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청춘표류
다치바나 다카시 지음, 박연정 옮김 / 예문 / 2005년 3월
평점 :
품절
다치바나는 그의 책 <나는 이런 책을 읽어왔다>에서, 그는 책을 읽는 기쁨 중에 픽션을 제외해 두고, 논픽션의 읽기의 즐거움에 대해 강조하여 말했었다. 픽션보다 더 흥미로운 일들이 실제 생활 속에서 벌어지는데 굳이 픽션을 읽을 필요가 없다고.
이 책도 그것의 일환이 아닐까. 극적으로 표류하는 청춘은 소설 속에만 있는게 아니라고, 더 생생한 젊은 날의 분투기들을 보여 주려 한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
내가 새파랗게 젊었던, 그러니까 스물 하나 둘 시절이지 싶다. 같이 놀았던 친구들 중에 한 아이의 어머니가... 점집 매니아(?)인 분이 계셨다. 그 친구 고3일 때, 언니 시집갈 때, 오빠 장가 보낼 때, 큰 일이 있을 적마다 어머님이 찾는 용하다는 점집. 어느 날인가 한 번 그 친구를 따라 각기들... 생애 처음으로 친구들과 함께 우루루 그 점집에 몰려 갔었다. 그냥 재미로.... 그런데.... 점을 봐주시는 아줌마가 우릴 유심히 살피시더니, 조곤조곤 다그치셨다. 젊은 애들이 벌써부터 이런 데 와 버릇하면 못 쓴다 하시었다.... 마무리는 젊은 날엔 실패와 실수가 다반사이지... 다 깨지면서 성숙하리라는 훈계도 잊지 않으셨다.
젊은 날에 젊은 사람들이 가장 많이 던지는 물음은, ‘과연 나는 무슨 일을 하며 살 것인가’이고, 설령 그 ‘무슨’이 무엇이 될지를 알았다 해도, 그것을 과연 해도 되겠는가, 전망이 있는가라는 의문을 품을 것이다.
사실, 전망은 차치하고라도....살아가면서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찾는 사람은 크게 축복받은 사람 축에 속하지 않을까? 즉, 위와 같은 의문을 갖을 수 있는 사람은 그래도 행운인 것이다. 이 책에 나오는 주인공들은 그 일을 찾았다는 점에서 성공한 사람이다. 그런데 이 성공이란 돈벌고, 명예 드날리는 그런 성공이 아니다.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 할 때의 그 성공을 말한다. 진정 좋아하는 일을 찾기까지 진창에서 고역 같은 생활을 하고, 그런 기간을 거쳐서 결국에 희열을 느끼게 된 일이, 깊은 산 속에 들어가 동물의 움직임을 사진으로 담거나, (매가 잡아오는 고기를 먹고, 모자라는 생활비는 막노동으로 벌더라도 자연 속에서 살아가는 게 좋은 그런, ) 하는 일이다. 돈이고, 명예고 간에...우짜하든... 내가 그 속에서 기쁘면 그만인거다. 물론 그들도 ‘가끔은 정말 이 일이 싫을 때가 있어요. 몇 번이나 어째서 나는 이런 곳에서 이 짓을 하고 있는가, 그런 생각이 들죠. 아무런 수확도 없이 수십 일 계속되는 경우가 허다하거든요.’라고 말한다. 나는 이상하게도 이 부분에서 필이 받았다. ^^;;;---- 마냥 좋은 것은 아주 극도의 짧은 순간인지도 모른다. -- 자기 인생이 자체가 ‘망망대해’라는 것을 안 자만이 자기의 의미에 대한 물음에 답할 수 있다. 이 책에 나온 모든 이에게는 출범의 시기가 있었다. 이렇다할 뚜렷한 목적은 없지만, 자신만을 의지하며 자신의 인생을 내건 항해에 망망대해를 향해 배를 저어나가는 시기. 그런 출범의 시기는 바로 지금이 되더라도 큰 지장이 없다.
이 책에는 여러 사람이 나오는데 그 중 20대 청춘에 몇 번이나 죽으려고 했던 어떤 이는 지금은 아주 긴 안목으로 생을 살아가고 있다.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하며 살아가는 사람들에게는 그 사람이 아무리 겸손한 표정을 보이고 남루한 옷차림을 하고 있어도, 그들에게는 알 수 없는 빛이 난단다.
자기 인생을 자기 이외의 어떤 것에 맡겨버리는 사람일랑 되지 말자. 자신 이외에 누군가 의지할 수 있는 사람, 의지할 수 있는 조직, 또는 스스로 해결하지 못하는 상황 그러한 것들, 타자에게 자신의 인생을 내걸지 말자. 라고 속으로 작게(?) 외쳐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