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아웃 증후군~
한 가지 일에 몰두하던 사람이 정신적 육체적으로 극도의 피로를 느끼고 이로 인해 무기력증, 자기혐오, 직무 거부 등에 빠지는 증상을 말한다. `연소 증후군', 혹은 `탈진 증후군' 등으로도 불리고 있다.
1970년 미국의 정신분석의사 H. 프뤼덴버그가 자신이 치료하던 한 간호사에게서 이 증후군의 최초 사례를 찾아내면서 사용한 심리학 용어로 알려져 있다. 자기 헌신이 강할수록 번아웃 현상에 더 노출된다.
이는 야근, 특근 등 한가지 프로젝트에 매달려야 하는 직장인들에게 주로 나타나는 증상이다. 가정주부도 역시 번아웃 대상이다.
직무 스트레스와 피로에 장기간 노출되면 신체적 정신적 에너지 소모가 빨라지고, 결국 무기력, 삶의 의미 상실 등으로 이어진다. (최혜연 - 2014, 대학상담센터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Burnout)과 회복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의학적으로는 코르티솔 호르몬(스트레스에 대항해 신체를 방어하는 호르몬) 고갈 현상이다. 다 타버린 양초처럼 신체의 코르티솔 호르몬이 모두 소진되면 정상정 생활이 멈춘다.
우리나라처럼 노동 시간이 과하면 더욱더 빨리 소모된다. 한국인은 연간 2124시간의 노동시간을 자랑한다. 이는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35개 회원국 중 34위로 최악의 노동시간이다. OECD 평균인 1770시간보다 한해 약 400시간이 넘는다. -한경닷컴
번아웃 증후군인듯하다. 마침 내 상태가 그렇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번아웃중인 사람들이 요즘 많은지, 네이버검색어에 올랐네~
서재에 올라와 있는 16년 독서 기록을 봤다. 구매패턴에 따른 분석이라서, 이 자료가 큰의미가 있을까 싶다가, 알라딘굿즈 사은품으로 받은 목록들을 보면서 피식 웃음이 났다. ^^ 책사면서 많이도 땡겨 받았네...(포인트를 마이너스로 차감해감시롱~ 지금은 다 갚았뜸!!!) 알라딘서점의 알라딘굿즈는 정말 인정해 줘야 한다.
나처럼 책을 사들이는걸(굳이 책 많이 읽는걸 이라고 표현하지는 못함) 좋아하는 사람이 아닐지라도 유혹을 느낄만큼.

번아웃이다 뭐다 하지만, 시간이 남을 때, 잠을 자거나 하지 않고, 나는 집에서 늦은 시간에 티비시청하며 휴식을 취하는 게 취미인 사람이다. 지난 방영차 인간극장이나 sbs스페셜이나 피디수첩이나 다큐멘타리3일이나 최백호가 내레이션하는 사람과 사람들이나 뭐 그런 걸 본다. 얼마전에는 퇴근하고 왔더니 밤 12시가 넘었었는데, 텔레비전에서 인간극장 앙코르 비슷한 것을 정규채널에서 하길래 봤다. 150년된 고택에 사는 이제 1년차 며느리 이야기였다. 오래된 집에 흠뻑 빠진 며느리. 그 며느리가 한 말이 계속 남는다. 가난해도 품격있게 살아야 한다. 라고 했던가 (비슷한 요지 아무튼...) 삶의 방식은 천갈래만갈래이다~
오늘 나는 충전중인데, 판타스틱듀오에서 화제가 되었던 것들을 골라 듣고 있는데, 태양과 리듬깡패의 눈코입은 아이들과 전에 여러 차례 들었고, 오늘은 이문세와 원일중 코스모스의 <그녀의 웃음소리뿐>을 계속 반복해 듣고 있다.
이문세는 그냥...노스텔지어의 대명사이다. 그에게 유수의 곡을 준 고 이영훈이 그러하듯이.
내가 저 노래를 좋아했을 무렵이 원일중 코스모스 여학생과 같은 나이였을 것이다. 어떻게 저런 음색을 낼 수가 있지! 역시 이문세는 상대의 보컬이 잘 살도록 든든하게 받쳐주고 있다! 십대와 오십대! 40년의 시간차를 광속으로 뚫고 교감하는 현장인듯!! 캬 소름 돋는다. 역시 아는 노래가 나와야 전율한다. 하하.
저 시절로 타임오딧세이를 떠나본다. 우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