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독서 강의 공지다. 이번 강제독서는 7월중순부터 9월말까지 6회에 걸쳐서 월요일 오전(10시-12시) 진행되며 구체적인 일정은 아래와 같다(비대면 유료강의이며 단강 신청도 가능하다. 문의 및 신청은 010-9024-5850 김인숙).


로쟈와 함께하는 강제독서


1강 7월 15일_ 실라 미요시 야거, <애국의 계보학>



2강 8월 05일_ 안드리 마그나손, <시간과 물에 대하여>



3강 8월 19일_ 바츨라프 스밀, <세상은 실제로 어떻게 돌아가는가>



4강 9월 02일_ 레너드 믈로디노프, <감정의 뇌과학>



5강 9월 23일_ 사라 아메드, <감정의 문화정치>(1)



6강 9월 30일_ 사라 아메드, <감정의 문화정치>(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안톤 체호프의 타계 120주년을 맞아 사이먼 스톤 연출, 전도연 주연의 <벚꽃동산>이 막을 올렸다. 한국을 배경으로 각색한 버전이라고 한다(연출과 연기는 기대를 모으지만 각색은 염려된다). 알라딘 플랫폼(이라는 걸 나는 이번에 알았다) '투비컨티뉴드'에서 이번 공연을 관람할 독자들을 위해 원작 번역 전재 코너를 마련했다. 거기에 보태 실을 리뷰를 옮겨놓는다. 예전에 쓴 리뷰를 조금 보강한 글이다(출처는 https://tobe.aladin.co.kr/n/201309). 
















<벚꽃동산>을 어떻게 볼 것인가


새로운 시대, 새로운 삶은 어떻게 시작되는가. 너무 당연한 일이지만 낡은 시대, 낡은 삶과의 작별을 통해서다. 그렇지만 이 작별은 순간의 의식으로만 이루어지지 않는다. 낡은 것에서 새로운 것으로의 교체, 혹은 이행은 일련의 과정을 필요로 한다. 안톤 체호프의 '문학적 유언'으로 간주되는 마지막 장막극 <벚꽃동산>(1904)이 이러한 이행기의 문제와 과제를 다룬 대표적인 작품이다. 처음 무대에 올려진 시기가 러시아 역사의 과도기였고 작품의 줄거리도 벚꽃동산의 주인이 바뀌는 이야기다. 



작가가 ‘4막 코미디’로 부른 이 작품에서 주요 배역은 각각 두 계급을 대표한다. 지주(귀족) 계급의 대표로는 라네프스카야와 그녀의 오빠 가예프가 있다. 선량하지만 세상의 물정에는 너무 둔감하며 게다가 게으른 사람들이다. 이들은 상속받은 영지를 바탕으로 무위와 허영의 삶을 살아왔다. 점차 재산을 탕진하고 채무가 늘어가는 바람에 가장 아끼던 벚꽃동산마저 경매로 넘어가게 되었지만 문제를 직시하기보다는 막연히 친척의 도움만을 기대한다.

연극은 아들을 잃고 5년간 외국(주로 파리)에서 생활하던 라네프스카야가 러시아의 영지로 돌아오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그 일행을 기다리고 있는 이들 가운데 상인 로파힌이 또 다른 계급의 대표자다. 아버지가 라네프스카야 집안의 농노였기에 스스로 농부라고 칭하지만 로파힌은 수완을 발휘해 재력가가 되었다. 전통적인 지주 귀족계급과 대비해 새롭게 부상한 중간계급(상인 자본가)의 대표격이라고 할 수 있다. 비록 제대로 된 교육을 받지 못해서 책을 읽어도 아무것도 이해할 수 없다고 푸념하지만 현실의 물정에 대해서는 가장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다. 

로파힌의 계급적 위치는 실제로 농노 출신의 상인 아버지를 두었던 체호프를 떠올리게 한다. 농노였던 체호프의 조부는 농노해방(1861)이 단행되기 이전인 1841년 지주에게 돈을 지불하고서 가족과 함께 자유를 얻는다. 조부와 함께 농노 신분에서 벗어난 아버지는 1856년 상인 길드에 가입하면서 상인으로 신분상승하게 되고, 1860년 체호프가 그의 3남으로 태어난다. 러시아에서는 성직자와 의사, 상인 등을 묶어서 '잡계급'이라고 불렀는데, 잡화상의 아들이었던 체호프는 대표적인 잡계급 출신 작가다. 

체호프가 살았던 시대는 바야흐로 구시대적 질서가 무너지고 지주계급이 몰락해가던 때였다. 서유럽을 시발점으로 한 근대적 사회 변화는 '거대한 전환'(칼 폴라니)의 과정이었다. 러시아는 오스트리아와 함께 대표적 '반동의 제국'으로서 이러한 변화에 미온적이고, 심지어 적대적이었지만 크림전쟁(1853-1856)에서 패배하면서 결국은 변화를 수용하는 수밖에 없었고 농노해방은 그 출발점이었다. 그와 함께 농노제를 기반으로 했던 러시아의 사회경제구조는 해체된다. 체호프의 작품들에게 대부분의 지주들이 몰락하는 계급으로 묘사되는 이유다. 그들에게는 역사의 물결에 휩쓸려 가라앉거나 변화의 대세를 수용하고 변신하거나, 두 가지 선택지가 주어진다. 

단순하게 보면 <벚꽃동산>은 계급 간의 교체과정을 다룬 작품이지만 체호프는 그 과정을 독특한 시선으로 바라본다. 독특하다는 것은 이중적이기 때문인데 사회적 위치에 있어서 체호프는 로파힌과 동일시될 수 있지만 벚꽃동산을 바라보는 태도에 있어서는 라네프스카야와 가깝다. 귀족으로 태어나지 않았지만 체호프는 작가로서 어렵사리 성공을 거둔 뒤에 모스크바 근교 멜리호보를 영지로 구입한 지주이기도 했다(영지에 대한 로망!). 1892년, 서른 두살의 나이 때였다. 이런 배경 때문에 <벚꽃동산>에서 서로 다른 계급을 대표하는 라네프스카야와 로파힌의 관계는 적대적으로 그려지지 않는다. 더불어 그 교체과정도 일방적인 승패로 제시되지 않는다.

비록 가예프에게는 “천박한 구두쇠”라고 조롱받지만 로파힌은 어린 시절 자신에게 호의를 베풀어준 라네프스카야를 곤경에서 구해주고자 한다. 그의 제안은 벚꽃동산은 별장지로 분할하여 임대하면 꽤 많은 수익을 얻을 수 있고 채무도 정리할 수 있으리라는 것이다. 벚꽃동산은 아름다운 경관을 보여주긴 하지만 '버찌나무 밭'으로서는 경제적인 이익을 낳지 못한다. 2년에 한 번 열리는 버찌는 판로도 없다. 파산 직전에 놓인 라네프스카야 남매로서는 귀담아 들어볼 만한 제안이지만 이들은 수용하지 않는다. 임대사업을 위해 아름다운 동산의 벚나무를 베어내는 것은 터무니없는 일이라고 생각할 따름이다. 로파힌이 보기에 이들은 “경솔하고 비현실적이고 기이한 사람들”이다.

결국 아무런 방책도 세우지 않아 라네프스카야 남매의 벚꽃동산은 경매에 부쳐지고 가장 높은 가격을 부른 로파힌이 새 주인이 된다. 벚꽃동산의 주인이 바뀐다는 것은 확장해서 보면 러시아 사회의 지배계급이 교체된다는 상징적 의미도 갖는다. 그렇지만 이 과정을 체호프는 이중적인 시선으로 바라본다. 로파힌은 벚꽃동산의 주인이 되었다는 사실에 기뻐하면서도 한편으로 ‘가련하고 착한 부인’ 라네프스카야가 자신의 제안을 수용하지 않은 것을 원망한다. 그래서 희희낙락하기보다는 모든 일이 빨리 끝나기만을 바란다. 로파힌은 새벽부터 저녁까지 일하는 성실한 인물이지만 한편으론 교양이 부족하고 사랑에는 숙맥인 인물로 그려진다. 아직 제대로 된 주인이 되기에는 부족한 것이다.

벨에포크 시대를 배경으로 한 프루스트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1913-1927)는 귀족 계급의 사교계가 서서히 와해되고 부르주아들이 부상하는 과정을 어린시절에 대한 향수와 함께 묘사한다. 동일한 사회변화의 과정을 다룬 드라마로 읽을 때 체호프의 <벚꽃동산>은 '잃어버린 공간을 찾아서'로 불릴 수도 있을 것이다. 다만 프루스트의 주인공 마르셸이 예술가적 역량을 통해 '잃어버린 시간'을 결국 되찾는 데 반해서 <벚꽃동산>에서는 누구도 그런 능력을 갖고 있지 않다. 작품의 결말에서 벚꽃동산의 새 주인 로파힌은 벚나무들을 도끼로 찍어내고 별장지로 만들 참이다. 이러한 러시아 과도기의 사회적 풍경을 체호프는 애조 띤 ‘코미디’로 그려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강의 공지다. 금요 인문클럽에서는 7-8월에 플라톤의 <향연>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을 읽는다. 문학 독자의 인문 교양을 위한 강의로 격주 금요일 오전(10시-12시)에 비대면으로 진행된다. 구체적인 일정은 아래와 같다(유료강의이며 문의 및 신청은 010-9922-3193 정은교)


<향연>과 <시학> 읽기


1강 7월 05일_ 플라톤, <향연>(1)



2강 7월 19일_ 플라톤, <향연>(2)



3강 8월 02일_ 아리스토텔레스, <시학>(1)



4강 8월 16일_ 아리스토텔레스, <시학>(2)



5강 8월 30일_ 아리스토텔레스, <시학>(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강의 공지다. 대안연(대안연구공동체) 월요강좌(월요일 저녁 7시반-9시반)에서는 7-8월에는 프랑스 작가 마르그리트 뒤라스를 읽는다. 9강으로 진행되며(12편의 작품을 읽는다) 구체적인 일정은 아래와 같다.



마르그리트 뒤라스 읽기


1강 7월 01일_ 뒤라스, <평온한 삶>



2강 7월 08일_ 뒤라스, <태평양을 막는 제방>



3강 7월 15일_ 뒤라스, <타키니아의 작은 말들>



4강 7월 22일_ 뒤라스, <모데라토 칸타빌레><여름밤 열 시 반>




5강 7월 29일_ 뒤라스, <롤 베 스타인의 황홀>



6강 8월 05일_ 뒤라스, <부영사>



7강 8월 12일_ 뒤라스, <죽음의 병><연인>


















8강 8월 19일- 뒤라스, <고통>



9강 8월 26일_ 뒤라스, <여름비><마르그리트 뒤라스의 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강의 공지다. '화요 작가클럽'(화요일 저녁 8시-10시, 비대면)의 나보코프 강의에서 러시아어소설에 이어서 영어소설(영어로 처음 발표한 소설)을 읽는다. 일정이 조정되었기에 다시 공지한다(유료강의이며 문의 및 신청은 010-9922-3193 정은교). 


나보코프 영어소설 읽기


1강 6월 11일_ 나보코프, <서배스천 나이트의 진짜 인생>



2강 6월 18일_ 나보코프, <롤리타>(1)



3강 6월 25일_ 나보코프, <롤리타>(2)



4강 7월 02일_ 나보코프, <프닌>



5강 7월 09일_ 나보코프, <창백한 불꽃>(1)



6강 7월 16일_ 나보코프, <창백한 불꽃>(2)



댓글(3)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4-06-06 12:1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4-06-09 12:3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4-06-09 18:04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