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루 왠 종일 봄비가 대지를 적시고 있다.

 

진동하는 녹색 내음이 좋다.

 

나는 곧잘 비 비린내라고 표현을 쓴다.

 

상쾌한 것도 아니고 쾌청한 것도 아니고

살짝 찌푸두둥 한 것이 살짝 센치해지는 것이 나른한 감상에 젖기 딱 좋다.

 

이런 날은 커피 맛이 더욱 향기롭다 진하다.

커피가 더 달작지근하게 맛있게 땡긴다.

 

 

 

 

 

 

 

 

 

-

 

지독한 상상력 기근에 시달리고 있다.

 

모두 상상력 부재 때문에 일어난 일이라고 단정 짓고 있다.

 

상상력이 모두가 아닐까. 하고 감히 결론 내려보기도 한다.

 

모든 출발점은 말랑말랑한 상상력이 시발점이 아닐까.

 

성공한 사람들의 면면을 살펴보면

공통적으로 무모하리만치 풍부한 상상력을 겸비한 자 들이었다.

 

과대망상이라고 칭해도 좋을 만큼 그들은 몽상에 젖고 망상에 빠져들기 일쑤였다.

 

근데 그 무서운 상상력이 나는 지독히도 부족하다는 사실을 최근에야 뼈져리게 깨달아 가고 있다.

 

글 노동자들. 특히 글쟁이들은.

상상력을 최고의 무기로. 최후의 보루로. 삼아야 한다.

 

일부러라도 애써 만들어야 한다.

 

그림을 그리고 도식을 만들고 수학 공식도 대입 해보고 공간을 창출하고 공간에 대입해보고 공간을 뒤집어 엎기도 해야 한다.

 

아무도 예상치 못한 그림을 상상해내야 한다.

 

아무도 상상치 못했던 결과물을 완성해야 센세이션을 일으킬 수 있는 법이다.

 

시작하라. 빈 여백 공책을 하나 만들어라. 거기에 줄기차게 그리고 지우고 그림을 그려라. 도식을 만들어보라. 로드맵도 그려보고. 수학공식도 적어보고. 과학모델도 그냥 생각나는대로 낙서부터 시작하라.

 

상상력을 무궁무진하게 펼쳐라.

 

아무도 범접하지 못했던 그리고 아무도 상상하지 못했던 미지의 세계를 펼쳐보아라. 그러면 세상은 곧장 반응할 것이다.

 

 

 

 

 

 

 

 

 

-

 

물리의 법칙 중 관성의 법칙.이 있다.

 

우리들은 모두 이 관성의 법칙.이라는 딜레마.에 빠져 있지 않을까 하는 의문을 품어본다.

 

제자리걸음도 같은 말이고 동음이의어라고 사료된다.

 

안정 제일주의. 안전 제일주의.

 

리스크. 위험.을 기꺼이 무릅쓰지 않고,

지금 머무르기 지금 안일하게 제자리 뜀뛰기만 일삼지 않나.

 

전진을 위해서는 성공을 위해서는

 

관성의 법칙.을 깨부수어야 한다. 관성의 법칙.을 혁파해야 한다.

 

 

 

 

 

 

 

 

 

 

 

 

 

 

 

 

 

 

-

 

나이의 무서움을 알겠다. 세월의 무상함을 느끼고 있다. 숫자에 대한 두려움 보다는 그간 발랄하지 못했던 나의 모험심을 탓해본다. 어릴 적에 읽었던 마크 트웨인의 허클베리 핀의 모험인 불현듯 떠오른다. 탐구심 모험심 재기발랄함 동심으로 세상을 관찰하고 지금 보다 더 발랄하게 뛰어 놀아야겠다. 지금 당장 밖으로 놀러 나가야지.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

 

아이스 하키.라는 스포츠 종목에 관심이 많다.

 

현재는 아이스 하키. 세계 선수권. 빠져 있는 요즘이다.

 

아이스하키라는 역동성은 물론이거니와 다이나믹함 궁극적으로 남자다움의 끝판왕이 아닐까 하는 느낌마저 든다.

 

그럼에도 아직 아이스하키 라는 종목의 룰과 용어. 전술에는 완전 젬병이다.

 

그래서 차선책으로 게임기(게임기는 이미 준비 완료)랑

게임기 타이틀을 주문 및 결제 했다.

 

그렇게 내가 직접 플레이어 들을 조작 및 조종 하면서 아이스하키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예정이다.

 

앞으로 아이스 하키가 저변이 확대되어서 중계도 많이 보고 궁극적으로 내가 직접 아이스 하키도 직접 뛰어봤으면 하고 소소하게 바래본다.

 

 

 

 

 

 

 

-

 

감히 예언하건대, 나는 묘(고양이. 1마리. 나아가 2마리까지.) 1마리랑 견(강아지. 2마리.)이랑 동거를 하지 않을까 예언해본다.

 

그냥 가만히 아무것도 바라지 않는다.

 

가끔 따뜻한 눈빛을 교환하고 때때론 그들의 따뜻한 배를 쓰다듬기를 바랄 뿐이다.

 

내가 엉뚱한 곳에 한 눈 파는 대신 너희들의 애정어린 눈빛과 책임감에 대해서 생각해보고 고찰 할 시간을 가져주었으면 좋겠다.

 

잠고적으로 둘 다 사지는 않겠다.

 

내가 직접 돈을 들여 사지는 않을 예정이다.

 

분양 하지 않고 입양할 것이다.

 

유기견을 입양하거나 보호소를 한 번 내지는 몇 번 구체적으로 방문할 예정이다.

 

 

 

 

 

 

 

 

 

 

-

 

부모님만 안 계신다면 지금 당장이라도 머리를 캔디의 테리우스 처럼 기르고 싶은 것이 솔직한 심정이다.

 

머리를 한 번도 안 길러본 게 제일 첫 이유이고..

 

머리를 기름으로써 나의 미모(엥? 응?)가 얼마나 빛을 발휘할 지 궁금하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머리가 길러지면 더욱 나의 꽃미모가 일취월장 할 것 같은 나쁜 착각에 빠져 있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

 

마치 깨달은 자 처럼 요가(Yoga)를 수행해야 한다.

 

마치 깨달은 자 처럼 요가(Yoga)를 수행해야 한다.

 

마치 깨달은 자 처럼 요가(Yoga)를 수행해야 한다.

 

마치 깨달은 자 처럼 요가(Yoga)를 수행해야 한다.

 

마치 깨달은 자 처럼 요가(Yoga)를 수행해야 한다.

 

마치 깨달은 자 처럼 요가(Yoga)를 수행해야 한다.

 

마치 깨달은 자 처럼 요가(Yoga)를 수행해야 한다.

 

마치 깨달은 자 처럼 요가(Yoga)를 수행해야 한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

 

 

 

 

 

 

 

 

요즘 탐독하고 있는 책에서 힌트를 얻어 << 하루 딱 한가지만 의미있는 일>>을 하기 시작했다.

 

어제는 울 어무이에게 작은 선물을 했고, 오늘은 자진해서 설거지를 깨끗이 마무리했다.

 

하기 전에 무얼 할까? 고민하는 시간도 즐겁고

하고 난 후 뿌듯한 성취감 같은 것도 몰려온다.

 

격하게 표현하자면 하루 내내 핑크핑크한 러블리한 마음으로 내내 행복감에 도취된 듯 하다. 행복에 도취되어 휘청거리는 기분도 썩 나쁘지 않구나.

 

궁극적으로는 나를 아끼고 보살피고 사랑하는 일이라는 것도 깨달았다.

 

인생에서 작지만 소중한 변화가 시작한 것이다.

 

반갑기 그지없다.

 

 

 

 

 

 

 

 

 

 

 

 

 

 

 

 

 

 

 

 

-

 

  

전에도 밝히 바 있는데, 과정에 집중하고 충실하기 보다는 결과에 더 집중하는 편이 낫다는 결론에 도달하는 요즘이다.

 

이유는, 과정에 집중하면, 그 과정에만 집중한 나머지 과실이나 밀도에 집중할 수 없다. 달리 말하면, 표현의 깊이가 부족해지고 양에만 집중한 나머지 내실이나 오밀조밀함 내용의 깊이를 도출할 수 없다는 나름의 정의를 내렸다.

 

이것도 역시 지금 매일 적고 있는 나의 서재글에도 적용해봄직하다.

 

과정과 결과 모두 중요시 하되 조금 더 결과에 집중하고 몰입하자.

 

 

 

 

 

 

 

 

 

 

 

 

 

 

 

 

-

 

 

 

소설을 완전 등한시 하고 있다. 주구장창 소설만 읽더 때가 있더랬다. 요즈음은 꽤 괜찮은 자기계발서 읽기에 바쁘다.

 

오늘 문득 소설이 읽고 싶어졌다. 그래서 열심히 소설을, 고전 소설을 검색하고 장바구니에 담았다.

 

다음주부터라도 조금씩 소설을 들춰보기로 마음먹었다.

 

(대중) 소설에서 작은 위안과 위로를 받았으면 좋겠다.

 

 

 

 

 

 

 

 

 

 

-

 

부쩍 연애보다는 안정적인 결혼이 하고 싶어졌다.

 

나의 큰 변화의 물결이 살랑살랑 거린다.

 

순풍의 돛을 달고 어디로 나아가나?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

 

이상하리만치 묘하다. 이상하리만치 묘하다.

 

번 아웃 (burn - out) . 번 아웃 (burn - out) . 상태인데 기분이 그렇게 나쁘지가 않다.

 

힘도 다 빠졌고 기력도 다 했고 이제는 쓸 수 있는 에너지가 없는데 이 상태가 그렇게 싫지가 않다는 말이다.

 

오히려 즐겁다. 되려 다운 되어 있는 그로기 상태가 왠지 모르게 더 정답고 더 정이 간다.

 

거의 마라톤을 42.195 km 를 뛰고 있는데 흡사 42 km 를 뛰고 관중들이 꽉 들어찬 스타디움에 들어오기 직전이다.

 

몸은 거의 탈진 상태이고 거의 에너지는 바닥 났다. 이제는 피니시(finish)가 눈 앞에 보인다. 이제는 정신력으로 달린다고 해보 무방하다. 여기서부터가 진짜 마라톤이다. 이제부터가 진짜 싸움이다. 지금부터가 진짜 러닝이다. 지금부터가 시작이다.

 

이제는 몸을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마음으로만 움직이고 치열한 내면의 목소리만 들리고 있다.

 

처절한 고독이 엄습하고 격렬한 고통이 날 집어삼킬 듯 하지만 두려움보다는 오히려 이를 악물고 버텨보자고 그리고 싸워보자고 나를 격려하는 마음이 앞선다.

 

아무튼 거의 밑바닥에 상태로 침잠하면 침잠할수록 왠지 모를 연민과 동정의 기운과 동시에 한 줄기 빛과 섬광을 동시에 느낀다.

 

번 아웃. 번 아웃. 한계. 한계. 상태가 되려 격하게 반갑다 사랑스럽다.

 

-

글이 배를 비울수록 위와 장을 비울수록 더 써진다는 나만의 루틴을 발견했다.

 

배가 고플수록 글이 더 써지는 것 같다.

 

앞으로 배가 부른 상태에서는 휴식과 낮잠을 취할 것을 적극 권장하는 바이다.

 

배가 고플수록 글이 더 잘 써진다는 나만의 루틴을 더욱 더 인지하고 글을 써 나가고 행동하자.

 

-

사람들을 감동시키는 사람들을 움직이는 사람들을 행복하게 하는 사람들을 기쁘게 하는 사람들을 웃음짓게 만드는 사람들을 흔드는 사람들을 생각하게 만드는 사람들을 행동하게 만드는 사람들을 움직이게 만드는 //////// 이야기와 서사는 과연 무엇일까?

-

승리 공식. 성공 방정식. 은 더 예리하게 갈고 닦고 갈고 닦으며 패배 공식. 실패 방정식.은 반면 교사 삼아 교훈 삼아 성공의 지름길, 승리의 밑거름으로 삼으면 그만이다. 그러니까 결론적으로 의미 없는 일이란 이 세상에 하나도 없는 것이다. 한마디로 이 세계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은 당신이 의미를 부여하는 한, 당신이 의지를 가지고 뜻을 부여하는 순간, 꽃을 피우고 당신에게 진정한 선물(성취)을 선사할 것이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

 

억지로 쥐어 짜내지 말자.

 

억지로 쥐어 짜내듯이 글을 쓰지 말자.

 

억지로 애쓰는만큼 어색한 것도 없다.

 

어색하게 쥐어짜내는 글은

그 어색함이 그대로 글에 투영되어 글에 형상화 되어 나타나는 법이다.

 

 

 

 

 

 

 

-

 

사람을 어떻게 하면 끌어들일까? 라는 출발점 부터는 잘못된 발상이다.

 

사람을 어떻게 하면 모이게 할까? 라는 발상 부터가 잘못된 출발점이다.

 

어떻게 하면 대박을 터트릴까? 라는 시작부터가 잘못된 시작점이다.

 

어떻게 하면 사람들의 지갑을 열까? 라는 고정관념 부터가 잘못된 아이디어다.

 

 

 

 

 

-

 

 

 

 

(쓴 고백) 일상이 규칙적이지 못하니 조금은 힘이 든다.

 

일상이 불규칙적이다 보니 지금 서재에 쓰는 이 글들도 제대로 규칙적으로 양산하지 못하고 있다.

 

일상이 규칙적이지 못한 것은 그렇다치더라도 글을 규칙적으로 생산해내지 못하는 것이 가장 마음에 걸리고 가슴이 아프다.

 

최대한 지금부터라도 규칙적인 리듬으로 규칙적인 생활과 일상을 만들어나가겠다.

 

-

 

(어버이날) (어버이날)

 

부모님 가슴에 카네이션을 달아드리지 못했다.

 

몇 일전 제안했던 외식 약속도 지키지 못 했다.

 

그냥 오늘 하루 부모님의 은혜를 가슴으로 뜨겁게 가슴으로 뜨겁게 헤아려 보았다는 것에 만족만 하면 그만일까?

 

처음으로 부모님의 출근 시간과 행동을 유심히 관찰했다.

 

많을 것을 느끼고 많을 것들을 깨달았다.

 

나는 그래도 매일매일이 어버이날 어버이날 이라고 애써 안위하고 위안거리로 삼는다.

 

부모님의 가슴에는 언제나 365일 카네이션이 수줍게 그리고 강렬하게 달려 있는 것이다. 단지 눈에만 보이지 않을 뿐이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