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검정 연필 선생님 ㅣ 신나는 책읽기 13
김리리 지음, 한상언 그림 / 창비 / 2006년 11월
평점 :
이불 속에서 크르르/
가끔 도깨비가 나타나서 내게 소원을 묻는다면 무슨 소원부터 말할까?? 수민이처럼 착한 아이에게만 나타날 것이라고 생각은 하면서도 가끔 아주 가끔은 나도 그런 일이 생겼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한다.예전에 정말 도깨비 이야기를 많이 들었었다.우리 마을에도 도깨비 이야기는 곳곳마다 있었다..특히 큰 마을 어귀 고목나무에도 있었고 큰 다리 밑에서도 도깨비는 산다고 들었다. 그리고 그 큰 다리를 지날때마다 머리끝이 쭈뼛거리기도 하며 등줄기에 식은 땀이 쫘악 흐르기도 했었으니까..
그러나 지금...귀여운 도깨비 이야기들을 많이 읽고 듣고 난후엔 도깨비가 그저 무서운 존재라고는 생각되지 않으니..참..나도 ..수민이는 동생들을 보기에도 부끄럽고 엄마의 구박에도 잘 견디지만 왜 꼭 이불에 지도를 그리게 되는지..어린 시절 지도 안 그려본 아이는 없을 것이니..수민이는 엄마를 따라 시장에가서 도깨비 할머니로 부터 사온 이불속에서 또 한녀석의 개구장이 아기도깨비를 만나면서 이불에 지도도 안 그리며 성적도 좋아지고 엄마의 구박도 안 받게 되는데..더 이상 도깨비에게 말할 소원이 없다니...참으로 아이다운 발상이다..우리같은 어른에게는 끝도 없을 것인데 말이다..
욕심이 없고 착한 수민이기에 동생들 또한 욕심이 없고 이불속 도깨비를 만나도 큰 욕심이 없던 것이 분명하다..그런데 수민이를 비롯하여 온 가족이 도깨비를 만나고 소원을 말했을텐데 부자가 되고 싶다는 소원은 아무도 말을 안했던가 보다..ㅋㅋ하긴 부자가 다는 아니다. 가족간의 화목이 먼저이고 이해와 배려가 항상 먼저라는 것을 따뜻한 수민이네 가족 모두는 분명 알고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도담이의 소원이 쌍둥이 동생이라...크하하하~!
검정연필 선생님/
수연과 바름이를 통해 요즈음 교육현실을 재미나게 묘사해 놓은 검정연필 선생님.요즈음 공부에 대한 짐착이 얼마나 강한지를 보여주고 있다.물론 공부도 좋지만 성적이 최고여야 하고 뭐든지 일등해야 하고 잘해야 한다는 강박강념을 통해 성장하고 있는 아이들의 입장보다는 엄마들이 생각대로 학원을 바꾸고 학원에만 보내면 또는 어느 학습지만 잘하면 어떤 짓을 하던 최고의 성적이 나오면 된다는 우리들의 현실을 보여주고 있는것 같아 마음이 아팠다.그러면서 보림이 엄마를 통해 또 다른 나를 보고 있지 않나 생각해 보게도 했다.
아이들은 검정연필을 통해 시험을 잘 보지만 두근거리고 그 불안한 생각이 잘 나타나 있지만 점점 더 그죄책감에서 벗어나고 있다는 것 또한 이 현실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나쁜짓도 하다보면 그게 나쁜짓이라걸 알면서도 하게 되듯이 말이다.그리고 선생님을 통해 은밀하게 그 방법을 배우고 있다는게 요즘 쪽집게 과외니 학원이니 하는 말이 그냥 나온것은 아닌듯 하다..
그렇다..내 아이가 알고 있던 모르고 있던 과외 선생님이나 학원 선생님이 뽑아 주는 문제 달달 외워서 시험만 잘 보면 된다는 그 성적 최상위주의! 검정연필을 통해 아이들은 공부만이 최고가 아님을 깨닫고 친구와 어울려 노는것 또한 중요하며 성적으로 비교하기 보다는 서로를 이해하며 지내는 것이 그 무엇보다도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을 것이다.
내 아이의 시선으로 바라보는 검정연필 선생님은 선생님이 참 이상하다고 한다. 왜 똑바로 잘 가르쳐 주질 않고 연필을 주어 정답만 쓰게 하느냐구..그러면서도 답답함과 타협하며 사는 법을 이런 식으로 표현할수 밖에 없다는것에 참으로 안타깝다고 말한다..바름이 엄마가 성적만을 올려야 한다고 말하지 않았어도 이렇게 선생님은 이런 방법을 썼을까??아마 더 많은 재미있는 이야기도 해 주며 공부에 흥미를 갖게 해 주었더라면 자연스럽게 성적은 오르지 않았을까 생각한다고.....
그래 그랬을 거야..대답은 하면서도 찝찝하다..'나도 너를 학원에 보내보면 성적이 올라야 기분이 좋거든..'
할머니를 훔쳐간 고양이/
아직까지도 할머니들은 아들 타령을 한다..특히 울 친정 엄마..ㅎㅎ울 친정엄마는 딸여덟에 아들 하나 달랑 낳았으니 얼마나 아들에 대한 기대와 아들 손자에 대한 기대가 많으신지..우리들을 볼때마다 아들하나 있는 그 아들이란 우리들의 동생이 결혼을 하고 아들을 낳기만을 기대고대 하였건만 아들은 없고 딸만 셋을 낳아 울 친정엄마의 기대는 와르르 무너지고 한참을 기력을 잃고 실망으로 좌절하기도 하시는걸 옆에서 보아온 나도 아들 타령하는 노인네 생각은 오죽할까 하면서도 듣기 좋은 것은 아니다..올케에게 미안하기도 하고..
그런데 사랑이네의 할머니도 아들 아들 노래를 부르시는것 같다..듣는 사랑이 정말 할머니 기억을 훔쳐가 버리길 바랄만도 하다..나라도 그랬을 거다..그러나 막상 기억을 훔쳐가고 보니 할머니가 치매라도 걸린듯 무섭고 기억을 못하니 집도 못찾아 오시는걸 보니 너무 속이 상한다.하지만 고양이들 은 보이지 않고..
요즘같이 급변하는 세상속에서 딸아들이 무슨 소용일까 싶지만 사랑이를 통해 할머니의 한과 의식속에 오직 아들아들하는 그 선호사상이 아직도 남아 있음을 알수 있다. 4~50대들까지도 아마 아들아들 하지 않을까 싶은데..하긴 나도 아들이 최고인줄 알았는데 키워보니 ..또 결혼을 해보니 딸이 더 좋든만은...
고양이처럼 신비로우면서도 친숙한 동물을 통해 말을 하고 함께 고민을 해결해 가는 사랑이에게 할머니는 아들 손주 보고 싶어 하시지만 누구보다도 크신 사랑으로 돌봐주시는 분이고 사랑이 또한 할머니를 살펴 드려야 함을 알아가고 있다. 사랑이에게도 멋진 남동생이 생겼으면 좋겠다..그렇다면 할머니 얼굴에 있는 주름살하나 쫘악 펴지실라나??
이 책을 보며 예나 지금이나 어린 아이들의 꿈은 늘 기발하고 소박하면서도 재미나다. 내 아이가 잠자리에 들면서 어떤 상상을 하며 잠이 드는지 살짝 들여다 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