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초정리 편지 ㅣ 창비아동문고 229
배유안 지음, 홍선주 그림 / 창비 / 2006년 9월
평점 :
예나 지금이나 어린 나이에 가장이 되어야 하는 아이들의 아픔은 참 크고도 크다.어린 나이에 겪어야 하는 가장의 짐은 무겁고 무거우므로...그리고 그 아픔을 이겨 내는 주인공의 모습은 참 의젓함과 동시에 너무나 어른스러움에 그 아이의 모습을 보며 안스럽고 대견스러움이 함께 공존하게 되는게 아닌가 싶다.
표지가득이 글자다..글과 그림이 잘 어우러진 책이다.
아니 마당 가득 난이랑 오복이가 장운이에게 배운 글자로 가득하다고 해야 옳겠다.
정겨운 우리들의 옛 모습이다.
초정리 하면 약수가 먼저 떠오른다.
세종대왕께서 한글 창제하신후에 눈병으로 요양하신 초정 약수터를 배경으로
부지런한 장운이의 만남이 시작된다.
장운이는 병든 아버지를 대신해 나무를 해서 양반집에 갖다 주고 먹을 것을 얻어
누나 덕이랑 살고 있기에 산속에서 토끼를 본
장운이는 토끼를 잡아 쌀이라도 바꿀수 있는 요량으로
토끼를 쫒아다니다가 낯선 할아버지를 만나게 되는데 이 할아버지는 눈이 빨간 토기눈에
양반이 말걸어주는것만으로도 가슴이 벅찬데
글자 까지 가르쳐 주겠다고 한다..그리고 글자를 외워 오면 쌀까지 주겠다고 약속한다..
장운이는 누나 덕이에게 이 사실을 이야기하며 누나에게도 글자를 가르쳐 주며
신나고 재미나게 글자를 익히게 되고 할아버지와도 친하게 지내게 되는데..
어느날 덕이가 빛때문에 팔려간다는 난이 할아버지의 이야기를 듣게 되면서 산엘 가지 못하면서 할아버지와의 깊은 우정도 만날수가 없게 되어버린다..덕분에 장운이와 누나 덕이는 자기 생각을 편지로 주고 받을수 있는 글로 소식을 주고 받게 되는데 정말 글이란 좋은 것이다..멀리있어도 그 상배방의 상황과 감정까지도 알수 있게 되니 말이다.
어머니가 아플때 지어다 먹은 약값의 빛 때문에 팔려간덕이가 불쌍했고 늙은 할머니 병간호하며 갈라진 그 손등을 생각하니 눈물이 난다.장운이의 마음이야 오죽하랴..또 그걸 보고 있는오복이는...
난이와 오복이가 장운이의 마당 한 가득 글을 쓰고 또랑 또랑 읊어 대는 소리에 귀가 즐거운 것은 예나 지금이나 아이들의 글 읽은 소리는 정겹고 정겨운 것이다. 이렇게 좋은 글을 몰라주고 반대했던 대신들을 생각하면 세종대왕의 가느다란 한숨이 바람결에 들린다..
일터에서의 상수의 어설픈 시기는 맘이 아프지만, 점밭 아저씨의 믿음이 든든하다, 토끼눈 할아버지의 근심을 덜어내듯 장운이의 근심도 할아버지를 통해 사라지고 갓 피어난 연꽃의 아름다움에 눈이 부시다..
한글창제의 참된 의미와 함께 글을 알므로 얼마나 편리한지를 알게 해주기도 한다, 재미또한 좋아서 한번 손에 쥐면 후다닥 읽어야 할 책이다..옛날이나 지금이나 꼭 사기치는 사람이 있다..못된 인간들 같으니라구..^^& 글을 몰라 땅을 사고도 일년 농사후에 땅을 뺏기는 장면은 정말 화가 났다..
그리고 산속 깊은 정자에서 토끼눈 할아버지를 만나 글을 배우고 신기해 하며 즐거워하는 장운이를 볼때 정말 가슴뿌듯하고 찡했다..물론 글을 배우는 댓가로 쌀을 받아든 장면은 가슴 아리게 하고..누나 편지 받고 뛰어가는 장운이의 표정은 정말 기분좋은 웃음짓게 한다.어린 시절이 생각난다.. 편지를 받으면 그렇게 행복할수 가 없었는데 장운이는 특히 더 하였으리라..
또 "흙바닥 훈장"이라는 단어가 훈훈하면서도 가슴 찡하게 다가오는 것은 가난의 설움과 못배운것에 대한 한을 이겨 내는 그들이기에 더 찡한것이 아닐까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