그거 아나, 우리 삶에서 시간 때우기용 소설은 분명 필요하다. 그것의 최고봉은 각자의 취향마다 다 다르기 마련인데, 나의 경우 대체로 온다 리쿠와 전경린 쯤.   

실은 별점이 5점 만점에 3.5점이다. 4점은 소설에 대한 점수고, 0.5점을 깎은 건 편집에 대한 것.

오타가 작렬한다. 그리고 제본도 형편없으니(험하게 읽다보면 책이 절반으로 박쪼개지듯 쩍하니), 냉정한 눈으로 보지 않으면, 작품마저도 덩달아 허접해보이게 될 거다.  일일히 기록할 시간에 밑줄긋기 워드 작업이나 하련다.

 

p.20

삶이란 아귀를 맞추는 것을 단념하고 해독을 유보한 채 다만 자신의 진실을 경험해야 하는 것이다. 혜규는 사람이 태어나 살아가는 이유가, 이 세계에 새겨진 원전과 원전 사이에서 저마다 하나씩의 이야기를 만들어 신에게 바치기 위해서라는 생각이 들었다.

 

p.136

"생물학자들은 사마귀들이 교미하는 동안 암놈이 수놈의 머리를 먹어 치우는 이유를 오랫동안 몰랐어. 사실이 발견된 지 50년이 지난 뒤에야 수놈의 머리를 제거하면 교미 능력이 증진하다는 사실을 알아냈지. 머릿속에 있는 식도하신경절이 복부의 교미 운동을 방해하는 거야. 수놈 사마귀는 머리가 먹혀야 사정한다는 설도 있어."

 

p.147

"간통죄가 엄연히 있다. 안 됐지만, 이 나라에선 그릇이 더 중요하지."

"몇 개의 나라에만 남아 있는 법이 이 나라에서 유독 완강해. 형식이 더 중요시되다 보니, 이 나라에선 삶이 너무 박약해. 삶의 많은 내용이 이중성 속에서 유실되지. 사랑은 국가에서 통제할 수 없는 문제라고 생각해. 법과 제도와 질서의 문제 이전에 개인적 진실의 문제야. 극히 사적인 범주지. 제도와 질서가 사랑을 보존할 수도 없고 사랑을 박탈할 수도 없어. 우리나라의 간통법도 정서적으로 편들어 주는 정도이지 실제론 법이 성인들의 사랑을 통제하지는 못해. 진실 앞에선 종이 호랑이일 뿐이라고."


p.273

"저마다 제 갈 길을 가면서 흩어져도 근본적으로 함께인 것이 더 진정한 유대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달을 먹다 - 제13회 문학동네소설상 수상작
김진규 지음 / 문학동네 / 2007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절정에서 제법 큰 것이 터져야 한다는 구성 단계상의 묘미가 약해 밋밋하다. 고로 노련하지 않구나! 하는 느낌이 드는 거. 앞부분의 추진력에 비하면 마무리도 싱겁다는 인상 또한. (첫 소설이라는데, 아직은 너무 당연한 거 아냐?) 그러나 다박다박한 문장 하나하나는 묘사가 사실적이고 명징하며 온당해서 믿음이 가는 글쓰기를 한다는 인상을 준다. 정말 작가는 굉장히 단정한 사람일거야 하는 작품 외적인 사견(?)을 심어 준다. 게다가 그 안에는 따뜻함과 허허로움이 배어 있으니.....

이런 작가가 현대물을 쓰면 어떻게 나올까? 궁금하다.

아쉬운 것은 인물에 성격을 불어넣는 부분에서 약하다는 점이다. 몇몇 인물들로 시점을 달리했다. 그러나 드러나는 성격의 음양각은 요철이 없달까. 이런 구성 방식을 취한 이유는 '한 가지 사실을 놓고도 입장과 관점이 다를 수 있다는 것을 보이기 위해서 라고 인터뷰에서 말했는데, 굳이 취한 방식의 효과가  미미해 보인다. 작중 인물끼리의 오해의 간극이 생각만큼(?) 극적이고, 재밌지가 못하다는 것. 


댓글(3)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8-01-16 13:2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8-01-16 14:52   URL
비밀 댓글입니다.

자일리 2008-01-19 00: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책 뒤표지의 카피를 보고 혹! 했었는데, 그러지는 말아야 할까봐요.. 대신 '다박다박한 문장'에 기대를 해보렵니다.^^
 
<아이의 손을 놓지 마라> 서평단 알림
아이의 손을 놓지 마라
고든 뉴펠드 외 지음, 이승희 옮김 / 북섬 / 2007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 아이는 지금 16개월이다. 요즘 고민이 있다. 아이가 말끝마다 “아이씨” 한다. 제 기분에 맞지 않거나, 자기에게 관심을 끌려 할 때, 그리고 심심할 때, 쓴다고 보면 된다. 찬이 또래 조카가 있는 친구에게서 그럴싸한 조언을 들었다. 그럴 땐 아이참~ 으로 유도해서 바꿔주면 된다고. 그리고 어제는 어머니가 보시고, 이맘때 하는 말들은 조금 지나면 안 한다고...걱정하지 말라 하신다.

하지만, 아이참으로 바꾸는 거 도통 안 통한다. 한번은 엉덩이가 빨개져라 때려도 봤다. 왜 맞는지를 모르니까, “아아~이이~ 씨이~”하면서 울부짖었다. 끝까지......!

대다수의 육아서에서 말하는 떠받들어줘야 하는 시기라서. 내 두달만 지켜보리라 하고 있다.

지금도 이렇게 힘에 부치는데, 아이가 자라면서 나는 얼마나 자주 많이 “아이 키우기 힘들어!” 푸념을 늘어놓을까.

 사실 육아 서적을 통해 아이를 가르치는 지침을 받는다기 보다는 약하고 상처입기 쉬웠던 어린아이 나에게 좀 늦었지만, 치유책을 주고, 그 마음을 헤아려주는 과정으로서의 의미가 더 크지 않나 하는 생각을 한다. 

요즘은 부모가 전업으로 일을 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예전보다는 상대적으로 풍요로운 와중에도 사회적 스트레스와 경제적 불안이 함께 증대하면서, 자녀들과 결합된 차분한 부모 노릇이 더욱 어려워졌다.

이 책은 부모 역할을 하려면 힘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왜 그럴까? 우리는 책임을 져야 하기 때문이다. 책임을 완수할 수 있는 힘이 없다면 부모 역할을 할 수가 없다고 한다. 아이에게 힘을 행사할 수 있으려면 애착을 적절히 형성해야 한다. 이 책에서 말하는 것의 관건은 바로 이 애착이다.

누군가 자기를 알고 이해한다는 느낌을 가진 아이는 또래지향성이 제공하는 빈약한 상차림에는 좀처럼 만족하지 않는다. 이런 식으로 또한 우리는 아이에게, 미래의 애착의 표본을 제공한다.

“자신이 원하는 뭔가를 결정하면 내가 안 된다고 애기할 수 없을 때까지, 또는 내가 화가 치밀 때까지 고집을 꺽지 않죠.”

인간은 모든 동물들 가운데 가장 상처입기 쉬운 존재이다. 그렇게 상처입기 쉽고 나약한 아이들이 어떻게 그러게 거칠고 무엇에도 상관 않는다는 듯한 초연한 태도를 보일까? 그것은 아이들의 진짜 얼굴이 아니다.

진정한 자존감은, 책임감 있는 어른들과의 따뜻하고 애정이 가득한 관계에서만 배양되는 정신적 성숙을 필요로 한다고 강조한다.

아이들을 사회화시키려 서두르는 가운데, 아이들은 우리와 함께 보내거나 혼자서 하는 창의적인 놀이를 할 시간이 거의 없이 내몰린다. 아이는 아이들보다 어른들을 훨씬 더 필요로 한다. 부모는 형제가 없는 아이를 안쓰러워할 이유도 또래들로 그 결핍을 채워줘야 한다는 강박을 느낄 필요도 없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icaru 2008-01-09 08: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남의 아이는 이쁘다 ㅎㅎ 제동생하고 같은 말씀을 하시네요~ 그치만 자기 아이를 낳아보신다면...천만에만만에 예요~
님 반가워요. 몸 사진 이미지..아주 많이 구면 ^^
 
세계사를 바꿀 달러의 위기
빌 보너.애디슨 위긴 지음, 이수정.이경호 옮김 / 돈키호테 / 2006년 8월
평점 :
절판


더도말고, 덜도말고 원제 그대로 제국의 빚(부채)에 대한 얘기고, 그렇게 소비하다간, 로마꼴난다. 며, 미국 내에 과소비에 대한 경각심을 부추기기 위한 책이다. (세계사를 바꾸기 까지 하는 달러의 위기...씩이나는 아닌 거 같다는.)

역대 제국의 역사에 빗대어 미국의 경제를 꼼꼼히 살펴보는 것은 좋았으나, 현대의 제국적 질서는 미국인들보다는 외국인들에게 더 이익이 되고 있고, 아시아에서는 실질 임금이 상승하고 있는 반면 미국에서는 정체되어 있으며 비록 미국이 무역 적자를 줄인다고 하더라도 상대적으로 미국인들이 점점 더 가난해질 가능성이 있다고 시종 징징거려서 거슬림이 없지 않은 책이었다.

그리고 이들 또한 프랜시스 후쿠야마의 안티(?) 세력 분위기를 낸다. 사람들이 20세기에 대해 말한 것 중에서 가장 멍청한 소리는 후쿠야마의 입에서 나온 것이라고 말한다. 후쿠야마는 사회주의의 몰락을 계기로 근대적 세계관에 각인된 하나의 역사는 끝났다고 역사의 종언 이라는 책에서 밝힌 모양인데, 이런 낙관이 그에게는 상당히 마음에 들지 않았던 모양... 역사상 존재했던 제국은 모두 사라지기 마련이고, 제국이라는 곳이 대부분 평화롭지 못했다는 것을 입증하기 위해 로마 제국의 역사로 들어가면서 본격적인 이야기가 시작된다.


댓글(13)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잉크냄새 2007-12-11 21: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카루님은 모든 분야의 책을 읽으시네요.-,.+ (존경의 눈초리)

icaru 2007-12-12 08: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게, 일 때문에 억지춘향 읽었다고 하면,,,, (실망의 눈초리) 대번 바꾸실라나??

2007-12-20 17:4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7-12-21 09:3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7-12-21 14:1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7-12-24 13:1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8-01-03 16:4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7-12-25 17:2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7-12-26 01:1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8-01-04 11:0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8-01-04 14:0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8-01-07 10:2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8-01-09 08:46   URL
비밀 댓글입니다.
 
빛의 제국 도코노 이야기 1
온다 리쿠 지음, 권영주 옮김 / 국일미디어(국일출판사) / 2006년 12월
평점 :
품절


거참 이상한 일이다. 뻔한 구조 플롯을 갖춘 것 같은데,

그녀의 이야기에 매번 빠져서

입을 헤-벌리고 귀를 기울이게 된다.

각각의 열 개의 단편이지만, 하나를 관통하는 것.

앞날을 예견하는 도코노 일족의 이야기

굉장히 불행한 사건을 겪게 되는 꿈을 꿀 때,

이건 꿈일거야. 제발 꿈이었으면 하고, 꿈 속에서도 생각을 한다.

그런데 깨어보니, 정말 꿈일 때 드는 안도감 비슷한 것을 이 책에서 맛본다.

아마도 이런 형식의 단편이 주는 매력일 거다. 서로 연관된 단편이기에....! 

이게 무슨 소리래 --> 알아 차리는 사람은 알고,  모르는 사람은 답답한 그런 말이지뭐...

 

 

밑줄친 부분 ---

저희는 일을 해서 돈을 법니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눈앞에 있는 문제를 하나씩 처리하고 돈을 받아서 그 돈으로 생활합니다. 물건을 만드는 사람, 물건을 파는 사람, 누구나 마찬가지입니다. 물건을 만든다, 물건을 판다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기술을 연마하기도 하고 지혜를 쥐어짜기도 합니다. 정치도 마찬가지입니다. 정치가는 눈앞에 있는, 우리 모두의 공통 문제를 해결해서 돈을 받는 게 아닙니까? 정치는 일반인이 알 수 있는 게 아니라고 그들은 말합니다. 자기들이 하는 대로 따르기만 하면 된다고 합니다. 하지만 그건 이상합니다. 그들이 만약 우리보다 머리가 좋다면, 우리가 이해할 수 있게 설명해야 합니다. 고용주는 우리입니다. 정말 머리가 좋은 사람은 어려운 것을 알기 쉽게 설명할 수 있는 사람입니다. 그들이 우리가 이해할 수 있는 정치를 못한다면 그것은 그들의 역량이 부족한 것입니다. 지금 분명한 것은 그들에게는 문제 해결 능력이 없다는 사실입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물만두 2007-12-06 20: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렇죠^^

이카루 2007-12-07 09: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ㅎㅎ 물만두 님도 글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