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공지영 지음 / 푸른숲 / 2005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이야기는 사형수인 윤수의 블루노트와 유정의 이야기가 교차되며 진행된다.

'자신이 비참할리 없다고 믿었던 한 비참한 이야기, 바로 저 자신의 이야기입니다 '라며 이야기를 꺼내는 윤수의 모습은 어둡고 비참한 가정에서 자랐고, 사랑을 만날때까지, 좋은거라고는 한번도 접해보지 못한채, 그저 계속 어둠의 정석코스대로만 흘러흘러 인생의 스물일곱해째, 사형수로 구치소에 머물게 된다.

그의 모습을 보는 나는 유정과 마찬가지로, 내가 위선을 떨건, 위악을 떨건,
슬픈 이야기들로, 내 눈에서 눈물을 뽑아낼 지언정,
처음부터 끝까지 사형을 반대하고 있는 작가의 어조에 이런저런 딴지가 걸어진다.

그건, 그가 죄를 지었건 안 지었건간에,
그럼, 그 윤수를 대신 죽게한 그 나쁜 놈이 죽었어야지. 하는 생각이 드는건
결국, 이 책이 '사형'에 대해 내 마음을 크게 움직이지는 못한게다.

사형에 대한 재미있는(?) 에피소드들도 끼워 넣었고,
완벽한 어머니상으로 등장하는 모니카 이모도 있다.
'사형 반대' 에 대한 논거는 대단히 빈약해서, 차라리 거부감이 들 정도지만,
그건 아마 '멜로'의 탈을 쓰고 있기에, 더 색안경을 쓰고 보려는 것도 있을께다.

다만, 예전에나 지금에나 공지영을 읽으면서 드는 생각은
그의 독자층의 마음 가는 곳을 잘 짚어서 공감하고, 혹 빠지게 한다는거다.

유정의 마음 가는 곳은 처음부터 끝까지 설득력 있었다.
나도 '내가 모르는 것' 에 대해 위악을 떨고 있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내내 들긴 하지만,
모르는건, 모르는거다. 어쩔 수 없다.

읽는내내 어쩔수없이 윤수와 유정의 모습에 강동원과 이나영의 모습이 대비되지 않을 수 없었는데,

그래, 최고로 극악한 사형수도 직접보면 그저 인간일 뿐이다. 라는 말은 이해할 수도 있을 것 같다.
왜, 히틀러도 같은 감방에 들어앉아 있으면, 그저 인간일테니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에 우연히 발견한 whodunit .
그 이후 얼마만이냐, 오늘 딱히 움직꺼리기도 싫고
미술관 갈까 후더닛갈까 동전 던져서 앞이 나와서 후더닛으로 결정. ( 아무리 생각해도 난 혼자 잘 논다)

길하나 건너 스타벅스에서 아메리카노 톨사이즈 한 잔 사 들고

길 하나 더 건너 왼쪽으로 살짝 꺾어져 한블록 정도 걸으면 ( 아파트는 18th,  서점은 19th)

서점 제목을 보지 않는다면, 딱히 앞에 늘어놓은 책들이나, 진열장의 책 만으로는 미스테리 서점이라고 생각 안될법한 디스플레이이다.



 

 

 

 

 

 

 

 

 

 

 

뜨거운 커피를 채한모금도 마시지 못한채 얼쩡거리며 앞에서 후르륵 마시기 시작.
열려있는 문을 괴어 놓은 책을 보라지. 흐흐 앤 패디먼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책' 이야기가 문득 떠올랐다.

엣다 모르겠다. 커피를 들고 안으로 들어선다.
두명의 쥔장 아저씨들이 있는데, 아무도 개의치 않는다. 덕분에 내가 좋아하는 찐한 커피 마시며
내가 좋아하는 미스테리책들에 둘러쌓여 몇시간을 죽치고 탐험할 수 있었다.

책장에 붙어 있는 기사들이 언제나 흥미롭다.
왼쪽은 일본잡지, 오른쪽은 사진이다. ( 복사물 아니고, 사진)



 해문의 모스경감 시리즈는 언제나 나오려나
 지난 여름에 열심히 나와서 ( 심지어 두권도 한꺼번에) 열광했던 기억이 스치고 지나가면서

 단정히 놓여 있는 덱스터의 페이퍼북들을 한번
훑어 준다.

 

 

 

 

 

 

 

 



 뭔가 이유가 있어서 찍었을텐데
 절대 기억이 안난다. 끙

 

 

 

 

 

 

 

 

 

 

셜록홈즈 섹션이다.
나 자신 미스테리를 좋아하지만, 그닥 어떤 탐정의 빅팬은 아니다. 
셜록홈즈나 아가사 크리스티류는 한번도 많이 끌려본 적 없지만,
왠지 읽어야할 것 같고, 시시콜콜 꽤고 있어야 할 것 같은 압박을 느끼게 되는 작가들이다.

정체파악이 불가능했던 책 한권. 제목은 도일 다이어리
얼핏 후르르 넘겨보니, 책의 반은 introduction 이고, 나머지 반은 위와 같은 그림들이다. -_-a
앞에 대충 보니, 도일 아버지의 이야기인듯 하다. 도일의 아버지는 정말 미쳤나? 뭐, 이런말로 책날개의 설명이 마무리됨.  가지고 있어도 좋을듯한 특이한 책이지만, 일단 이번에는 패스







 

 

 

 

 

 

예전 책들이 많다보니, 요런 처음보는 문고판들이 눈에 종종 띈다.
시리즈 모으고 싶어하는 병에 걸린 나는, 이 시리즈가 꽤나 맘에 들어서
아, 저 노란 책들을 책꽂이에 쪼로록- 하면서 침 흘렸지만, 가격도 좀 있고, 작가도 생판 첨 보는 작가라
일단 패스. 다만 책은 정말 예쁘다.



 요 책은 다음번에 가면 살 책.
 꽤나 많은 예시가 들어 있고,
 두껍고, 무겁고, 깨끗하고, 알찬 책이다.

 MUST BUY! 다. 
 역시 가격이 쎄서 이번엔 패스

 

 

 

 

 

 

 

 



 역시 살까 말까 망설였던 책.

 

 

 

 

 

 

 

 

 

 

 


위와 같은 퍼즐도, 아래와 같은 퍼즐도, 그니깐 여러종류의 퀴즈들이 잔뜩 있는 퀴즈책.


역시나 무지하게 욕심 났던 책
찰스 디킨스 바이오그래피정도 되는데
쓴 사람이 G.K. 체스터튼이다.

사고 싶어 몇번을 만지작 거리다가
일단은 놓고 나옴.

헌책방에서 20불가까이 하는 책을 사는일은
정말 거의 없기에..

 

 

 

 

 

 

 


여런 구성으로 되어 있고, 19.50 불.
* 님, 찰스디킨스 책은 별로 없네요. 뉴욕 헌책방 가서도 한번 찾아보겠습니다.

이 책 역시 찰스 디킨스의 작품과 일대기에 대한 책인데,
안에 흑백화보, 컬러화보가 튼실하다.

 얼스텐리 가드너의 책들

 

 

 

 

 

 

 

 

 

 

 

 

얼 스텐리 가드너의 페리 메이슨 시리즈 표지들.
내가 옛날 미스테리 표지에 대한 로망이 있는지 후더닛을 만나고 나서 처음 알았다. ^^;



 딕셔너리.. 아니고, 디텍셔너리
 역시 꽤나 실한 책.

 영화 속, 책 속의 탐정들
 매 페이지에 영화 장면들이 나와 있고,
 그 탐정이 등장한 작품들에 대한 간단한
정보가 나와 있다.



 

 

 

 

 

 

 

 

 

 

요런 식인데, 이건 말로 나오는 페이지다.



 흐릿한 형광등 외에,  저런 식으로 책장위의 스탠드를  올려 놓아 더 운치가 있는듯하다.

 

 

 

 

 

 

 

 

 

 

이 두칸, 저 윗칸은 앞뒤로 빽뺵히;; 렉스 스타우트의 책들이다 >.<
맙소사, 네로 울프와 아치 이야기. 가 읽고 싶다. 꺄!



돌아오는 길에 스타벅스에 들려서
아이스 라떼 하나 시켜놓고,
 책 읽다가 왔다.





 

 

 







 

  1불에 건진 스테판 킹의 
  pet sematary
 아, 예전에 윈스턴 처칠 고양이 어쩌구 하는 제목으로 읽었을때 겁나 무서웠는데,

책 읽을 생각하니, 벌써 으실으실 하다. 이번에 밀리언셀러에서 '애완동물 묘지' 란 제목으로 나온거 맞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얼마전 인터넷 서점을 뒤적뒤적거리다가
찰스 부코우스키의 책을 사야지, 이름을 쳤는데,

그의 책들을 주욱 보면서 미소가 절로났다.

* 완전 내맘대로  옮긴 제목들이니깐, 어디가서 우겼다간 클란다. ㅋㅋ

Book Cover

Love is A Dog From Hell.  사랑은 지옥에서 온 개새끼야.

Book Cover

Tales of Ordinary Madness 일상의 광기 이야기

Book Cover

Notes of a Dirty Old Man. 더티한 늙은놈의 노트

Book Cover

You get so ALONE at times that it just makes sense
너는 그니깐 완전 혼자고, 그게 또 완전 말이 된다니깐.

Book Cover

Play the Piano Drunken like a Percussion Instrument Until the Fingers bleed a bit
술취한 퍼쿠션처럼 피아노를 쳐라. 손가락에 피 터지도록

Book Cover

The Most Beautiful Woman in Town & Other stories
읍내에서 젤루 예쁜 여자와 그리고 또 다른 이야기들

Book Cover

Burning in Water Drowning in Flame
물에 타(죽)고, 불에 빠져(죽어)라

Book Cover

The Last Night of the Earth Poems
지구상 시의 마지막 밤 (으실으실)

Book Cover

South of No North : Stories of buried life
(뭔소린지 잘 모르겠다만;) 북쪽 없는 남쪽 : 묻혀버린 생의 이야기들

Book Cover

The Days run away like Wild Horse over the hill
언덕을 넘어가는 야생마처럼 달아나 버린 날들
(혹은 언덕을 넘어 열라 달리는 야생마와 같은 날들?인가)
야생마처럼 저 언덕 너머로 달아나버린 날들?
.. 아, 이래서 내가 시작 안하려고 했는데 ^^;

Book Cover

The captain is out to lunch and the sailors have taken over the ship
선장은 점심먹으러 나가고, 선원들이 배를 장악했다.

여튼, 제목만 보고 있어도 재밌다
그 책들의 제목은 제목만으로도 벌써 한줄 소설이다.

추가

세익스피어가 절대 안했당께

Book Cover

There's no business
얄짤없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2006-05-27 14:06   URL
비밀 댓글입니다.

하루(春) 2006-05-27 22: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진짜 제목 독특하다. 으하하~ 번역본 너무 웃겨요.

조선인 2006-05-28 10: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말 재치넘치는 제목이라고 끄덕대다가 얄짤없다에서 결국 뒤로 넘어갑니다. 푸하하하하하
 

Hello!
We've met before. Stuart. Sturat Hughes.
Yes, I am sure. Positive. About ten years ago.
It's all right - it happens. You don't have to pretend. But
the point is, I remember you. I remember you. I'd hardly
forget, would I? A bit over ten years, now I come to think of it.
Well, I've changed. Sure. This is all grey for a start. Can't
even call it pepper-and-salt any more, can I?
 Oh, and by the way, you've changed too. You probably think
you're pretty much the same as you were back then.
Believe me. you aren't.

스튜어트가 다시 우리에게 말을 걸기 시작했다.
'나는 변했다' 라고 하면서. '너도 변했다' 라고 하면서.
줄리안 반즈가 'talking it over( 나에게 말해봐)' 이후 십년만에
스튜어트, 올리버, 그리고 질리언을 데리고 다시 나왔다.

이 책의 제목은 Love, etc. 사랑, 그리고 등등등

표지부터가 겁나게 와닿는다.
닳았지만, 세련되고, 날티나는( 아, 최근에 들었던 이말;;) 저 흑백의 조화를 이루는
얄쌍한 신발은 올리버의 것일테고,
커다랗고 단순하고, 정직해보이는 구두는 스튜어트의 것일테고,
중간에 끼인 건 역시 닳았지만,  두남자 사이에서 갈등하고, '선.택.'이란걸 하는
빨간 질리언의 구두일게다.

십년이 지나, 다시 한번 그들을 불러내 이야기를 들어본다.
자, 판은 벌어졌다. 수다판,

어디 들어볼까나?

 

 

 

 

 

http://www.aladin.co.kr/blog/mypaper/843328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LAYLA 2006-05-27 19: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내 말 좀 들어봐 표지가 너무 촌스러워보여요
위의 표지랑 비교되요
 
점과 선 동서 미스터리 북스 52
마쓰모토 세이초 지음 / 동서문화동판(동서문화사) / 2003년 1월
평점 :
품절


In her tomb by the sounding sea!
맞선에서 한번 본 우하라의 부인 데이꼬는 신혼여행을 다녀오자 마자 실종된 남편을 찾아 남편이 근무하던 북녘의 바다가 있는 곳으로 찾아가게 된다. 황량한 그곳의 어느 바다 앞에서 그녀는 학생 시절 읽었던 외국 시의 한 구절을 떠올린다.
in her tomb by the sounding sea

바다 옆의 무덤, 바다 안의 무덤,

''점과 선'' 그리고 ''제로의 초점'' 의 두편의 중편으로 이루어진 사회파 추리소설의 효시자인 마츠모토 세이초의 소설집이다.

''점과 선''에서는 심증가는 범인의 확실한 알리바이를 깨 나가는 젊은 형사가 나온다. 일본의 복잡한 기차시간표를 이용한 알리바이는 지극히 일본다운 소재다 싶었다. 기차이야기는 두번째 작품인 ''제로의 초점''에서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이 소설의 특이한 점은 그 현란한 기차시간표 알리바이 깨기. 책에 도표가 나오기도 하지만, 숫자의 향연에 그야말로 머리 쥐어 뜯으면서 스토리를 따라가야 했다. 고독한 주인공의 면모는 제법 하드보일드 소설 같기도 하다.

''제로의 초점''에서 다루고 있는 이야기는 그야말로 PD수첩류의 사회문제인데, ''사회파 소설''에 대한 관심으로 이 작가를 처음 접하게 된 나에게는 그 결말의 모호함에도 불구하고 아주 만족스러운 작품이었다. 로맨틱한면과 미스테리한 여자가 등장하는 부분은 코넬 울리치를 떠올리게 하기도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