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색의 수수께끼 밀리언셀러 클럽 81
나가사카 슈케이 외 지음, 김수현 옮김 / 황금가지 / 2008년 4월
평점 :
절판


작년부터였나? 이 4권의 단편집이 나올거라고 들은 게. 그리고 이제 2편이 먼저 나왔다. 왜 나온 것만으로도 안심이 되는 건지. 암튼 나와줘서 고맙다. 읽을 수 있음에 감사한다. 하지만 생각해보니 에도가와 란포상 수상 작가라는데 그 수상 작품은 정작 몇 편 읽은 것이 없다. 이 단편집은 에도가와 란포상 수상 작품을 먼저 읽은 뒤 봐야 하는 것 아닌가 싶어서 뒷북이지만 출판되지 않은 에도가와 란포상 수상 작품도 나왔으면 하는 바람을 가져본다. 나가사카 슈케이의 <아사쿠사 에노켄 일좌의 폭풍>, 신포 유이치의 <연쇄>, 신노 다케시의 <8월의 마르크스>가 출판되지 않은 작품이다. 절판된 가와다 야이치로의 <하얗고 긴 복도>가 또 나와주면 더 좋겠고.

나가사카 슈케이의 <'밀실'을 만들어 드립니다.>는 처음 접하는 작가의 작품이지만 낯익고 어딘지 모르게 처음부터 위화감을 느끼게 만들었다. 어느날 집에 막무가내로 쳐들어온 열네살 피노코와 함께 살게 된 추리소설가는 수요일마다 사쿠주점에서 상복부인을 만나고 친구들과 모여 일명 술집 탐정 게임을 즐기는 낙으로 산다. 상복부인에게는 예찌력이 있어 작가에게 떠오른 단어를 메일로 보내는데 그 단어들이 심상치 않다. 거기다 피노코의 행동도 그렇고 그들이 밀실 사건을 만들고 풀게 하는 회장도 독특하다. 이때 정말 밀실 살인 사건이 일어난다.

약간 작가의 억지가 눈에 띄였다. 요즘같은 세상에 말이다. 물론 '술집 탐정 게임'이라는 주점에서 사건을 서로 해결하려는 사람들의 모습은 좋았다. 미스 마플의 '화요추리클럽'처럼 말이다. 그런 식으로 차라리 풀었더라면 고전적이면서 더 재미있었을텐데 작가는 너무 많은 곳에 장치를 하느라 정력을 낭비한 느낌이다. 깔끔한 맛이 없다. 술집 탐정 게임만으로도 하나의 단편집이 나오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 작품을 썼는지는 모르겠지만 아무튼 너무 '밀실'만을 생각하다가 전체적인 밸런스가 무너진 아쉬운 작품이었다.

신포 유이치의 <구로베의 큰곰>은 처음 읽을 때 이 작가 설산을 무지 좋아하는군 하는 생각을 했다. 또 눈 덮인 산을 등산하다 조난구조되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그런데 이 작품의 어디가 미스터리일까 싶은 생각도 들었지만 마지막에서 그야말로 놀라고 말았다. 눈보라로 연막을 치다니... 구로베의 큰 곰이라 불리운 남자에게 25년 전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

작가의 작품을 읽으면 인생 자체가 미스터리라는 생각을 절실하게 느끼게 된다. 세상에서 가장 힘든 일이 자기 자신을 용서하는 일이라고 말하고 있다. 타인을 용서하는 일보다 더 힘든 것은 자기 합리화의 트레바스에 빠지게 되기 때문이다. 산은 인간에게 자신을 생각하게 만든다고 작가는 말하고 있다. 이 작가는 이런 점이 요코야마 히데오와 참 많이 닮았다. 그래서 난 이 두 작가를 좋아한다. 미스터리와 감동을 함께 선사하는 작품, 이 작품 하나만을 읽은 것으로 이 단편집의 가치는 내게 충분하다.

가와다 야이치로의 <라이프 서포트>는 의사인 작가가 여전히 의사를 등장시키고 있다. 한가지 얘기하고 싶은데 작가 소개에 에도가와 란포상 수상 작품 제목을 <하얗고 긴 복도>라고 적고 있다. 우리나라에 이 작가의 작품 출판됐었다. 그때 제목이 <희고 긴 복도>였다. 하얗고나 희고나 별 차이가 없다면 그냥 독자들을 위해 나온 작품 제목을 적어주는 센스는 어떨지... 그건 그렇고 작품은 말기암 환자가 실종된 딸을 찾기 위해 쉬고 있는 의사를 개인적으로 고용해서 딸을 찾는다는 내용이다.

버릴 때는, 아니 결혼을 위해 언니에게 양녀로 맡길 때는 언제고 참 마음에 안 드는 캐릭터다. 머리가 좋은 여자라고 나오는데 조금만 생각하면 답은 금방 나오는데 너무 빙빙 돌고 사건은 너무 쉽게 해결된다. 좀 그렇다. 끝이 좋으면 다 좋다는 건지 원... 하지만 인생이란 게 원래 그런 거니까 뭐 어쩔 수 없다. 사립탐정도 못찾은 딸을 찾는다는 설정에서 사립탐정의 능력이 역시 과대포장된건가 싶었다. 아무나 회색 뇌세포를 가질 수 있는 건 아니겠지만.

신노 다케시의 <가로 家路>는 우선 제목부터 이야기해보자. 저런 한자표시의 가로라는 말은 처음봤다. 워낙 무식한 인물이라 사전을 찾아봤다. 없다. 일본어 사전을 찾으니 나온다. 우리말로 귀로를 일본에서는 가로라고 하는 모양이다. 그럼 귀로로 쓰던가 아니면 풀어서 집에 오는 길이라던가로 붙였으면 좋았을텐데 한자에 무슨 큰 의미가 있는 것도 아닌데 우리가 안쓰는, 우리는 이미 쓰는 단어가 있는데 뭐하러 그냥 제목을 가져다 쓰는 지 모르겠다. 그 제목이 써서 폼이 난다면 몰라도 보면 고개를 갸우뚱하게 만들 뿐인데. 제목은 마음에 안들었지만 내용은 좋았다. 신선했다. 우연히 칼에 찔린 한 남자가 오히려 예전 사건의 용의자로 몰려 알리바이가 확실한데도 불구하고 사건의 실마리를 따라 아버지와 절연한 고향까지 가게 된다는 내용이다.

이런 내용은 심각하게 받아들이게 되는 요즘이다. 이럴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드니 난감하다. 죄는 지은 자에게 있는 건 당연한데 그 범인이 잡히지 않으면 차선의 인물에게 화살은 돌아가게 마련이다. 어쩔 수 없는 일이다. 과거의 일을 돌이켜 생각해보면 자신의 오해와 아집이 있었음을 느끼게 될 때가 있다. 나이가 들수록 점점 더 느끼게 된다. 그걸 느꼈을 때가 자신이 떠나온 곳으로 돌아가야 하는 순간이다. 용서와 화해의 순간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는데 참 마음은 착잡하다. 이 작가의 작품은 더 읽어보고 싶다. 신포 유이치와 히가시노 게이고를 합쳐 놓은 듯한 작가라는 느낌이 든다.

다카노 가즈아키의 <두 개의 총구>는 작가의 변함없는 모습을 보여준다. 스피디한 전개, 마지막 반전은 작가에게 이젠 빼놓을 수 없는 모양이다. 일본의 할런 코벤이라고나 할까. 학교 청소용역 아르바이트를 하던 중 밖에서 총소리가 들린다. 반장은 잠시 볼일을 보러 떠나고 혼자 남았는데 누군가 침입을 한다. 범인은 아니라고 본인은 말을 하는데 믿어야 하는 건지 알 수가 없다.

작가는 위기의 순간 누구나 지킬 박사와 하이드가 된다고 말하고 있다. 죽기 아니면 살기라는 절체절명의 순간 어떤 것을 선택하든 그것은 자의가 아니면서 자의적인 것이 된다. 그것은 숨겨진 본성일 수도 있고 인간이 가지고 있는 보편적 모습일 수도 있다. 만약 내가 이런 위기에 닥친다면 나는 하이드가 되지 않으리라고 장담할 수 없다. 겪지 않으면 모르는 게 인간이기 때문이다. 작가는 그것을 마지막까지 잘 그려내고 있다. 미스터리적 재미는 이 작품이 제일 좋았다.

에도가와 란포상 수상 작가 작품집으로 일본 추리소설의 오늘을 알 수 있는 작품들이 맞다. 다양한 소재, 방식들을 보여주고 있다. 본격추리소설, 휴먼 미스터리, 사회파 범죄소설, 스릴러까지. 그리고 등장 인물도 추리소설가, 산악인, 의사, 트럭 운전수, 아르바이트 청소원까지 일본의 일상적인 사람들과 일상의 미스터리를 보여주는 것처럼 꾸며져 있다. 3편은 좋았고 2편은 평범했다. 첫 스타트는 좋았다. 나머지 세 권에 대한 기대가 크다. 그나저나 적색의 수수께끼란 피, 또는 죽음을 상징하는 건가? 색깔별로 나뉘어져 있다는 것도 궁금증을 자아낸다.

댓글(8)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털짱 2008-05-10 21: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만두님, 만두피에 바람드는 봄입니다. 이제 신록에 진초록이 베어나오는 초여름이 되려 합니다. 여름에도 화이팅!^^

물만두 2008-05-12 10:20   좋아요 0 | URL
에고에고 기운 빠지는 만둡니다~ 그래도 화이팅하고 있습니다.
털짱님도 살랑이는 털들과 즐겁게 지내시와요^^

2008-05-13 10:4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8-05-13 11:09   URL
비밀 댓글입니다.

Koni 2008-05-14 01: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꼭 읽어야겠네요! 미스터리 소설은 만두님 서재에서 늘 확인해 보곤 합니다.^-^

물만두 2008-05-14 10:03   좋아요 0 | URL
읽어보세요^^

씩씩하니 2008-05-14 13: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여전히 책 이야기가 가득한 님 서재 들렀다 갑니다..
오월 햇살이 넘 이뻐요..님..
햇살보다 더 행복하세요~~~

물만두 2008-05-14 14:12   좋아요 0 | URL
님 방가방가^^
그래도 날씨는 추버요~
뭐, 책 이야기만 쓰고 있습니다. 힘딸려서요^^;;;
님도 늘 행복하세요~^^
 

* The Three Evangelists

Debout les morts, 1995 (Prix Mystère de la critique 1996)  죽은 자들이여 일어나라
Un peu plus loin sur la droite, 1996
Sans feu ni lieu, 1997 

* Adamsberg

L'Homme aux cercles bleus, 1996  파란 동그라미의 사나이
L'Homme à l'envers, 1999 (Grand Prix du roman noir de Cognac 2000)
Les quatre fleuves, 2000 (Prix Alph-Art du meilleur scénario au festival d'Angoulême 2001)
Pars vite et reviens tard, 2001 (Prix des libraires)  4의 비밀
Salut et liberté, 2004
Coule la Seine, 2004 (Collection of three novellas)
Sous les vents de Neptune (2 vols, 704 pp), 2004  해신의 바람 아래서
Dans les bois éternels, 2006

* Other/Unknown

Les Jeux de l'amour et de la mort, 1986
Ceux qui vont mourir te saluent, 1994
Petit Traité de toutes vérités sur l'existence, 2001 (Essay)
Critique de l'anxiété pure, Éd. Viviane Hamy, 2003
La Vérité sur Cesare Battisti, 2004, collection Bis (poch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상을 삼킨 책
볼프람 플라이쉬하우어 지음, 신혜원 옮김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8년 4월
평점 :
절판


살인사건이 일어나고 그 이면을 추적하는 과정은 추리소설같았다. 하지만 점점 읽어가면서 이 작품을 추리소설로 단순히 말하기에는 어렵다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그것은 종교와 철학의 문제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주인공 니콜라이가 노인이 되어 젊은 시절을 회상하는 장면에서, 아니 처음 기차를 손녀와 타게 되면서 시작되는 이 작품은 결국 인간의 생각에 대한 이야기다. 의사인 니콜라이는 우연히 영주의 죽음을 접하게 되는데 그의 죽음은 자살이지만 그가 보미카라는 향수병에 의해 질식사했음을 알고 놀라게 된다. 그 병은 군인들이나 걸리는 병이기 때문이다. 그런 병을 영주의 아들과 딸, 아내까지 모두 앓고 죽었다는 사실과 사건을 조사하러 온 사법재판관과 함께 사건의 배후를 알아내기 위해 그를 따라다니고 거기에 살인 사건의 목격자로 발견된 막달레나라는 여인과의 만남 등이 니콜라이를 점점 미궁속으로 빠져들게 만들지만 그는 혼자의 힘으로 사건의 배후에 다가간다.

책 띠에 <장미의 이름>을 언급하고 <살인의 해석>도 언급했다. <장미의 이름>보다 짜임새는 덜하고 <살인의 해석>보다 추리적인 면은 약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가의 작품이 늘 그렇듯이 18세기 독일에 대해 세심하게 보여주고 있다. 칸트의 <순수이성비판>이라는 철학보다 그것이 더욱 매력적이다. 그리고 너무 칸트에 대해 기대하지 않는게 좋다.

내 눈길을 끈 것은 소소하고 작은 그 시대 독일 사람들의 생활상이다. 18세기 이전까지 독일은 감자를 잘 먹지 않았다고 한다. 감자는 돼지먹이로 여겨서 감자를 먹는 니콜라이를 경멸하기도 한다. 독일하면 감자가 떠올랐는데 우리나라가 김치에 고추가루 넣고 만든 것이 얼마 안된 것과 같다니 놀라웠다. 또한 그 시대 의료 행위보다 사이비 치료사가 더 많았다는 것, 영주들때문에 서민의 등골이 휘었다는 것, 다른 나라와의 무역을 막았지만 커피, 담배의 밀수가 성행했다는 것, 교회의 비리에 염증을 느끼고 있었다는 것, 그리고 우편마차가 있었고 책이 비싸 불법 복제책이 많았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흥미로운 것들로 가득 차 있어서 처음 기차를 타고 흥분하는 니콜라이의 손녀처럼 나도 즐거웠다.

생각이란 무엇인가? 믿음이란 무엇인가? 종교란 무엇이고 철학이란 무엇인가를 작가는 작품을 통해 묻고 있고 독자에게 생각하기를 유도하고 있다. 하나의 사상의 출현이 한 시대, 나아가서는 전 인류의 몰락을 가져올 수 있는가 묻고 있다. 종교는 철학이 아니었던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내게는 종교도 철학도 거리가 먼 학문이고 모르는 분야지만 그들의 출발점은 같지 않았나 생각해본다.

책 뒤에 이런 물음이 있다. '하나의 사상이 세상을 삼켜 버릴 수 있을까? 새로움에 대한 두려움이 살인을 부를 수 있을까?' 당연히 있을 수 있다. 지금도 그렇지만 인간의 역사를 보면 이런 일들이 언제나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조선과 유교, 성리학의 관계를 살펴보면 칸트까지 가지 않더라도 알 수 있는 일이다. 또한 오늘날에도 우리는 사상이, 종교가 어떤 폭력으로 변화되는 지를 보고 있다.

<퍼플라인>에서도 익히 알 수 있었지만 작가는 이 작품에서는 좀 더 미스터리를 버리고 역사를 재구성해서 사실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더욱 결론없이 독자가 "그래서 세상을 삼킨 책이 어쨌다구?"하고 묻게 한다. 작가는 답을 내놓지 않았고 이제 그것은 독자 스스로 알아가야 하는 문제다. 나는 그다지 충격적이지 않다. 산다는 것과 생존한다는 것이 다르다고 생각하지 않기 때문이다. 사람이 산다는 게 그렇게 대단하지 않고 종교나 사상 또한 그리 대단하게 여기지 않는다. 삶이 생존과 다르다는 발상은 종교나 사상을 가진 인간이 우월하다는 논리 위에 성립되는 것인데 인간은 그 어떤 것보다 우월하지 않기 때문이다. 내가 뭔 소리를 하는 건지... 아마 나도 책에 삼켜졌나보다.

책이 세상을 삼키건 세상이 책을 삼키건 중요한 건 여전히 인간은 이기적이고 배타적이며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는데 주저하고 있다는 것이다. 앞으로도 책은 계속 세상을 삼키게 될 것이고 세상은 책으로 혼란스러워질 것이다. 무섭게 느껴지는 제목이지만 인간의 역사가 그러했고 앞으로도 그러할 것이니 어쩔 수 없지 않을까 싶다. 모르는 것 투성인데 읽는데 어려움은 없었다. 작가의 장점인 세밀한 역사 묘사 때문이었다. 그것만으로도 읽기에 족한 작품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일본 추리소설의 오늘을 알 수 있는 작품들의 모음집이다.
작가는 이미 우리나라에 책이 출판된 작가들도 있지만 나가사카 슈케이, 신노 다케시, 시라누이 교스케, 아베 요이치, 와타나베 요코는 처음 만나는 작가들이다. 기대된다. 분량이 중편 가깝다고 하니. 여기에 많이 나오는 작가나 새롭게 선보인 작가가 아닌 예전에 출판된 절판 작가도 포함되어 반갑다. 표지도 깔끔하고 나머지 2편도 빨리 나오기를 바란다.

 

프랑스 추리소설의 여왕이라는 말이 눈길을 끈다.
새로운 여왕이 등장한 모양이다.
아마도 프랑스 여성 추리작가의 작품은 까뜨린 아를레 이후 처음이 아닌가 싶기도 하다.
각기 다른 작품이다.
시리즈라면 좋았을텐데 한 권은 역사학자가 등장하는 작품이고 한 권은 작가가 창조한  아담스베르그 형사가 등장한다. 출판사가 작가의 대표작품만을 선별해서 출판한 것 같다.
하지만 다른 출판사에서 또 작가의 작품이 출판된다고 하니 좀 그렇다. 시리즈는 한 출판사가 출판하면 좋은데... 암튼 새로운 작가의 작품이니 반갑다.

에세이인데 참 마음을 무겁게 하는 작품이다.
정말 이런 일이 내게 일어난다면 살아갈 수 있을까?
이래도 되는건가 하는 생각이 들게 만드는 작품이다.
차라리 소설이었다면 하는 마음까지 든다.

아빠 취미는 가정 내 도청, 엄마 취미는 딸 남자친구 신원 조사, 여동생 취미는 가족 미행… 범상치 않은 스펠만 가족들은 서로가 서로에게 몰래 스파이 활동을 벌이며, 협박하고 협상하는 사립 탐정들! 프라이버시 제로, 예의범절 제로, 양보배려 제로, 참견과 무관심으로만 가득 찬 못 말리는 가족 이야기! ‘세상이 무너져도 믿을 건 가족뿐’이라는 진리를 유쾌하고 엉뚱하게 풀어내는 불량가족의 위풍당당한 등장!
뭐냐, 이 가족? 가족이 탐정단이냐? 그러면서 서로를 감시하고?
반전이 있을 것 같은 호기심을 느끼게 하는 작품이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8-05-07 14:1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8-05-07 15:42   URL
비밀 댓글입니다.

그린브라운 2008-05-08 08: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재미있어 보이는 책들이 많아요 ^^ 역시 만두님이시네요 좋은 책 소개 감사합니다

물만두 2008-05-08 10:39   좋아요 0 | URL
별말씀을요^^:;;
 

마이런 볼리타 시리즈 3번째 작품이다.
스포츠 에이전트라는 독특한 인물이다. 그러니까 스포츠가 많이 나오는 건 당연하다.
뭐, 미스터리 작가가 스포츠를 소재로 다룬 게 한두번은 아니니까 의아할 일은 아니지만
본격적인 시리즈는 경마의 세계만으로 다룬 딕 프랜시스 이후 처음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든다.
내가 읽은 중에서...
농구 선수의 꿈이 좌절된 마이런에게 NBA라는 계약이 들어온다. 마이런이 선수로 뛰는 것이다.
이게 꿈이냐 생시냐~ 하지만 조건이 있다는 거. 그럼 그렇지. 과연 마이런의 꿈은 이루어질 것인가??? 읽어보면 알겠지.

니키 준페이와 조수 아리사가 돌아왔다.
정말 일상의 미스터리 그 자체인 작품이다.
무지개집은 뭘까???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hika 2008-05-03 11: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글과는 상관없이.
뜬금없게도 서재소개에 '...인간이 늘 있는곳' - 물만두, 라는 글을 보니까
'뭐냐, 물만두가 늘 있는 곳은 찜통아녀?'라는 생각이;;;; =3=3=3=3

물만두 2008-05-03 13:59   좋아요 0 | URL
물만두가 늘 있는 곳은 냉동실이여~
언냐땜에 통 물만두를 못먹었구만.
티가 팍팍 난다^^ㅋㅋㅋ
아, 추워~

보석 2008-05-07 10:44   좋아요 0 | URL
물만두가 있는 곳=찜통에 한표 던집니다. 냉동실은 정석이 아니죠. ㅎㅎ

물만두 2008-05-07 12:06   좋아요 0 | URL
아니 보석님 날이 더워진다구요~
저를 아주 보내시려는 음모를???
불안합니다^^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