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하엘 엔데의 마법 학교 ㅣ 푸른숲 어린이 문학 4
미하엘 엔데 지음, 카트린 트로이버 그림, 유혜자 옮김 / 푸른숲주니어 / 2004년 1월
평점 :
절판
소원나라, 마법나라 우리가 꼭 가보고 싶은 나라들...
나도 어릴적 그런 나라를 상상해 보곤 했다.
그 곳 사람들은 늘 둥둥떠다니겠지? 아니면 아무도 모르게 마법을 부리는 것일까??
그러나 모든건 상상하기 나름.
아주 옛날 작가가 모험을 다니던 시절, 작가는 소원나라에 초대를 받아 소원나라로 가게 된다.
그 곳의 학교는 뛰어난 능력을 가진 아이들만 키운다.
그래서 반아이들도 홀수로 10명 그러니까 3명내지 9명까지인 셈이다.
처음엔 누구나 그렇듯 그 곳 아이들도 처음엔 마법을 부리지도 못한다.
난 여기서 생각해 보았다.
'마법이 나오는 것엔 텔레파시가 통하는 것일까? 마법은 한번에 되지 않는다는 내용.'
그럴지도 모른다. 한 번도 마법을 부리지 않았을테니.
작가는 소원나라에서 묶고 있는 집에서 두아이를 알게 되고
그 아이들과 친해지면서 가끔가끔 학교에 가서 구경을 한다.
배워갈수록 많이 깨닫는게 아이들...
엉뚱하게 변하기도 하고 부상을 당하기도 하면서까지 마법을 배워가는 아이들의 모습이 대단해 보였다.
어느 덧 , 그 곳을 떠나기로 한 마지막날 오후, 작가는 위험에 처하게 된다.
그러나 아이들이 있지 않은가. 아이들의 도움으로 무사히 살아남게 되었다.
한마리의 거대한 괴물을 만들었다는 점은 안좋은 사실이지만.
그러나 의문점은 자신이 어떻게 현실세계에 왔는지 모른다는 점.
하지만 소원나라 사람들이 그랬을 것이라는 추측뿐......
그래서 고맙다는 말과 괴물에 대한 사실을 말하기 위해 작가는 소원나라의 질버씨에게 편지를 쓴다.
그리고 답장이 왔다.
답장은 이러했다. 그 사이 괴물은 아이들의 힘으로 없앴고 그 사건으로 아이들은 성숙해졌다는 기쁜소식.
작가는 질버씨가 한말을 되새기며 글을 썼을 것이다.
아이들이 어떻게 마법을 할 수 있게 되었는지는 말하지 말라던 부탁.
그렇다. 작가는 질버씨와의 약속을 지켰다.
작가도 쓰고 싶어 안달이 났을지도 모르지만, 질버씨와의 약속은 약속이고 또한 독자의 상상력도 필요하기때문.
나도 이 책에서 나오는 아이들을 보면서 노력하면 누구나 그것을 이룰 수있다는 것을 느꼈다.
하지만 이룰 수 없는 건 소원나라에서 아이들이 한 마법들.
왜냐하면 우린 소원나라에서 태어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by. so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