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프리 삭스 지리 기술 제도 - 7번의 세계화로 본 인류의 미래 ㅣ Philos 시리즈 7
제프리 삭스 지음, 이종인 옮김 / 21세기북스 / 2021년 8월
평점 :
광범위하고 깊은 통찰, 7만년의 역사를 총 망라한 책이라는 소문에 꼭 읽어보고 싶었던 책이었다.
역사를 이해하는것은, 미래를 이해할 수 있는 열쇠를 쥐는것 이야기를 들은적있다. 앞으로 달려가기도 버거운데 굳이 뒤를 바라보며 달려야할까? 라는 생각을 했는데, 책을 읽으면서 다시한번 반성하게 했다. 인류가 어떻게 발전해왔는지, 우리가 직면한 과제는 무엇인지, 수많은 이야기들을 통찰력있게 간추려 정리했고, 어떻게 우리가 나아가야할지 방안을 선택하고 생각할 수 있게 했던것이 기억에 남는다.
이책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지리, 기술, 제도, 이 세 조건은 상호의존적이라고 했다. 각 학자들마다 핵심이라고 주장하는 조건은 다 다르지만 따지고보면 세가지가 함께 상호작용을 거쳐야 우리가 아는 산업혁명을 거쳐 기술 발전, 그리고 세계화를 이루었다는것을 알 수 있었다.
지리를 통해 살 펴 볼 수 있었던것은
열대, 건주지대, 온대, 한대, 고원지대, 극지대 등 6대 주요 지대에서 인구밀도를 통하여 경제발전과 농업 생산성, 1차에너지원인 바이오매스, 화석연료, 바람, 물 태양렬등의 유리한 지역과 경제발전의 우위를 결정하게한 산업화에 대해 알 수 있었다.
기술에서는 농업, 산업, 정보, 과학 등에서 발전사항들을 살펴 볼 수 있었는데, 초기 수렵 채집생활을 하던 인간이 농업을 시작하고 같은 시간에 더 많아진 수확량을 얻게되었고, 이를 통해 정착생활이 시작되었으며, 점점 더 발전된 농업기술을 시작으로 5대 강변의 문명이 발달에 영향을 끼쳤으며, 식량과 수송, 동물들을 순치하여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말과, 기차의 발달로 인간은 산업시대에 돌입하게 되었고, 국가 간의 GDP성장과 함께 국가간의 글로별 격차를 갖게 되고, 부익부 빈익빈이라는 부의 양극화와, 각 나라의 패권을 쥐락 펴락하게된 굵직한 사건들과 1차, 2차 세계대전을 거친 여섯번째 세계화와 앞으로도 우리가 겪어야할 발전의 불평등에 관한 문제들을 자세히 담고 있었다.
제도에서는 일상생활을 지배하는 문화적, 법률적, 정치적 규칙들을 포함하며 종교적, 언어적 철학적 사상 그리고 젠더의 관계등 제도의 혁신으로 인간의 발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이야기를 강조하고 있었다.
인간은 여러번 고비를 넘겨왔고, 그때마다 커다란 변화를 맞이하게 되었다고 했다. 갈수록 커져가는 인간들의 역할에서 우리들이 명심해야할 목표들에 대한 이야기가 마지막에 담겨 있었다. 계속적으로 발전만을 바라보고 달려갈때가 아니라는것, 총체적 목표를 통해 접근하고, 사회적 민주적 관습을 확립해야하며, 유엔을 개혁해야한다는 이야기가 신선했다.
놀라운 경제성장 속도만큼이나 환경파괴는 계속되고 있고, 부의불평등과 사회적 불평등이 계속된다면 이제껏 멸종된 수많은 생명처럼 인간도 불안정할 수 있다는것이 인상적이었다.
많은 생각을 갖게하고 많은 정보로 눈과 머리를 가득 채워준 알차고 즐거운 시간을 갖게해준 책이자,
인류가 직면한 거대한 숙제들 다같이 생각해봐야할 문제에 대한 조언들이 기억에 남는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