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인에 대한 공감은 결국 나 자신의 문제와 연결된다. 그러니 공감하는 과정에서 힘든 것은 상대의 고통스러운 이야기 때문이 아니라, 내가 내 자신의 틀을 깨느라고 힘든 것이다. 만약 자신으로부터 해방되고 싶거든, 영혼까지 자유로운 삶을 원하거든 타인의 이야기에 완전히 몰입해보라. 그러면서도 쉼 없이 공감하고 있는 이 순간이 상대가 아닌 나 자신을 위한 순간임을 자각하라.98-99p

치유하는 글쓰기 이 책이 글쓰기와 치유에 관한 국내 여러 책중에 가장 좋았다. 진정 누구를 가르치려거나 판단하지 않고 ˝공감˝하는 것이 ˝자신을 들여다 보는 것˝임을 깨닫게 해주었다. 나는 어떠한 타이틀을 달고 (나 자신도 잘 모르는 주제에) 타인을 어떠한 잣대로 평가하고 있는가? 전문가?상담사?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5-05-17 19:5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북플은 타인의 책에 대한 이야기에 몰입할 수 있는 장점의 기능이 있는 것 같아요. 그런데 북플을 자주 접속하면 중독이 되고, 읽고 싶은 책이 많아져요. ^^;;

:Dora 2015-05-17 20:10   좋아요 0 | URL
이왕 빠진 거 끝까지 가보아요 !!
 

되게 이상한 내용을 만났다.글쓴이는 독서 논술교사였는데 임신 전부터 가정폭력에 시달리던 학부모의 아이를 가르쳤다고...아이와의 대화이나 상담 등을 중심으로 쓴 글이었으나 언니동생할 정도로 친하게 지냈다는 그아이의 엄마 이야긴 없다. 그새 가정폭력에서 벗어난건지-? 왜 상담자라면서 아이하고만 상담하고 엄마의 독립이나 인권에 대해 상담하지 않았을까? 아동폭력을 보고서도 모른척하면 방관자가 되듯이 가정폭력을 알게된 이상 어떤 조치라도 취해야하지 않았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카프카의 고독 3부작 중 <소송>이 사다리움직임연구소 의 작품으로 올라간다.언어보다 신체의 움직임으로 더 많은 이야기를 전달하는 극단으로 기억되는. 카프카의 `성`을 읽다가 집어던진 아니 포기한 기억이 있어서 `소송`과 `아메리카`는 감히 접근을 못하고 있다.연극으로 먼저 만나볼까......

http://www.newstage.co.kr/news/view.html?section=9&category=87&no=2024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를 치유하는 글쓰기 - 세상 속으로 걸어가는 여정
줄리아 카메론 지음, 조한나 옮김 / 이다미디어 / 2013년 4월
평점 :
절판


*규칙적이고 반복적으로 또 직감적으로 글을 쓰는 것보다 더 좋은 방법은 없다.257p
*자신만의 목소리는 머리로부터가 아니라 직감으로 글을 쓸 때 나온다.직감으로 글을 쓴다는 것은 무슨 의미일까? 우리는 `직감적인 반응gut reaction`이라는 말을 한다.직감은 예상할 수 있는 생각을 뛰어넘어 순간적으로 안다는 것이다.259p
*직감적으로 글을 쓰는 것은 나를 잘 이해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완전히 숨김 없이 글을 쓰는 것이다.260p

나는 판단형이 아닌 직감형이다. 다행인건가? 그리고 항상 솔직하려고 애쓴다. 가식적으로 살고 싶지 않아서다. 손해를 볼 수도 있다.세상은 거짓과 구라로 통하기 때문에.. 나를 잘 이해하는 대상이 누굴까? 나 자신도 나를 잘 모르겠는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Great 인문학 세트 - 전4권 (특별 부록: 영문판 군주론 포함) - 세상을 읽는 4가지 방법 Great 인문학
장 자크 루소 외 지음, 김중현 외 옮김 / 펭귄클래식코리아 / 2015년 4월
평점 :
품절


어쩔!! 맘에 쏙 든다!! 완전함 그 자체다*-* 가벼운 종이질, 블랙&화이트의 심플디자인, 내용은 말할 것도 없거니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