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로쟈의 인문학 서재 - 곁다리 인문학자 로쟈의 저공비행
이현우 지음 / 산책자 / 2009년 5월
평점 :
품절
서재에서 가끔 뵈었던 분이다.
그의 너무도 방대한 지식에 감히 근접하지 못하고 멀리서 동경만 하다가 드디어 책으로 만났다.
책의 발문에서 천정환씨는 로쟈와의 만남에 대해 상당히 공감이 가는 글을 적고 있다.
그 중에서도 지나가듯 적은 글귀인
"이 책은 '나=나'라는 기적, '로쟈=로쟈'에 대한 한 개의 진술서다. 즉 로쟈가 로쟈이게끔 하는 그의 글쓰기와 책읽기의 기본적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래서 이 책은 좀 어렵다. 그가 자유자재로 섭렵하는 레퍼런스도 버거운 것일 테다.
이 책에 많이 인용되는 것만 보건대, 칸트, 마르크스, 레닌, 니체, 레비나스, 벤야민, 데리타, 라캉, 지젝..... 김기덕은 웬말이며 황혜선은 또 누구뇨?
하지만, 이 책이야말로 네티즌에세도 아주 좋은 기회인 듯 하다.
로쟈같은 박식가가 다다른 곳과 안 간 곳이 어디인지, 쌓아둔 긴 방죽의 한 점에 올라서, 그 구불구불하고 불가사의한 그 면선이 어디서 왔느지 감상할 수 있는 기회이기 때문이다. "
맞다, 읽는 내내 솔직히 나의 무지함에 부딪혀 상당히 힘들었다.
로쟈의 글은 니체를 해부하고 지젝을 탐구하고 있는데 나는 로쟈를 한자, 한 자 쫓아 가기에도 너무 힘들었다.
그래서인지 왠만한 책은 며칠을 끌지 않는데 이 책은 상당히 오랜 기간 읽었나 보다.
책머리를 읽고, 본문을 읽고, 에필로그를 읽고 또 다시 책머리를 읽고 이번에 본문의 각 Chapter 앞부분을 다시 읽었다.
처음보다는 조금 낫긴 했지만, 최소한 지젝에 대한 책을 한 권이라도 읽어야 그의 글에 대해 공감을 하건, 비판을 하건 할 수 있을 듯 하다.
비록 그의 글을 쫓아가기가 버거웠던 시간이었지만, 그가 바라는 대로 내가 "이런 종류의 글을 너무 쉽거나 말랑하게 느끼게 되는 첫 걸음을 내딛게 해 준 소중한 시간이기도 하다.
리뷰를 쓰려다 보니, 갑자기 인문학이 뭐였지? 하는 기본적 질문을 하게 된다.
인문학(人文學)은 인간의 조건에 관해 탐구하는 학문이다.
자연 과학과 사회 과학에서 경험적인 접근을 주로 사용하는 것과 구별되는 분석적이고, 비판적이며, 또는 사변적인 방법을 넓게 사용한다.
인문학의 분야로는 철학, 문학, 역사학, 고고학, 언어학, 종교학, 여성학, 미학, 예술, 음악 등이 있다. (출처: 위키백과)
정의를 보다 보니, 생각만큼 어려운 분야가 아니구나하고 가슴 한구석이 환해 진다.
철학에 대해서는 왠지모를 두려움(?)같은 것이 있을지 몰라도 역사학, 예술, 고고학, 종교학, 문학 등 대부분 영역은 나도 좋아하는 분야다. (분석과 비판이 들어 가면 인문학이 아닌게 없는 듯)
[인문학서재]는 1.문학 2.예술 3.철학 4.지젝 5.번역에 대한 비평을 하고 있으므로 인문학의 주요 영역은 조금씩 다루고 있다.
힘들게 읽었다고 생각했는데 다시 보니 정말 내 머리가 조금 말랑해 진 느낌도 든다.
문학, 예술, 번역 편은 그래도 힘겨웠지만 한 페이지, 한 페이지 넘기는 재미를 느꼈고 철학과 지젝편은 워낙 관련 책을 보지 않아 힘들었던 것이구나하는 자위를 했더니 말이다...
언젠가 가벼운 철학책부터 접해 볼까 하는 생각도 해 본다.
그러고 나면 다시 로쟈의 서재에 문을 두드려 봐야겠다.
<참조>
* 한국일보(09.12.18)발췌 [한국출판문화상] 저술(교양) 부문, '로쟈의 인문학 서재' 이현우
<로쟈의 인문학 서재>의 저자 이현우(41ㆍ서울대 노어노문학과 강사)라는 이름은 낯설지도 모른다.
그러나 요즘 책깨나 읽고 영화깨나 본다는 사람치고 그의 존재를 모르는 사람은 드물 것이다.
동유럽의 털북숭이 철학자 슬라보예 지젝의 얼굴을 아바타 삼아,
'로쟈'라는 필명으로 인터넷 공간에 글을 쓰는 자칭 "곁다리 인문학자"가 바로 그다.
이 책은 그의 왕성하고도 분방한 인문적 주유를 보여주는 문화 비평집이다.