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십장생을 찾아서
최향랑 글.그림 / 창비 / 2007년 2월
평점 :
먼저 이 책이 얼마나 정성스럽게 만들어졌는지 살펴보다보면 저절로 감탄사가 나온다.
전통 옷감과 자수만이 아니라 직접 그림을 그려 구웠다는 도자기 판의 그림은 깊은 산속 동화 나라 같다.
그리고 자수의 생생함은 나 어릴적 친정엄마의 장롱 깊은 곳 두꺼운 이불을 생각나게 하기도 한다.
자개장의 무거움도 십장생들의 정겨움도..
예전 우리 친정엄마는 자게 장롱하나 갖는게 소원일 때가 있었다..
시집오실때 해오신 장롱은 아홉 남매를 키우다 보니 너덜 거렸고 우리들의 숨박꼭질 장소로 변해 버렸던
오래된 장롱을 버리고 자게 장롱을 사고 싶어 하셨었다..
그러나 울 아부지..튼튼하기만 한 장롱을 왜 버리느냐고 조금 더 사용해도 된다고 하면서
일년 이년 보내다 드디어 자게 장롱이 들어오던 날 ..
엄마는 얼마나 행복해 하시던지...그 모습은 지금 생각해도 잊을수가 없다.
그 오색빛 찬란하던 자게 장롱은 십장생들이 있었다..맞아..그랬었지...
그랬었어..자개 장롱엔 십장생들이 있었어...이 책 보다 갑자기 그리움 한조각 펼쳤다.
할아버지는 그랬을 것이다.
자식을키우실때는 정말 바빠서 한번 맘 놓고 안아주시지도 못하다가 노년에
얻으신 손녀는 눈에 넣어도 안 아플 귀한 아이였을것이니 얼마나 이쁘셨을까..
바람불면 날아갈까..넘어질까 애지중지 하며 함께 이가 시려도 손녀랑 함께 아이스크림을 함께
혀로 핥으셨을것이고..아이 무등도 되어 주시며 온갖 사랑 다 주셨을 것이다..
그러다가 함께 놀아주지도 못하고 병이 드셨으니 그 손녀의 외로움과 무서움..두려움..얼마나 컸을까..
십장생을 통해 할아버지의 병을 고쳐 드리고 싶다는 마음까지..
그러나 어린 나이에 이별을 하게 되지만 이별의 의미를 성숙하게 받아들이는 아이를 통해
내게도 이별을 또한번 생각하게 해준 책이기도 하다.
이 책을 보는 내내 그리움과 함께 따스한 감동과 황홀함도 함께 느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