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폐허를 응시하라 - 대재난 속에서 피어나는 혁명적 공동체에 대한 정치사회적 탐사
레베카 솔닛 지음, 정해영 옮김 / 펜타그램 / 2012년 9월
평점 :
품절


A paradise built in hell. (2009)

레베카 솔닛이란 작가를 걷기의 역사를 통해 알게된 게 벌써 6~7년 전 일이다. 절판된 책이라서 여기저기 찾다가 겨우 들였다. 그래서인지 솔닛에 대한 믿음이 있다. 미국의 여러 재난 사례들이 실려 있다. 재난에 관한 그녀의 주장을 더 알고 싶었는데 일종의 보고서 같은 느낌이라 좀 실망은 든다. 하지만 의미 있는 일이라 우리나라에서도 이런 지식인들의 작업이 많이 진행되길....

재난학자라는 게 있는 걸 처음 알았다. 마지막은 희망을 이야기한다. 해법은 공동체에 있는 것 같다. 마지막 장의 소제목이 ‘사랑의 공동체‘이기 때문이다.「유쾌한 혁명을 작당하는 공동체 가이드 북」 을 읽기를 권하고 싶다. 정치 정당이든 종교 단체든 봉사 단체든 어디든 자신의 가치관에 부합되는 공동체에 가입하고 실천&행동하는 것이 재난의 시대에 맞서는 가장 적극적인 방법일 것이다. 국가가 나를 구해주지 못한다면 같은 편과 모여 머리를 맞대고 뭣이라도 해야하지 않을까. 종교나 신이 과학에 밀려난 이 시대, 살아남을 방안은 소공동체의 영성에서 찾아야할 듯 싶다.


이 책은 가까운 과거의 재난들을 얘기했다. 그러나 이 책은 미래와도 무관하지 않다. 미래에는 지식과 함께, 소망과 믿음이 더욱이 중요해질 것이다. 451p

재난은 우리가 종종 사로잡히는 슬픔과 두려움, 억측과 습관의 거미줄로부터 우리를 구원하며, 그 효과는 실질적일 뿐만 아니라 심리적이기까지하다. 168p

대부분의 종교는 신자들의 죽음이나 필멸성, 질병, 상실, 불확실성, 고통처럼 우리가 직시하기 두려워하는 것들로 눈을 돌리게 하고, 어떤 면에서는 삶이 늘 재난이라는 현실을 보게 한다. 따라서 종교는 일종의 재난 준비라고 하겠다. 178p

말하자면 재난은 하나의 끝이요, 파괴와 죽음의 절정인 동시에 시작이요, 개방이요, 다시 시작할 기회이기도 하다. 261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거꾸로 키워지는 아이들 - 허영림 교수의 자녀교육 특강
허영림 지음 / 글로벌콘텐츠 / 201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미 7년 전 이 책을 읽고 내린 결론은 ˝자기가 하고 싶은 일을 해야 행복하다.˝ 지금 다시 느끼는 것은 행복하면 더 열심히 하게 되고 재능이 자라고 키워지고 사회에 환원하며 사는 삶, 이것이 곧 성공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여전히 의문스러운 점은 잘 하는 것을 할 때 또한 행복하다. 아무리 좋아해도 능력이 키워지지 않는 것이 있다. 따라서 여러가지 가능성을 염두해 두어야 한다. 변하는 취향과 내가 어찌할 수 없는 환경이라는 변수, 그리고 운도 작용한다. 기쁨지수JQ 예전에 남겨놓은 글을 통해 새롭게 암기하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7-01-26 16:2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남녀노소라면 누구나 공감하는 삶의 진리가 바로 ‘자기가 하고 싶은 일을 꼭 하는 것’입니다. 그렇지만 생각보다 실천하기가 어려워요.. ㅎㅎㅎ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설 연휴 잘 보내세요. ^^

:Dora 2017-01-26 19:55   좋아요 0 | URL
이제는 사이러스님 댓글이 없으면 웬지 허전하네요... 새해 복 많이 챙기세요♥
 
아무도 무릎 꿇지 않은 밤
목수정 지음 / 생각정원 / 201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당신에게, 파리」에 비해 정치적인 주장을 강하게 넣은 책. 좋다... 자신의 목소리에 확신을 갖고 사는 건 용기있는 일이다. 프랑스 교육에 대해 쓴 딸 이야기를 읽을 땐 많이 부러웠다. 이상하게 거부감이 드는 건 만일 저자가 한국에 살면서 썼다면... 시궁창 아닌 당신은 꽃밭에서 우릴 내려다 보네요. 프랑스인과 결혼하여 이방인처럼 느껴지는 그녀에 대한 질투심일까.

동네 서점에 들어가면, 사람들은 흔히 서점 직원과 상담을 한다.마치 오늘 준비하는 저녁 식사 식탁에 곁들일 적당한 포도주를 찾는 사람처럼 "내가 이런 책을 찾는다"고 말하면서 서점 직원들은 손님과 이런 저런 대화룰 주고받은 끝에 적당한 책을 몇 권 추천해준다.108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8쇄. 이제서야 만나게 되어 너무 미안해요... 눈 멀지 말고 귀 닫지 말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문화예술이 융성한 나라가 되었으면 했는데... 이제 다시 시작했으면 좋겠다.(희망) 예술적 감성이 풍부한 문화와 역사를 가진 나라에서 예술관련 소재의 문학작품이 많이 나오는 건 당연하다. 피아노 내용 관련 한국소설은 거의 못 봤다. 영화는 건축학 개론 정도. 사실 한국소설을 거의 읽지 않아왔다. 아마 앞선 이유도 작지 않게 차지할 것이라고 지금 생각해본다. 러시아 문학에 피아노 치는 이야기가 많다.

 

 

미겔 데 우나무노 - 안개

다시 읽어보고 싶은... 우연히 접했었는데 매력 쩜.

 

 

 

 

 

 

 

 

 

 

 

 

 

 

 

 

엘프리데 옐리네크 - 피아노 치는 여자

피아노를 매개로한 심리 로맨스라고 해야되나.워낙 유명한

 

 

 

 

 

 

 

 

 

 

 

 

 

 

토마스 베른하르트 - 몰락하는 자

잘 기억이 안 나는 데 느낌 좋았던..제목도 맘에 들고 이런류 짱 좋음!

 

 

 

 

 

 

 

 

 

 

 

 

 

 

로베르트 무질- 특성없는 남자

긴 말없이 최고다. 이책으로 북인더갭은 그냥 산다. 무질도... 번역 때문에 이책으로 읽었다.

 

 

 

 

 

 

 

 

 

 

 

 

 

 

 

안톤체홉 작품 다수

뭔 작품들이었는지 기억 안 남. 남기지도 않았고...

 

 

 

 

예술이 삶을 풍성하게 해주듯이 예술 그 자신도 가난하지 않고 대접받는 나라가 되었으면 좋겠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7-01-23 16:1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여가부도 딱히 잘한 건 없지만, 거기보다 더 최악의 부서가 문체부입니다. 문체부를 해체해야 합니다.

:Dora 2017-01-23 21:30   좋아요 0 | URL
해체..오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