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둠 속의 덱스터 모중석 스릴러 클럽 17
제프 린제이 지음, 김효설 옮김 / 비채 / 2009년 1월
평점 :
절판


덱스터 시리즈를 세 권째 읽으면서 비로서 덱스터 시리즈가 주는 재미를 느낄 수 있게 되었다. 심각하려고 생각하면 이보다 더  심각한 주인공도 없다. 주인공이 연쇄살인범이니까. 하지만 슈퍼맨, 배트맨, 스파이더맨 등의 미국적 영웅이 그렇듯 덱스터도 아무나 살인을 하지는 않는다. 연쇄살인범을 살해한다. 그러면서 한편으로는 자신의 직업인 과학수사요원으로 열심히 일을 하고 경사로 승진한 여동생의 일을 도와준다. 이런 모든 일은 그의 내면에 자리하고 있는 '검은 승객'이 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덱스터 시리즈의 장점은 독특한 주인공 덱스터에 있다. 그의 행동, 그의 사소한 것들, 낮에는 보통 사람으로 살기 위해 유머러스하며 밝은 덱스터 역할을 해야 하고 밤에는 연쇄살인범을 응징해야 한다. 덱스터라는 너무도 독특한 캐릭터가 있기 때문에 사건의 짜임새는 조금 엉성해지기도 하고 어이없게 해결되기도 한다. 하지만 그것은 그리 문제가 되지 않는다. 덱스터가 혼자서 북치고 장구치고 다하기 때문에 덱스터 하나에만 신경써도 충분하다. 슈퍼맨을 세세하게 따지고 보면 재미가 반감되는 것과 같다.  

어김없이 자신의 양아버지가 만들어준 룰에 따라서 범행을 저지르던 덱스터가 세밀한 조사없이 한 연쇄살인범을 처단한다. 하지만 그를 지켜보는 누군가가 있었고 그는 자신도 모르는 누군가 거대한 자의 표적이 된다. 그리고 덱스터가 믿고 의지하던 그의 영혼의 반쪽같던 검은 승객, 또는 그림자가 처참한 살인 현장을 보더니 그만 사라지고 만다. 덱스터는 처음 겪는 일이고 생각도 못한 일이라 망연자실하기만 하다. 게다가 리타와의 결혼식은 코 앞으로 다가오고 리타의 아이들, 애스터와 코디도 잘 가르쳐야 하는데 자꾸만 아이들은 앞서가려고 한다. 덱스터는 결혼을 앞두고 정체성의 혼란을 겪게 된다. 

과연 덱스터의 '검은 승객'은 왜 사라진 것일까? 덱스터는 '검은 승객'이 사라져 평범한 인간으로 살게 되는 것일까? 그렇다면 경찰에 잡히지 않는 잰더와 같은 부자이거나 권력자거나 착한 사마리아인의 탈을 쓴 연쇄 살인범은 누가 상대한단 말인가? 덱스터 자신도 걱정이지만 나도 걱정된다. 요즘 사회문제로 크게 부각되고 있는 연쇄살인범이 있는 만큼 이성적으로는 덱스터가 아무리 연쇄살인범만을 살인하는 연쇄살인범이라 할지라도 섬뜩하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감정적으로는 슈퍼맨이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는 것과 같은 느낌으로 덱스터를 바라보게 된다.  

코디에게 참 잘도 아버지와 같이 잘 가르치겠다. 아버지가 늘 이야기하던 규칙을 어긴 주제에. 바보 덱스터같으니라구. 뭐, 그런 덱스터의 바보짓으로 인해 작품은 스릴을 만끽하게 된다. 유머를 끝까지 잃지 않고 도너츠 하나에 목숨을 거는 마이애미 경찰들, 그 내부에 덱스터가 둥지를 틀고 있다. 돌아온 독스 경사가 또 다시 덱스터를 노려보고 있는 가운데 끝까지 덱스터는 잡히지 않게 될지, 덱스터의 결혼 생활은 잘 될지, 리타는 언제까지 덱스터의 정체를 모른 채 지내게 될지, 덱스터가 코디를 잘 가르칠 수 있을 지 다음 편이 책을 덮은 뒤 곧바로 궁금해진다.  

태초에 인간보다 악이 먼저 있었다고 생각해보자. 그 악은 인간을 숙주로 해서 옮겨 다니고 인간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살인을 저지르게 만든다. 하지만 여기에 전제 조건이 있다. 그 악의 인간의 내면에 반드시 검은 그림자, 즉 악의 그림자가 보이는 이만을 유혹할 수 있다는 것이다. 덱스터가 가지고 있는 '검은 승객'과 같은 그림자 말이다. 그 '검은 악의 그림자'는 유년 시절의 나쁜 기억때문에 생길 수도 있지만 태어날때부터 가지고 나올 수도 있다. 사이코패스가 있으니까. 얼마나 오싹한 일인가. 인간이 악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악이 인간을 조종한다는 것 자체가.  

책도 책이지만 드라마도 보고 싶다. CSI와는 또 다른 매력에 사로잡힐 것 같은 예감이 든다. 우리나라에서 방송을 해줬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드는, 기다려지는 드라마다. 책과 같이 보면 책도 재미있고 드라마도 재미있을텐데 아쉽다. 책이나 기다려야겠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인 2009-02-11 16: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물만두님 오랜만이에요 ㅎㅎ
드라마 정말 강추에요 >.<

물만두 2009-02-11 19:03   좋아요 0 | URL
기인님 방가방가^^
그런데 울 나라에서 안 하지 않나요?

비로그인 2009-02-12 15: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렇게 유혈낭자한데 유쾌해지기도 어렵지요.후훗

물만두 2009-02-12 15:42   좋아요 0 | URL
이 정도로 유쾌해야 캐릭터가 살지 않겠어요^^

보석 2009-02-12 15: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케이블에서 했던 걸로 알고 있어요. 인터넷에도 떠돌아다니고...ㅎㅎ

물만두 2009-02-12 15:42   좋아요 0 | URL
아, 케이블에서 했군요.
케이블을 안달아서 몰랐네요.
인터넷을 뒤져봐야겠습니다^^ㅋㅋㅋ
 
숨은 시간
이정옥 지음 / 우리같이 / 200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산다는 게 말입니다. 어디에서 살던, 무엇을 하고 살던 그런게 중요한 게 아니라는 걸 알게 될 때가 있더란 말입니다. 산다는 것 자체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될 때, 아니 산다는 것 자체도 의식 못하고 살 때 어쩌면 그런 때가 산다고, 살았다고 말할 수 있는 순간인지도 모르겠다는 말이지요. 삶이라는 게 뭐 그리 대단하고 중요하고 거창한 거라고 이 삶, 저 삶 마구마구 비벼대고 파헤치고 기웃거린답니까. 하긴 그런 동물이 인간이라는 존재이긴 하지만요.  

한설형이 사랑하는 남자를 죽였노라 자수를 해왔다고 같은 하숙집에 있던 인연으로 경찰인 정준, 로렌 송이 그 이유를 알고자 매달리는군요. 그곳은 미국이고요. 한국에는 한설형이 남긴 어머니의 제자 홍강희와 그녀의 남편이자 설형을 사랑하던 박일규가 살고 있습니다. 그렇게 작품은 미국과 한국, 과거와 현재를 서로의 관점에서 넘나들고 서로의 자신만의 이야기속에서 한설형의 모습을 완성해가면서 자신의 숨은 시간, 애써 숨긴 시간을 드러내게 됩니다. 

이혼하고 선생님의 집에서 살게 된 홍강희는 땅을 가꾸는 이야기를 합니다. 중학교때 가정 선생님이셨던, 자신을 새끼 악마라 부르던 설형의 엄마인 그 선생님은 그렇게 땅을 가꾸듯 아이들을 돌봐왔는지 모릅니다. 땅에서 수확을 하듯 삶을 그렇게 거뒀는지 모릅니다. 홍강희가 따라가는 삶은 그런 삶입니다. 그런데 홍강희는 마지막까지 모진 모습으로 그려집니다. 로렌은 재미 한국인으로서의 삶을 거추장스러워 하는 인물입니다. 혼자라면 너무 잘났는데 한국인이라는 꼬리표가 그녀를 움추려들게 만듭니다. 정준은 자신의 성 정체성 때문에 미국에 온 인물입니다. 박일규는 첫사랑이 동아리선배와 사랑하는 것을 바라보기만 한 인물이구요.  

결국 중요한 건 살인을 했냐, 왜 했냐가 아닙니다. 그 각각의 인물이 자기 스스로가 누구인지, 자신의 삶의 빈 구석을 찾아가는 과정을 담고 있는 작품입니다. 하지만 그러기엔 인물이 사연도 많고 그 사연에 사건에 쫓아가기가 버겁게 만드는군요. 작품이 진을 빼는군요. 삶이라는 게 시 한편에 오롯이 담기기도 하지만 대하소설 십여권으로도 모자랄때가 있는 거라서요. 그걸 한 권에 여러 사람을 다 다루려니 그 삶들이 일그러지고 찌그러지고 내 삶도 힘든 판에 조각난 남의 삶 퍼즐 맞출 여유가 있어야 말이죠. 숨은 시간은 아직도 그래서 현재진행형입니다. 그래서 답답해보이기도 하지만 그게 삶인데, 모든 이의 삶인데 어쩌겠습니까. 픽션이 논픽션같아져서 재미없고 사실적 인생 또한 그런 것이라서 소설이 이해가 되고 그러네요. 

누군들 사는게 안 힘들답디까. 삶의 비밀이 있으면 어쩔 것이고 알면 또 어쩔 것인지, 그거 물어 뭐에 쓸렵니까? 난 이렇게 묻고 싶네요. 어영부영 묻어가는 인생들이 그냥저냥 한 세상 살다가면 그만인 것을 때빼고 광낸다고 그 삶이 좋아보이지 않으면 불행한 것이고 허술하고 빡빡해보여도 그 삶이 좋아보이면 행복한 것이고 그런 것이지 내 삶이 그런다고 다른 삶이 되는 것도  아니고 주어지지 않은 것을 기를 쓰고 가지려고 애써봐야 부질없는 짓이고 말입니다.  

내 말하리다. 삶의 비밀은 정성 반, 손맛 반, 그리고 덤으로 양념 조금입니다. 그 정성이 무엇인지, 손맛이 무엇인지, 양념은 무엇인지야 그것까지는 모르지요. 내 삶의 것도 다 모르는 판에 남까지 알려줄 게 있겠습니까. 각자 알아서 살면 되는 것이고 하니 잘 찾아보시구려. 참, 잊은 것은 잊은대로 놔두고 떠난 것은 떠난대로 보내주고 남아 있는 거나 잘 챙기시구려. 미련 떨지 말고. 아무리 용을 써도 내 것이 아닌 것은 내게 되지 않고 아무리 쫓아가도 돌아오지 않는 것은 안 돌아옵디다. 죽으면 그만인 삶, 살아서도 죽은 듯이 살것까지야 무에 있는지... 하긴 그게 자기 맘대로 되는 거라면 삶이 삶이 아니겠다 싶긴 합니다요. 

댓글(4)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9-02-09 12:5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9-02-09 14:10   URL
비밀 댓글입니다.

글샘 2009-02-13 14: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 만두님 드디어 득도하셨군요. ㅎㅎ
돌아오지 않는 것은 안 돌아옵디다...라니...
그래요. 지금 나한테 있는 거라도 열심히 걸어가면 그게 삶이지요.
만두님도 행복한 오늘 만드세요. 날씬 지롤같지만...

물만두 2009-02-13 15:11   좋아요 0 | URL
글샘님 득도가 아니고 체념이랍니다^^ㅋㅋㅋ
제가 가장 싫어하는 일이 버스 떠난 뒤 발동동이라서요.
님도 행복하게 잘 보내세요.
밖이 참 어둡네요.
 

 

국립파리자연사박물관에서 일어난 7일 동안의 연쇄살인
창조론과 진화론의 맞짱토론이라...
음... 또 종교와 과학의 대립구조를 다룬 작품이다. 

  

제목만으로도 오싹해지는 단편집이다.
인형이 자꾸 무서워지잖아~
그렇지만 우리집에는 인형이 없어 다행이다^^:;; 

 

말이 필요없는 영림카디널 블랙캣 시리즈가 남긴 가장 축복받을 작가다.
그의 작품을 다시 볼 수 있어 기쁘다.
처절하게 아름다운이라...
슬퍼지려하는데...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9-02-06 11:3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9-02-06 12:08   URL
비밀 댓글입니다.
 
가장 검은 새 - 누가 메리 로저스를 죽였을까?
조엘 로즈 지음, 김이선 옮김 / 비채 / 2009년 1월
평점 :
절판


책을 잡으면 우선 제목에 눈길이 가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작가가 제목을 통해 그 작품을 가장 강렬하게 소개하고 싶어할 거라는 생각에서다. 그런 이유로 '가장 검은 새'가 무엇을, 누구를 상징하는 지를 떠올리며 책을 읽을 수 밖에 없었다. '가장 검은 새'는 에드거 포, 그 자체를 상징하는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또한 그가 살아낸 시대의 광기와 폭력, 암울한 뉴욕의 상징이자 죽음의 그림자, 그 모든 것을 덮어 검은 날개깃에 가두는 갈가마귀라는 생각이 들었다. 마지막에 주술처럼 '네버모어'를 외치게 되니까 말이다.

19세기 뉴욕에서도 시가 가게 아가씨는 예뻤다. 그 미모에 반한 많은 손님이 몰렸고 그것은 시가 가게 주인의 상술이었다. 하지만 미인박명이라 했던가. 그 시가 가게 아가씨 메리 로저스는 시체로 발견된다. 그 사건을 해결하기 위해 상급 치안관 올드 헤이스는 노력하다가 결국 에드거 앨런 포에게 주목하게 된다. 그리고 메리 로저스의 담배 가게 단골 고객이자 자칭 시인인 존 콜트는 자신의 편집자를 살해한 죄로 사형수가 되어 감옥에 갇히고 그의 옆 감방에는 '프리티 핫 콘 걸'로 불리다 자신의 형이 살해한 형수의 동생인 '프리티 핫 콘 걸 여동생'인 아내와 딸, 그리고 그녀의 정부로 추정되는 남자를 살해한 죄로 역시 사형이 확정된 타미 콜먼이 수감되어 있다. 그리고 이 세 사람은 모두 에드거 앨런 포와 연결된다. 

1840년대 뉴욕이라는 도시를 자세히 묘사하고 있는 작품이다. 에드거 앨런 포가 아니더라도 그 시대의 모습, 콜트사에서 만든 리볼버 권총으로 부자가 된 이는 교도소에서 화려하게 동생의 사형 직전 결혼식과 피로연을 올려주는 상류층의 모습과 아일랜드 이민자로 막 나가는 갱단의 열일곱살 젊은 두목과 그의 어린 아내를 통해 그들의 비참한 생활이 맨발로 핫 콘통을 목에 걸고 다니며 파는 모습에 고스란히 담겨진다. 그리고 메리 로저스는 문학가와 언론가가 주목하던 인물이었다는 이유로 신문을 떠들썩하게 만들지만 같은 장소에서 백주대낮에 벌어진 가족이 보는 앞에서 납치당한 소녀에 대해서는 말하는 신문이 없다. 그것은 자칭 명예로운 시민이라고 생각하고 자신의 직업에 자부심을 가지고 있는 늙은 헤이스도 마찬가지다. 도시의 빛과 그늘은 그렇게 존재하고 있다. 

메리 로저스의 이야기는 에드거 앨런 포에 의해 <마리 로제 미스터리>라는 작품으로 만들어진다. 작가는 어떤 것이 사실이고 어느 것이 허구인지 교묘하게 섞어 놓아 모든 것이 사실처럼 느껴지기도 하고 또 모든 것이 허구처럼 보이게도 만들고 있다. 탐욕은 광기를 부른다. 광기는 폭력과 살인을 부른다. 무엇을 탐하느냐에 달려 있고 광기가 인간의 내면, 혹은 외면 어디에 폭력을 남기느냐는 사람에 따라 다르다. 에드거 포는 광기에 사로잡힌 사람처럼 묘사되고 있다. 자신의 어두운 영혼에 사로잡혀 끔찍한 꿈을 눈을 뜨고도 꾸고 그것을 다시 시로, 소설로 쓰고 있고 하지만 자신의 글이 제대로 대우받지 못하는 울분과 가난과 궁핍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좌절, 거기에 아내의 병에 대한 슬픔과 여자의 애정에 대한 과도한 집착은 유년기 애정 결핍에서 비롯된 것처럼 느껴진다. 

책을 읽는 내내 <마리 로제 미스터리>를 떠올리려고 애를 썼는데 생각이 나지 않았다. 작품 속에는 이 작품뿐 아니라 <황금 벌레>도 등장한다. <모르그가 살인 사건>과 <도둑 맞은 편지>는 물론이고. 에드거의 단편집을 다시 한번 읽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면서 작가가 에드거 앨런 포를 정확하게 묘사한 것인지 아니면 좀 혹평을 하고 싶었던 건 아닌지 의문이 들었다. 뭐, 에드거가 살아 생전 여러 문제가 있었다고 하고 아내 시시와도 그녀 나이 열세살때 결혼을 했다고 하니 사생활을 언급하기는 좀 그렇지만 그래도 너무 여자들에게 둘러 쌓이기 좋아하고 아내가 죽은 지 얼마 안되서 마치 미친 사람처럼 이 여자, 저 여자에게 마구 사랑한다고 남발하고 다니는 모양새는 '미치지 않고서야...'라는 생각이 저절로 들게 만든다. 사실이라면 말이다. 아니라면 에드거를 그렇게 무시하고 혹평한 많은 언론과 출판사, 편집자와 작가가 같은 인물로 여겨진다. 어떤 게 맞는지는 모르겠지만. 

책을 읽으며 가장 인상 깊었던 것은 '핫 콘 걸'이라는 맨발의 가난한 소녀들의 장사 모습과 국제저작권법을 만들려고 애를 쓰는 에드거 포의 모습이다. 가난한 소녀들의 그런 모습은 갱단이 된 소년들의 모습과는 또 다르게 애처롭게 다가온다. 또한 출판업자는 책을 팔아 돈을 벌어 시장까지 되고 신문 기자도 신문사 사장이 되는데 정작 작가는 가난을 면하지 못한다는 자신의 현실에 대한 외침은 그의 비참한 생활 때문에 더 마음에 남았다. 여기에 늘 그 시대를 이야기하면서 빠지지 않는 갱들, 부패한 경찰들 이야기인데 이보다 소방관들의 알력으로 교도소에 불이 났는데 끄지 못했다는 점이 눈길을 끈다. 마치 그 시대에 있는 건 부패뿐이었다고 말하는 것 같았다. 그것이 광기의 확산으로 이어진 것이라고. 

어쨌든 에드거를 전면에 내세웠음에도 에드거라는 거대한 인물에 휘둘리지 않고 마지막까지 작품을 깔끔하게 마무리한 작가의 능력은 대단하다는 생각이 든다. 그 시간과 노력이 아깝지 않은 작품이었다. 점점 에드거에 대해 집착하면서 만나게 되는 에드거의 변하는 모습은 서스펜스를 주기 충분했고 노구에도 불구하고 집념을 불태우는 올드 헤이스의 모습은 행동하는 '뒤팽'처럼 보이게 만들었다. 한편의 에드거 전기같이 느껴지기도 하지만 그 안에 사람들이 생생하게 살아 숨쉬는 것같이 시대의 모습을 잘 표현하고 있다. 마지막이 정말 있을 법하게 그려져 더욱 근사하게 느껴지는 작품이었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진주 2009-02-05 14: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 조금 발전했어요^^
전에는 '만두아우는 왤케 무서운 걸 즐기는걸까..'했는데
요즘은 '그 참 재밌겠구만..'한다니까요 ㅎ~
그렇지만 아직은 만두님 리뷰만 재밌다구요.

물만두 2009-02-05 15:04   좋아요 0 | URL
언니 읽어보시면 그다지 무섭지 않고 인간에 대해 다양하게 알게 되요^^
제 리뷰는 횡설수설인뎅 ㅡㅡ;;;

카스피 2009-02-05 14: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가장 검은새에서 주인공이 포우 인가요? 요즘 독해력이 떨어지는지 만두님 리뷰를 읽어봐도 잘 모르겠네요 ㅜ.ㅜ
그나저나 몰랐었는데 포우의 마라로제 수수께끼는 실화를 바탕으로 한 작품이라더군요.콜린 월슨의 책에 그 사건이 자세히 설명되어 있더군요.
근데 이책에서는 사건이 해결되나요? 마리 로제의 수수께끼에서는 해결 못하는것으로 기억나는데요.

물만두 2009-02-05 15:08   좋아요 0 | URL
주인공은 포우를 용의자로 보고 추적하는 올드 헤이스와 포우 두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미제 사건이라는데 이 작품은 팩션이니만큼 작가의 상상력으로 해결되지요.
결과를 알고 싶으시다면 읽으시와요.

무해한모리군 2009-02-06 08: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일단 표지부터 포스가 장난아닌데요 ^^
근사한 작품을 어서 저도 만나봐야겠네요.

물만두 2009-02-06 10:20   좋아요 0 | URL
네. 비채 표지가 점점 나아지고 있습니다^^
 

Heads You Lose (1941) 

Green for Danger (1944)  녹색은 위험 , 위험한 여로 

Suddenly at His Residence (1946) = The Crooked Wreath 

Death of Jezebel (1948)  제제벨의 죽음

London Particular (1952) = Fog of Doubt 

Tour De Force (1955) 

The Three Cornered Halo (1957) 

The Spotted Cat and Other Mysteries from Inspector Cockrill's Casebook (2002) 

* 단편 

After the Event (nv) EQMM Jan 1958
Rabbit Out of a Hat (nv) EQMM Jan 1958; also as “After the Event”.
Blood Brothers (ss) EQMM Sep 1965
The Hornet’s Nest (nv) EQMM May 1967
Twist for Twist (nv) EQMM May 1967; also as “The Hornet’s Nest”.
Poison in the Cup (nv) EQMM Feb 1969
The Last Short Story (ss) EQMM Jan 1973; also as “The Telephone Call”.
The Telephone Call (ss) EQMM Jan 1973
The Kissing Cousin (ss) Woman Jun 2 1973
The Rocking Chair (ss) The Saint Magazine Aug 1984
The Man on the Roof (ss) EQMM Oct 1984
The Spotted Cat and Other Mysteries from Inspector Cockrill’s Casebook (co) Crippen & Landru 2002
Alleybi (vi) The Spotted Cat and Other Mysteries from Inspector Cockrill’s Casebook, Crippen & Landru 2002
The Spotted Cat (pl) The Spotted Cat and Other Mysteries from Inspector Cockrill’s Casebook, Crippen & Landru 200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