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첫 일정은 예정대로 토마스 만의 무덤을 찾는 것이었다. 취리히 근교 킬히베르크 공원묘지의 가족무덤이라는 게 사전정보였는데(그리고 사진상으로는 외진 곳 같은 인상이었다), 막상 가보니 작은 규모의 교회묘지였고 어렵지않게 무덤을 찾을 수 있었다. 1955년 사망하자 묻힌 자리에 아내와 자녀들도 같이 묻혔다(망명지 미국에 남았던 장남 클라우스 만은 따로 묻혔겠다).

흐린 날씨였지만(오후가 되면서 개었다) 묘지 주변의 경관이 아담하고 조용하고 아름다워서 작가의 안식처로 좋아보였다. 묘비도 크지 않고 조촐했다. 토마스 만의 장소로는 뮌헨과 뤼벡, 그리고 베네치아에 이어서 네번째로 찾은 곳. 오후에 찾을 다보스가 다섯번째이자 아마도 마지막 장소일 것 같다. 토마스 만의 무덤 앞에서 독일소설사와 세계소설사에서 토마스 만이 갖는 위치와 의의에 대해 짧은 강의를 진행했다. 그리고 단체사진을 찍었다.

이어서 생모리츠로 향하고 있는데 스위스의 산과 호수, 계곡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다. 막 단풍의 계절로 진입하고 있어서 한국에서 보지 못한 올해의 단풍을 스위스에서 먼저 즐기고 있다. ‘지루한‘ 나라 스위스의 자연은 결코 지루하지 않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조금 이른 출발을 위해 버스에 탑승한 상태다. 취리히의 흐린 아침. 밝은 아침은 일주일 뒤로 주문해놓는다. 스위스를 떠나게 될 날의 아침이 취리히의 아침이다. 호텔 정면으로 철길이 있어서 간간이 기차가 지나가는 게 보인다. ‘간간이‘라고 적는 순간 또 지나가는 걸로 보아 ‘자주‘ 지나간다.

오늘의 일정은 토마스 만과 니체, 그리고 내일은 헤세다. 니체를 꼭지점으로 해서 모아도 되는 세 작가다. 만과 헤세는 각별한 교분을 나눈 것으로도 유명한데(실제로 1946년 헤세의 노벨문학상 수상에 결정적 기여를 한 인물이 1929년 수상자 만이다. 적어도 만에 따르면 그렇다), 둘의 서신교환선만 책한권이다(나는 영어판을 갖고 있다). 번역되면 좋겠다.

2018년 가을 독일문학기행 때 헤세의 고향 칼프와 만의 고향 뤼벡을 찾았었다. 6년만에 두 사람의 무덤을 찾게 되니 감회가 없지 않다. 두 작가의 장소들이 이들 도시에 한정되는 건 아니지만 최소한 생애의 ‘시작과 끝‘을 따라가본다는 의미가 있다.

취리히는 잔뜩 흐린 날씨다. 비가 한바탕 쏟아진 듯 아스팔트 바닥은 흥건히 젖어 있지만 지금은 오지 않는 상황. 토마스 만의 무덤을 먼저 찾은 뒤 우리는 생모리츠로 이동하게 된다. 렛츠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취리히 시간으로 자정을 넘겼다. 한국은 아침 7시. 어제 낮 프랑크푸르트행 비행기에 오르며 시작된 스위스문학기행의 첫날 일정은 하나밖에 없었다. 취리히에 도착하기. 프랑크푸르트까지 13시간 비행, 이어서 환승하고 취리히 공항에 내려 다시 버스를 타고 숙소에 도착하니 밤 11시가 넘었다(거의 17시간이 소요된 셈이다). 취리히 일정은 문학기행의 마지막 이틀로 잡혀 있고 오늘은 단지 일박이 목적이다. 취리히에 도착했으나 아직 아는 척하지 않기.

문학기행은 늘 기대와 설렘을 갖게 하지만, 장거리 비행마저 달가운 것은 아니다. 10시간 이상의 비행은 누구라도 진이 빠지게 만들 것이기에. 그렇지만 무탈하게 도착해 숙소에서 일박을 맞이하게 되면 하루의 고생도 금세 과거지사가 된다. 본격 일정이 시작되는 내일부터는 다른 시간 속으로 들어가게 될 것이다(실제로 시차 때문에 우리는 7시간 과거에 와 있다).

아래 사진은 호텔방. 스위스에 와 있다는 느낌을 그대로 전해주는 사진이 한쪽 벽면을 차지하고 있고 커튼도 같은 색감의 그린이다. 대개의 스위스 호텔처럼 냉장고나 커피포트가 구비돼 있지 않아 불편한 면이 있지만 스위스 산속에 있는 것 같은 기분을 느껴보는 것으로 모두 용서가 된다. 여기는 스위스, 취리히의 밤이 깊어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위스문학기행 첫날이다. 출국절차를 마치고 탑승게이트에서 대기중. 커피 한잔 마시며 막간의 감상을 적는다. 오늘의 일정은 비행. 프랑크푸르트를 경유하여 취리히에 안착하기까지 16시간쯤 소요되는 듯싶다. 귀국행은 시간이 1시간 단축되기에 항상 가는길이 오는길보다 고되다. 여행의 기분이 그 차이를 상쇄해주지만.

스위스문학기행의 기점과 종점이 취리히다. 스위스의 가장 큰 도시이면서 문학도시(스위스인들도 그리 생각하는지는 모르겠지만). 1차세계대전중 많은 시인작가들이 피난지로 삼기도 했고 그런 중에 새로운 예술운동이 탄생하기도 했다. 다다(Dada)의 탄생지.

스위스에서는 취리히의 작가로 ‘스위스의 괴테‘로 불리는 고트프리트 켈러와 함께 요한나 슈피리(<하이디>의 작가), 그리고 막스 프리슈(프리쉬)가 꼽히는 듯싶다. 하지만 이번 문학기행의 초점은 토마스 만과 제임스 조이스다. 각기 20세기 전반기 독문학과 영문학을 대표하는 두 작가가 나란히 취리히에서 생을 마치고 묻혔다. 토마스 만의 무덤을 찾는 일로 시작될 일정은 조이스의 무덤을 방문하는 것으로 종료될 예정이다.

작가들의 무덤을 찾으러 떠나는 것이 문학기행인가? 우리가 애정하고 존경하는 작가들이라면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로쟈 > 조지 오웰의 자유와 행복

7년 전 페이퍼다. 두주 뒤에 자먀틴의 작품을 다시 강의할 예정이라 소환해놓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