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침형 인간 - 인생을 두 배로 사는
사이쇼 히로시 지음, 최현숙 옮김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03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삼십 평생을 살아오면서 유난히 잠 관리가 안 되어서 곤욕스럽게 여기며 지냈지 싶다. 이 책에서 저자는 잠을 관리하려 드는 것을, 배고픔을 극복하려는 것처럼 어처구니 없는 일로 매도했다. 그리고 효과적인 수면 관리를 위해 일단은 충분한 수면이 필요하다는 것을 역설하였다.
하지만 잠이라는 게 저축하는 것처럼 미리 많이 자둔다고 해서 다음날은 뜬눈으로 몸을 혹사하도록 신체가 허락하지는 않는 것 같았다. 아무튼, 잠을 정복하려는 것은 매번 실패와 악순환만을 거듭하는 짓이었다.
십수년 전에 유학파 박사 이상구라는 사람이 텔레비전에 자주 등장했었다. 채식주의와 잠 10시에 잠들어 4~5시에 일어나는 수면법을 들고 나와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던 것이다. 체질과 무관하게도 10시에 드는 잠이 가장 깊이 드는 잠이라고 무에라고 했던가.......
이 책이 처음 나오고 인기를 한참 끌 때가 결혼을 막 했을 당시였다. 나는 7시 30분에 출근을 하니까 7시 전에만 일어나도 됐지만 남편은 아침 6시에 출근을 해야 했기에, 아침에 두 번씩이나 일어났다가 잠들었다가 다시 일어나는 과정을 거쳐야 했다. 아침 5시 4~50분 무렵부터 눈을 뜨고 활동을 하다가 내 출근 시간에 맞춰 집을 나오는게 뭐 그리 힘들까 싶지만.....현실은 그렇지가 않아서...
그래서 이 책을 보았고 그래서 한 2주일은 약발이 받았는가 싶었지만, 원상태로 돌아가기도 아주 쉬웠다. 애초에 생겨먹기를 아침형이 인간이 될 수 없도록 고안된 모양이다. 물론 이 책을 읽고 그 순간은 와 이런! 구구절절 옳은 말이다! 아자! 해보자!...하는 마음도 먹게 되는데.... 세살부터 늦잠자는 버릇은 여든이 되어도 뜯어 고치기가 힘든 게였다.
참 아이러니하게도 나 자신에게 아침형 인간을 적용하는 것은 힘들지만, 아직 어린 아이들이나 혹 앞으로의 내 어린 자식들에게는 이것을 생활화시키고 싶다. 옛말 중에 하나 틀린 말 없다고...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는 것은 갓난아이 적부터의 습관이 몸에 배어야 가능한 것이지 싶다.
이 책을 읽고 그런 생각 들었다. 책을 읽은 많은 사람들의 영향으로, 시중 상점에서는 비타민제가 많이 팔리지 않았을까....
이 책을 읽고 나도 분말 비타민제를 점심 쯤 졸릴 때 복용하기 시작했고, 꽤 효과도 보았으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