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년의 고독 2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35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지음, 조구호 옮김 / 민음사 / 200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백년의 고독', 그리고 '가르시아 마르케스'라는 단어는 스페인어권 문학에 대해 논할 때 결코 빠질 수 없는 것이다. 일명 '마술적 사실주의(리얼리즘)'의 성격을 보여주고 있는 이 작품은 한 집안의 이야기이고, 그들이 살아간 역사의 이야기이고, 그들 개개인의 고독에 대한 이야기이다. 무려 6대에 걸치는 이야기이기 때문에, 책을 읽으면서 '이 놈이 누구더라?!'라는 생각을 수없이 하게 되고, 그 때문에 1권 앞에 나오는 가계도는 항상 손에 닿을만한 위치에 두고 읽어야 하는 나름의 고역이 있는 책이다. 우리에게 있어서 스페인어로 된 이름은 영어로 된 이름보다 더 익숙하지 않을뿐더러, 등장인물들의 이름이 거의 순환하고 있기때문에 읽다보면 이 놈이 그 놈인지 아닌지도 헷갈리게 된다.

 사실 나같은 경우에는 '마술적 사실주의'에 대해서 좀 더 피부로 느껴보고 싶어서 이 작품을 선택한 것인데, 그런 면에서는 역시나 마술적 사실주의의 대표적인 작품이라고 일컫기에 부족함이 없구나 싶은 생각이 든다. 하지만, 다소 지루한 느낌도 들었다는 것을 부정하지는 않겠다. 하지만 100년동안에 6대에 걸쳐서 일어나는 부엔디아 가문의 순환적인 삶과 고독은 아련한 느낌마저 줬다. 또한, 마치 유전처럼 이어지는 근친상간의 역사는 그들에게는 왠지 당연시 여겨지는 이유는 왜였을까?! 그들이 과연 태어나면서부터 타고난 고독을 떨쳐버릴 수 있었을까? 인간은 본래 고독한 것을. 여튼 어찌되었건간에, 마술적 사실주의에 대해서 느끼고 싶다면 일독할만한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명사의 성


문법에서 다루는 성이라는 것은 자연의 성보다 더 포괄적인 개념이다. 자연의 성을 가진
개체를 지시하는 명사일 경우 자연의 성을 따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명사의 남성형을

기준으로 그 남성형이 -o로 끝날 경우에 여성형은 -o를 -a로 고친 형태이다. 남성형이
그 밖의 자음으로 끝나는 경우에는 그 자음 뒤에 -a를 붙여서 여성형을 만든다.

여성형만들기
(남)-o → (여)-a
(남)-자음 →(여)-자음 + a


gato ('숫코양이') → gata('암코양이')
profesor('남선생님') → profesora ('여선생님')

portero('남자수위') → potera('여자수위')
español('스페인 남자') → española ('스페인 여자')



이 밖에도 자연의 성을 표시하는데 있어서 남성형과 여성형이 완전히 이형태인 명사로

존재하는 경우로는 padre (‘아버지’)와 madre(‘어머니’ )가 있고, 남성형에 어미를
변화시켜 만드는 경우로는 actor(‘남자배우’)와 actriz(‘여자배우’) 가 있다.

자연의 성이 존재하지 않는 명사의 경우에는, 그 해당 명사의 마지막 철자에 의해 문법

성이 결정된다.

문법의 성
(남) -o 나 기타 자음으로 끝난 경우
(여) -a, -d, -z, -ie, -umbre, -ción 등의 철자로 끝난 경우


libro('책') / reloj ('시계')
pintura ('그림') / superficie ('표면') / verdad ('진실') / cruz ('십자가')


그러나, 이러한 규칙에 어긋나는 경우도 많이 있다. 예를 들어, -a로 끝나지만 남성인

명사로 el día (‘날’, ‘낮’), el mapa(‘지도’), el idioma (‘언어’), el clima (‘기후’) 등이 있으며, -o나 그밖의 철자로 끝나 남성형으로 보이지만 여성형인 명사로 la mano(’손’),
la foto(‘사진’), la clase(‘교실’, ‘강의’), la llave(‘열쇠’) 등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명화로 보는 사건 - 시민 법의학
문국진 지음 / 해바라기 / 2004년 4월
평점 :
품절


 이 책은 우리나라의 법의학자인 문국진이 법의학을 보다 일반 대중에게 인식시키기 위해서 명화를 사용하여 설명하고 있는 책이다. 하나의 이야기마다 두어개의 그림을 통해서 그 그림이 연상해주고 있는 자신이 맡은 사건에 대해서 말해주고 있는 그에게서 어느정도 법의학자의 자부심이랄까 그런 것이 느껴지기도 했다.

 하지만 한 가지 중요한 점은 이 책의 저자는 미술학자가 아니라는 것이다. 그 때문에 이 책에서 미술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 혹은 전문가적인 비평등은 기대하기는 어렵다. 다만 이 책 속에서 미술작품은 하나의 도구로 사용되어 독자가 흥미를 가질 수 있게끔 해줄 뿐이다. 물론, 가끔씩은 억지로 끼워맞춘듯한 느낌을 갖게도 하지만, 한 편으로는 유명한 작품을 의학적으로 해석하는 모습에서는 재미를 느끼게도 해준다.

 저자가 시민들에게 법의학에 대해서 긍정적인 혹은 제대로 된 인식을 바랬고,(법의학이라는 분야 자체가 시민의 협조가 필요한 분야이므로) 그 때문에 이 책을 지었다면 이 책은 절반의 성공을 거둔 것일지도 모른다. 그림과 사건을 결합하여 보여준다는 점에서 나름대로 독특한 매력이 있긴 하지만, 때때로 그림을 사건에 끼워맞추기 식으로 설명했다는 점에서 마이너스적인 요소도 안고 있다. 내가 알고 있기론, 저자는 이런 류의 법의학과 미술이 퓨전화된 책을 몇 권 더 낸 것으로 알고 있다. 대중에게 법의학에 대해서 알리고자 하는 그의 열정은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겠지만, 아직은 뭔가 부족한 듯 싶은 느낌이 마음 한 켠에 들어온다. 차라리 CSI처럼 드라마를 만들어서 보여주는 편이 좀 더 대중 인식에 좋지 않을까? (모방 범죄 일어난다고 항의 들어오려나 ?!)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panda78 2005-05-17 21: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명화로 보는 사건이 제일 별로에요. ^^;; 명화로 보는 인간의 고통이나 명화와 의학의 만남이 더 낫답니다.

물만두 2005-05-17 21: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그림만 봤어요 ㅠ.ㅠ

이매지 2005-05-17 21: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panda78님 : 명화로 보는 인간의 고통이나 명화와 의학의 만남이 더 낫다니. 그 책들도 읽어봐야 할 것 같네요^-^
물만두님: 저도 그림에 치중을 -_ ㅜ게다가 칼라라서 얇지만 무거워주는 센스까지 -_ ㅜ
 
겨울 이야기 - Shakespeare's Complete Works
윌리엄 셰익스피어 지음, 이윤기 외 옮김 / 달궁 / 2005년 4월
평점 :
품절


 이 책이 나오기 전, 가입되어있는 모클럽에서 이윤기가 셰익스피어 전집을 번역한다면 사볼 생각이 있느냐는 설문조사를 한 적이 있었다. 그 때 사서 볼 생각이라고 답한 적이 있었다. 그리고 얼마 후, 이 책이 출판된 것을 알게 되었다. 그 때의 설문조사에 대한 대답을 실천하려면 좀 더 시간이 있어야 할 듯 하지만(신간인 경우 1년이 지난 뒤에 좀 더 할인을 받아서 사는 편이다.)어찌되었건 그 때 설문조사에 대해 긍정적인 답을 한 것에 대해 참 잘한 선택이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사실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대개의 외국 작품들은 중역, 오역이 굉장히 많다. 그런 면에서 믿을만한 번역가가 번역을 한다는 것은 꽤 구미가 당길만하다. 게다가 영국이 식민지 인도과도 바꾸지 않겠다고 했던 셰익스피어의 작품이라면 더더욱 구미를 당기게 하지 않겠는가? 이 책은 이윤기와 그의 딸 이다희가 공동으로 작업한 결과물이다. 서로의 번역을 보완해가면서 작업을 했다는 그의 이야기에 괜시리 흐뭇한 미소가 지어지기도 했다.

 이 책의 내용은 굉장히 단순하다. 하지만, 이윤기의 말처럼 신화를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이 책을 보는 것과 신화를 알고 이 책을 보는 것은 다른 느낌으로 다가올 것이다. 신화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이 차용되어 등장하고, 그렇게 차용된 인물들은 신화 속의 등장인물과 비슷한 삶을 살아간다. 어찌보면 단순한 이야기이고, 또 어찌보면 결말이 빤한 이야기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 책이 좋은 이유는 문장의 아름다움때문이다. 그 문장의 아름다움으로, 그리고 셰익스피어의 작품 중 비교적 낯이 익지 않은 작품을 접한다는 것으로, 또 이윤기의 신화적 해석을 함께할 수 있다는 것으로 이 책은 마음에 들었다. 간간히 들어있는 그림과 사진이 칼라로 되어있어서 책 값이 다소비싼듯 느껴지긴 하지만, 어쨋든 좋은 책 한 권을 만난 기분이다. 다음에는 어떤 셰익스피어의 작품을 소개받을 수 있을지 조심스레 기대해본다. (이 출판사에서 셰익스피어의 전집을 출간한다고 들었는데, 요새는 이렇게 한 출판사에서 작가의 전작을 출판하는 것이 대세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4의 규칙 1
이안 콜드웰.더스틴 토머슨 지음, 정영문 옮김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4년 9월
평점 :
품절


 내가 정말 싫어하는 일 중에 하나는 재미없는 책을 끝까지 읽어야 하는 괴로움이다. 게다가 그 책을 중간에 놓을 수 없게 만들어서(재미가 있어서라기보단 뒤에가면 뭔가 그럴싸한 얘기라도 나올까 싶어서) 끝까지 읽었지만 끝까지 별볼일 없을 때에는 더 화가 난다. 그런 면에서 이 책은 나에게 있어서 최악이었다. <장미의 이름>만큼의 박학함을 바란 것도 아니었고, <다빈치 코드>만큼 재미를 준 것을 바란 것은 아니다. 하지만 이 책은 '역사 추리 소설'이라는 말이 조금은 민망할 정도였다.

 차라리 이 책이 1권이었다면 그러려니 하겠지만, 2권에 달하는 분량에서 그들이 보여주고 있는 것은 프린스턴 대학의 풍습들, 그리고 그 속에서 학생들의 우정, 사랑이야기이다. 물론, 4명의 친구들이 <히프테로토마키아 폴리필리>라는 책에 얽힌 비밀을 풀어가는 과정도 있긴 하다. 하지만 이 책은 두마리의 토끼를 잡으려다가 둘 다 놓쳐버린 것처럼 정말 그저그런 책이었다. 차라리 한 가지의 이야기를 심도있게 파고들었다면 좀 더 나은 책이 되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Mass 2005-08-03 20: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아마존 1위라길래, 1권을 사서 보았는데, 2권은 아예 사지도 않았죠,,

이매지 2005-08-03 21: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사서 보지는 않았지만 돈 아까워요 -_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