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문학기행의 둘째날 일정을 앞두고 있다. 지금은 조식을 끝내고(오랜만에 구내식당 느낌을 주는 곳에서 식사했다) 오전 집합시간까지 막간의 자유시간. 날씨는 온종일 흐리고 비가 올 예정이다. 현재 기온은 8도. 오늘까지 묵게 될 숙소(호텔)는 라데팡스에 있다. 새로 개발된 파리 외곽의 상업지구이면서 주거지구로 새로 건립된 신개선문(그란데 아르슈)만 아니면 여느 도시와 구별하기 어려운 고층건물들로 구성돼 있다. 행정구역상으로도 파리가 아닌 쿠르브부아에 속한다. 한국식으론 일산 신도시 비슷하다.오늘 오전엔 졸라의 메당집(졸라가 1878년에 집으로 현재는 졸라 박물관이 돼 있다. 원래 1985년에 처음 대중에 공개되었다가 2011년 대대적인 복원공사에 들어가서 지난 2021년에 재개장했다)을 방문하고, 이어서 오베르 쉬르우아즈를 찾는다. 반 고흐가 생을 마친 마을로 유명하고 우리도 반 고흐의 집을 방문할 예정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프랭크 게리가 설계한 건물로 유명한 루이뷔통박물관(2014년 개관) 찾아서 마크 로스코 특별전을 관람한다. 로스코 전시로서는 최대 규모라 한다. 쌀쌀한 날씨에 진행되지만 시간대별로 예약돼 있는 일정을 소화해야 해서 바쁜 하루가 될 것 같다.사진은 객실 창틈으로 찍은(창문을 활짝 열 수 없게 돼 있다) 라데팡스.
프랑스문학기행의 젓날 일정은 파리에 도착하는 것. 인천공항에서 파리의 드골공항까지는 14시간반쯤이 소요되는 거리. 순비행시간은 13시간 50분이었지만 이런저런 시간을 포함하니 그 정도 소요되는 걸로 봐도 무방하다. 입국수속을 마치고 수하물을 찾은 뒤 대기하던 픽업버스에 오르니 파리 시간으로 저녁 6시를 넘겼다(현재 서울과는 8시간의 시차가 있다). 7시가 넘어 라데팡스 지구의 숙소에 도착함으로써 첫날의 일정이 종료되었다. 저녁시간이어서 허기지면 식사를 할까도 했지만 역시 기내에서 세번 식사한 탓에(점심과 저녁식사가 나왔고 도착 두 시간 전에는 간식으로 피자를 먹었다) 시장기가 느껴지지 않았다. 시차적응 겸 취침시간을 조금 미루면서 긴 하루를 돌아본다. 이코노미석에서 장거리비행시간을 버티는 일이 쉽지 않은 일이지만 지난가을 스페인문학기행 때 환승시간 포함하여 거의 22시간이나 걸렸던 것에 비하면 직항으로 14시간 정도 가는 일은 대수롭지 않은 축에 속한다(이렇게 적고서 귀국길에 고생하는 건 아닌지). 일행과 대화를 나눌 수 있는 자리가 아니면 보통 책을 읽거나 영화를 보는 것으로 시간을 때우는데, 오늘은 주경철 교수의 <파리 역사>를 읽고 영화 <비포 선라이즈>를 다시 보았다. 책의 전체 제목은 <도시 여행자를 위한 파리 역사>로 프랑스 역사를 더한 파리의 역사와 문화를 (떠먹기 쉽게) 소개하는 책이다. 프랑스문학기행 준비도서로 오래 전에 구입해두었지만 결국은 기내에서 읽었다. 다수 저작의 저자답게 주경철 교수는 문학적 풍취도 글에 담고는 하는데 가령 드골 암살 기도 사건에 관한 기술.˝드골의 행진을 기다리던 중, 10여 명의 수상한 인물이 크리용 호텔로 들어갔다. 보고를 받은 탱크부대 대장은 반신반의했지만 혹시나 해서 탱크 포문을 크리용 호텔 발코니 쪽으로 향하게 했다. 드골 일행이 콩코르드 광장에 들어오자 과연 발코니에서 총격을 했다. 탱크가 곧바로 호텔의 다섯번째 기둥을 향해 포탄을 쐈다. 이 기둥은 후일 수리했는데, 이전 돌보다 품질이 낮은 것을 써서 옆의 기둥들보다 색이 검다.˝(351쪽)한편 저자가 착각한 걸로 보이는 대목도 있다. 알베르 카뮈와 관련된 기술이다.˝카뮈는 1943년 파리에 정착했다. 그의 작품들이 좋은 평가를 받는 데다가, 워낙 잘 생겨서 뭇 여성이 그를 좋아했다. 카뮈는 바람기 때문에 결국 부인 프랑신 포르와 이혼했다.˝(338쪽)너무 당당하게 적고 있어서 한번더 확인했는데. 카뮈는 두번째 아내인 프랑신과 이혼하지 않았고(비록 남편의 외도에 고통받기는 했지만) 바람기에 대해선 용서를 받았다고 나중에 말했다. 1979년 사망한 프랑신은 앞서 1960년 교통사고로 죽은 카뮈 곁에 나란히 묻혔다. 파리에 관한 기행문으로는 백승종의 <도시로 보는 유럽역사>, 그리고 유시민의 <유럽도시기행1> 등도 더 들 수 있다. 유시민 작가의 책은 지난봄 지중해문학기행에 이어 프랑스문학기행에서도 참고하게 되는군...사진은 드골공항(1터미널) 에서 이동중에 찍었다...
프랑스문학기행 출발일이다. 오전 비행기라 아침 일찍(동이 트기 전에 집을 나선 건 오랜만이다) 공항행버스를 탔다(원래 타려던 공항버스의 시간이 변경된 걸 터미널에 가서야 알았고 부랴부랴 광역버스로 대체해 겨우 집합시간에 맞췄다). 공항은 초만원이어서 탑승수속에 시간이 꽤 소요되었고, 현재는 출발게이트에서 대기중이다. 벌써 아홉번째일 정도로 문학기행은 낯설지 않지만 출발 직전까지도 전체 참가자들과 인사를 나누지 못한 건 처음이다. 여행이라면 다들 베테랑들이신 거.지난 2017년부터 연2회씩 진행해온 문학기행은 이번 프랑스문학기행으로 한순번을 돈 게 된다. 유럽을 기준으로 하면, (여행순으로) 러시아, 독일, 이탈리아, 영국, 스페인, 그리스에 이어서 프랑스가 주요 7개국의 마지막 국가여서다(다른 두번의 문학기행은 일본문학과 카프카문학 기행이었다). 지난봄 지중해문학기행에서 찾은 그리스가 유럽문명의 시원이었다면 프랑스는 근대문학의 출발점이다. 근대혁명, 혹은 근대사회로의 전환과정에서 프랑스는 영국과 함께 가장 주도적인 역할을 했고, 프랑스근대문학을 그 기록으로 읽을 수 있다. 발자크에서 플로베르와 졸라, 프루스트 등으로 이어지는 프랑스 소설사의 장관은 19세기 후반 러시아 소설사만이 비교의 대상이 될 수 있을 것이다.프랑스문학기행을 마치면(다음 일정은 내년봄의 중유럽문학기행이다) 내게는 여분의 문학기행이다. 수년내로 남미문학기행도 진행할지 모른다. 그쯤 되면 얼추 ‘80권의 세계일주‘를 흉내내볼 수도 있겠다(국내에선 임헌영 선생의 유럽문학기행이 있다). 로쟈 세계문학기행을 정리한 책들을 펴내는 일도 속도를 내봐야겠다...
올 12월부터 내년 3월까지 트레바리에서 '탐독: 세계문학' 클럽 네번째 시즌을 운영한다. 모임은 매달 첫째주 토요일 오후 3시에 시작하며(장소는 강남아지트) 4회차에 걸쳐 읽게 될 작품은 아래와 같다.
탐독: 세계문학
1차 12월 02일_ 루이스 캐럴,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2차 1월 06일_ 아르투어 슈니츨러, <꿈의 노벨레>
3차 2월 03일_ 사뮈엘 베케트, <고도를 기다리며>
4차 3월 02일_ 커트 보니것, <제5도살장>
11년 전에 쓴 칼럼이다. 도둑정치는 오늘도 더 뻔뻔한 형태로 이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