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른도 길을 잃는다 - 창비장편소설
박정요 지음 / 창비 / 1998년 1월
평점 :
품절
나도 후배가 이 소설을 권하기 전까지는 몰랐다. 작가도. 작품도. 게다가 구입한 책이 최근 것인데도 아직 1998년이 초판인 상태이다. 제목에선 얼핏 ‘어른들은 몰라요’ 같은 청소년물 같은 분위기까지 느껴지는데... 읽어보기 전까지는 전말을 어찌 알았겠는가...
작품 속 면면히 흐르는 해학과 입심좋은 천부적인 이야기꾼의 나붓나붓한 전라도 사투리는 낯설지만 말맛이 오지게 좋다. 그리고 땅끝마을에 대한 유래. 배추 한포기 속 배추벌레가 징그러운 벌레 마법에서 풀려나 초록날개를 달고 훨훨 나비로 하늘을 날 듯이, 넓은 새벌이 원래는 바다였는데 꼬막이 되새가 되어 하늘을 날아가면서 바닷물을 물고가 바다가 뻘이 되어버려 생겨진 들판이라 한다. 그리고 그렇게 마을이 생겨 났다는 이야기에 신기해하며 밤잠을 설치는 여자아이가 주인공이다. 농림학교를 다닌데다 다소 낭만적인 데가 있던 아버지는 팔 남매가 태어난 때마다 기념으로 나무 한그루씩을 심었다는데, 이것이 바로 그 말로만 듣던 내내무 전통일 것이다. 첫딸은 벽오동 나무를, 두 번째 아들은 은행나무를 둘째딸이 태어났을 때는 살구나무를 셋째는 무화과나무를.... 이 소설을 읽으며 우리네의 풍속과 풍부한 토속어의 한없는 세례를 받게 되었다.
전라도가 고향인 친구에게서 그런 말을 들은 적이 있다. 그 고장 친구들은 초등 학교에서부터 대학 강의에 이르기까지 동학 농민 혁명과 그 정신을 기려 배운다고 했었다.
탐관오리들의 포악한 정치에 견디다 못해 힘없는 백성들이 한꺼번에 들고 일어나서 관군에게 대항을 했다던, 녹두장군 동학군 이야기. 전쟁이 끝나고 난리가 평정되다보니 관군한테 대항했던 사람들이 모두다 역적이라. 그들과 그 후손들은 저기 땅끝 해남으로 밀려와 자리잡았던 것이었고, 이 소설의 시대적 배경이 거슬러 올라가는 지점이기도 하다.
“앞으로 사는 것이 힘들 때마다 저 새벌을 봐라. 잘 보믄 끙끙 돌을 져나르고 둠벙을 파고 씨를 뿌리는 거인들이 보일 것이다. 아무것도 포기하지 않고 대역죄인이란 누명까지 모든 것을 옛일로 돌려버린 어른들이시다. 느그도 그렇게 살어야 한다.”
그렇게 모여 살던 사람들이 6. 25 난리를 만나고, 제 편인지 남의 편인지 구분하기 위해 쏘아대는 총구에 에먼 목숨을 잃기도 했다. 그 난리 중, 제가 살기 위해 같은 동네에서 같이 자란 친구들을 바닷물 속으로 밀어버려야 했던 사람이 있었다. 알고보니 그는 ‘나’의 아버지였다. 세상을 향해 변명할 여지가 없었다. 의좋은 형제처럼 서로에게 필요한 것을 몰래 가져다 나르던 아버지와 노인(바닷속에 밀어 죽은 친구들의 아버지)의 그 아름다운 이야기가 결국 아버지의 위선에 다름 아니었다는 것이 하루아침에 드러나 버린 것이다. 할머니는 인간의 도리를 다했노라 주장했지만 그것은 아버지의 보상 심리에서 비롯된 것일 뿐. 마음 속에 죄책감을 그런 식으로 갚아왔던 것이다. 백일하에 드러난 아버지의 위선은 우리가 가난뱅이가 되고 아버지가 간첩 혐의를 받아 뼈가 녹는 고초를 겪고 이웃의 경원을 당하고 언니들의 앞길이 망가지고 ‘나’와 제남이가 외톨이로 소외된 그 어느 것보다 나쁜 일이었다.
그러나 노인은 아버지를 오래 전에 용서했다. 하지만 아버지는 자신을 용서할 수 없었던 것이다. 한번 굴절된 삶의 궤적은 한계 밖의 것이 되어버렸고, 아버지는 자신의 그런 생을 더 이상 용납할 수 없었다. 그래서 하다 못해 술의 힘을 빌린다거나 변명 한마디조차 없이, 철저하게 자기를 부정해버린 것이다. 아버지는 끝내 세상을 용서할 수 없었고 자신을 부정함으로써 자신을 묶었던 올가미와 궤적뿐 아니라 온갖 체제와 규범과 가치, 세상 자체를 부정해버린 것이다. 그렇게 부지런하셨던 아버지가 맥아리 없이 드러누우시고 쓰다달다 말한마디 없으셨다.
검은눈에 나돌기를 좋아하던 ‘나’는 흉폭한 몇몇 일들을 겪으면서, 인간이란 도대체 구원이 없는 존재인 것 같다고 생각한다. 그토록 황당하고 조잡한 이념들의 올가미에 꿰어 허우적이다 결국은 그렇게 허무한 것으로 사라져야 한다면 인간이야말로 가장 슬픈 짐승인 것 같은.
“산다는 건 그렇게 부질없이 길기만 한 지루한 꿈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한다. 핍박과 수고뿐이던 조상들의 삶도 아버지의 좌절도 잘못 꾼 나쁜 꿈인지 모르는 것이다. 노인이 왜 민들레가 보여준 그 텅 빈 것에 더 이상 관심을 가지지 말라고 했는지, 종일댁의 죽음도 보지 말라고 했는지 이제는 그 이유를 알 것 같았다. 하지만 나는 이미 많은 것을 보아버렸다. 미래라고 해 봐야 양상을 달리한 그것들의 반복에 지나지 않을 것이었다. 나는 아주 우울한 소녀였다.”
마무리를 우울하게 해 버린 것 같다. 이게 다가 아닌데, 이게 끝이 아니다.
그러나 ‘나’는 조카 나대를 업고 들판을 내려다보며 생각한다.
태어난 이상 생존의 게임은 불가피한 것이고 우리는 어차피 아버지가 물려준 피로 존재할 수밖에 없다고. ‘아버지’는 아직도 저 들판 새벌을 서성이며 떠나지 못하는 것이다. ‘아버지’는 우리를 통해 다시 살게 되는 것이다. 한번 태어난 이상 우리는 조상의 피를 다시 살고 극복하고 완성하는 과제를 피할 수 없는 것이다. 새벌은 아직 생명의 가망이라곤 없어 보이는 검은빛으로 낮게 엎드려 있다. 그러나 머잖아 햇빛 따뜻한 봄이 오면 겨우내 얼어붙었던 저 땅의 온갖 슬픔과 분노는 흔적조차 사라지고 푸른 새 생명들이 힘차게 솟기 시작할 것이다. 차갑고 사납던 바람의 기억은 그 생명들을 더욱 강하고 푸르게 일어서게 할 것이며 불불이 일어난 생명의 숲은 더욱 은성한 물결을 이룰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