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책만 보는 바보 ㅣ 진경문고 6
안소영 지음 / 보림 / 2005년 11월
평점 :
책만 보는 바보..
이걸 소설로 읽어야 하나 아니면 역사책으로 보는게 옳을까??
이것 저것 따지고 생각할 틈도 없이 읽어지니 첨에 내가 생각했던 그런 생각을 할 틈을 비켜 가 버린다..
옛사람들의 멋과 책을 즐기며 친구을 사랑하는 마음이 너무나 고스란히 담겨져있고.
책내용의 흐름또한 너무나 자연스레 펼쳐짐에 옆에서
이야기 잘 하는이가 또랑 또랑 이야기를 해 주는 느낌이 든다.
왜 책만 보는 바보가 되었을까?
누가 일러 주고 개우쳐 주는 사람도없이 혼자 책을 읽었었기에 막히는구절이 나오면 답답한 마음을 견딜 수 없었다. 얼굴은 먹빛처럼 어두워지고 앓는 사람마냥 끙끙대는 신음소리가 나왔다.그러다 갑자기 뜻을 깨우치기라도 하면 나는 벌떡 일어나 미친 사람처럼 크게 고함질렀다.
방안을 왔다 갔다 하면서,깨친 내용을 몇번 이고 웅얼거렸다. 눈 앞에 누가 있는 양 큰 소리로 일러 주며 웃기도 했다.처음에는 놀라던 집안 식구들도 나중에는 어이없어 하며 웃었다.
온 종일 방에 들어앉아, 혼자 실없이 웃거나 끙끙대고 외마디 소리를 지르기도 하며 책만 들여다보는 날도 많았다.사람들은 이런 나를 보고 "간서치看書痴"라고 놀렸다 .어딘가 보자라는 책만 보는 바보라는 말이다 .나는 그 소리가 싫지 않았다.
맹자에게 밥을 얻어먹고 좌씨에게 술을 얻은 그들..난 개인적으로 유득공의 성품이 너무 좋다.
유득공은 친구의 맘을 다치게 하지 않고 배려할줄 아는 멋이 있는 사람이란걸
읽은 내내 느끼게 해 주었다..물론 백탑 아래 맺은 그 친구들의 우정은 정말 부러울 정도의 것이지만..
공부방이 없는 그에게 책을 팔아 작은 공부방을 지어준 그들의 공을 어찌 잊을수 있겠는가 !
그래서 문 고리를 열고 들어설때마다 설레고 두근거리는건 당연하다 싶었다.
시대를 잘 타고 났더라면 하고 한탄하겠지만 그들은 그들나름대로 멋진 삶을 살았다고 할수 있다.
나라를 손안에 잡아야만 공이 빛나던가??
아참,
유득공의 어머니의 너그럽고 따뜻한 사랑때문에 그렇게 당당하게 주위 사람들을
배려하는 맘이 생긴건 아닐까..싶어 나도 좀더 너그러운 어미가 되리라 다짐했었다.
옛사람들의 책을 사랑하는 맘과 함께 벗들이란 진정한 의미를 알게 해주는 책이기도 하다.
그러면서 역사 속에 나도 함께 서 있다는 착가에 빠져 본다.
기린굴 옆에 있는 조천석은 고구려의 시조 동명왕이 자신의 말을 매어 놓았다는 바위이다, 그 말이 바로 기린마인데, 하늘에 있는 아버지, 해모수를 만나러 갈때 동명왕이 탄 말이다.활과 화살을 들고 대륙을 누비던 동명왕은 기린마를 타고 하늘로 오른뒤 다시는 돌아오지 않았다고 한다.
내가 알고 있던 역사속의 인물들을 좀더 가까이 보게 된 계기가 되었다.
쉽고 재미있게 잘 풀어놓은 역사서임에 틀림이 없음을 덮으며 되뇌인다.
울집 초등생인 아이도 중학생인 아이도 쉽게 볼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