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빠가 돌아왔다 ㅣ 김영하 컬렉션
김영하 지음, 이우일 그림 / 창비 / 2004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김영하의 소설은 이번에 읽은 '오빠가 돌아왔다'가 처음이다. 예전에 읽었던 성석제의 작품처럼 사회에 대한 비판을 가하고 있는 내용인데, 성석제가 좀 유쾌한 비판이라면, 김영하는 그보다는 좀 더 무거운듯한 비판이랄까? 이 책에는 총 8개의 이야기가 실려져있다.
그 중에 기억에 남는 이야기를 골라서 얘기하자면, 우선 두번째 이야기인 오빠가 돌아왔다는 제목 그대로 집을 나갔던 오빠가 어느날 갑자기 왠 여자애를 데리고 집에 돌아와서 벌어지는 일이 드러나고 있다. 가족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 싶을 정도로 어떤 애정도 없는 식구들. 그리고 그 사이에서의 묘한 먹이사슬. 여튼, 뭔가 비정상적인 가정을 통해 까발려지는 현대의 가정의 모습. 이 이야기에 등장하는 가족에게는 폭력, 돈, 그리고 섹스가 빠지지 않는다. 술주정뱅이 아버지를 개패듯 몽둥이로 패는 오빠, 그리고 자신의 굶주린 성욕을 채우기 위해 딸의 교복을 침대에 두는 아버지의 모습, 그리고 역시 자신의 성욕을 채우기 위해 여자친구와의 동거를 하는 오빠의 모습. 이 이야기속의 가정은 애정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단지 필요에 의해만 결합되어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가족의 일원들도 하나하나의 인격으로써 존중받는 것이 아니라 단지 그들이 하는 기능으로써만 인정을 받는다. 정도의 차이뿐이지 어느정도 현대의 삭막해진 가정의 모습과 닮지 않았다고 누가 부정할 수 있을까?
세번째 이야기인 크리스마스 캐럴은 대학에 다닐 시절 모두에게 걸레 취급을 받던 진숙의 귀국으로 그녀를 한 때 공유했던 세 남자가 다시 만나고, 그 날 진숙이 살해당하자, 자신이 죽인 것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혹시 내가 그랬던 것이 아닐까?'라고 고민하는 주인공의 모습이 드러난다. 진숙이 죽었다는 사실보다는 그녀를 통해 감춰두고 싶었던 과거, 즉, 자신의 치부가 드러남에 진숙이 없어졌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던. 그리고 정말로 더이상 세상에 존재하지 않은 진숙의 존재. 새로 나온 영화중에 누구나 비밀은 있다는 제목을 지닌 영화가 있다. 이 영화의 제목처럼 등장인물들은 그들만의 비밀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진숙의 등장으로 인해 그것은 자신만의 비밀이 아닌, 까발려진 비밀 아닌 비밀이 되어버린다. 어느 누구가 자신의 비밀이 까발려지는 것을 원하겠으며, 그로 인해 자신의 비밀을 알고 있는 자를 없애고 싶다는 생각을 하지 않을 수 있을까? 그리고 더불어 등장하는 건 세 남자의 성욕. 진숙의 표현에 의하면 그들은 한 때 똥마려운 강아지 마냥 그녀의 자취방에 들어와 성욕을 채우고 가버리고 마는 존재들이었다. 그런 그들을 거절하지 못했던 그녀와 그런 그녀를 교묘하게 이용했던 그들. 그들이 과연 그녀에게 돌을 던질 수 있었을까? 내용속에서 진숙이 자신이 스스로를 걸레라고 생각하는데 다른 사람이 자신을 어떻게 생각했겠냐는 말에서는 왠지 모르게 그녀의 아픔이 느껴지기도 했고, 다른 한편으로는 스스로가 스스로를 존중하는 것이 요컨대 가장 중요한 것이 아닐까 싶었다.
마지막 이야기인 보물선에서 주인공인 재만과 그의 주식 조작 멤버들은 주인공의 친구인 형식의 보물선 계획을 작전으로 주식을 조작하고, 큰 차액을 남기고 주식을 팔아버린다. 하지만 형식이 말한 보물은 나오지 않고, 주가는 떨어지고 형식은 쫓기게 된다. 단순히 형식의 도피자금 요청에 응한 주인공 재만은 잠시 여행을 다녀온 뒤에 형식이 광화문에 있는 이순신 장군상을 폭발시킨것을 알게된다. 그리고 주식 멤버들 중에서 가장 많은 돈을 형식에게 보낸 재만은 공범으로 몰리고, 보물선과 주식이 연관이 있음이 밝혀지면서 주식 멤버들은 모두 잡힌다. 등장인물인 형식은 비현실적인(어쩜 현실이라고 믿어질정도, 딱 그만큼의 비현실성을 지니고 있는 이야기) 열정을 가지고 있다. 민족의 정기를 막기 위해 쇠말뚝을 막았으니, 이를 없애야 한다는 주장이나, 보물선이 있으니 그것을 찾아내면 많은 돈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는 어떻게 보면 허무맹랑하고, 어떻게 보면 믿어지는 그런 열정을 지니고 있다. 형식이 가지고 있는 성향이 열정(그것이 비정상적이던 정상적이던 간에.)이라면 주인공인 재만은 차갑다. 자본주의에 적응해버린 인간답게 그는 철저히 계산적이다. 이익을 얻을 수 있을 만큼만 딱 그만큼만 행동하며, 절대 손해보는 행동은 하지 않는다. 그리고 재만과 그의 주식 멤버들은 형식의 열정을 이용하여 냉정하게 이익을 얻는다. 비정한 놈들. 그런 놈들이 살고 있는 세상이 현실, 자본주의의 냉정한 현실인 것이다.
이 세가지 이야기뿐 아니라 김영하의 소설은 굉장히 냉소적이다. 끊임없이 세상을 비웃고, 비판한다. 하지만 그가 비판하고 비웃는 사람들의 모습에서 우리의 모습을 발견하는 것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다. 현대사회에서 우리는 대체 어떻게 살아가는 것일까? 한번쯤은 스스로의 존재에 대해, 스스로의 행동에 대해 생각해봐야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