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바다로 간 가우디
다지마 신지 지음, 강우현 그림, 김미월 옮김 / 계수나무 / 2004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수족관에서 보기 쉽지 않던 바닷속 생물들을 보며 놀라워 하고 신기해 하면서도
그들의 아픔은 생각해 보지 않았다..
자기 고향의 넓디 넓은 바다에서 그 좁은 수족관에서 살아가려면 얼마나 그리웠을까??
바닷속 생물만이 아니다..동물원의 친구들도 그렇다..
모두 이기적인 인간들의 허영과 욕심으로 인해 그들은 너무나 슬프다..
그리운 초원과 바다를 꿈꾸며 오늘도 이기적인 인간들을 바라보며 안타깝게
생각할 것을 생각하니 부끄럽다..
40년을 가우디는 수조관에서 인간들의 구경거리가 되어지냈다.
그러나 그렇게 오랫동안 인간들의 구경거리가 되고 수족관에서 주는 풍부한 먹이에도 관심이 없이
그저 바다를 꿈꾼다..
그리운 고향 바다는 잊을수가 없었다.
그래서 그리움에 눈물 흘리는 날이 많던 어느날부터 병에 걸린척 연기를 하게 된 덕분에
수족관을 나오게 된다. 푸루와 함께..
푸루와 함께 바다로 가게 되는데 바다는 상상했던 40년전의 바다가 아니었다
너무나 오염되고 숨쉬쉴때마다 아가미가 아프고 숨을 쉴때마다 숨이 막히고 답답했다.
사람들은 풍족한 가운데서 더 풍족함을 꿈꾸며 쉽게 버리고 또 너무나 아낌 없이 써버린다..
그래서 바다는 오염되고 바다에서 핵 실험하는 인간의 오만한 행동으로 인하여 바다의 생물들은
눈이 멀고 죽어가는 것이었다.
오염되고 있는 환경을 신경쓰지 않은 것은 우리들이었다..
그런데 피해를 보는 것은 우리들만이 아니라 그 아름다운 자연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생물들이
큰 상처를 입고 죽어가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면서 삶의 터전을 잃어버리게 하고 또 떠나보내려 했던 것이다.
우리에게 그 댓가는 돌아온다는 걸 인간은 알아야 한다..
물론 세상에도 그런경우가 참 많긴 하다.
발전을 위해 그 터전을 가꾸며 그곳에서만 살아왔던 이들을 다른곳으로 이주시키며
공장을 세우고 골프장을 만든다..
그러면서 산도 깎아 없애고 아름다운 벌판에 아파트나 굴뚝 높은 공장이 들어서니..
가우디는 말한다. 바다는 생명이라고..
우리 인간들은 더 좋은 것을 버리고 새로운것에 정신을 쏟아내지만 그 새롭다는
것이 결코 인간에게 좋은 것보다 나중에 보면 그게 얼마나 큰 피해를 주고 있는가를
생각해 보면 참 아쉽다..
자연은 생명이다..자연을 보호하고 우리들의 이기심으로 죽어가는 생명이 없도록 해야할 것이다..
가우디의 처참한 죽음앞에 나는 반성한다..
이 인간들의 이기심과 오만방자함을 용서해 달라고 감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